myPPT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관계

MSNU 2014. 5. 11. 10:00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관계 강의 순서 Ⅰ.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연관성 검토 이유 Ⅱ. 윤리학의 의미와 도덕교육의 기본성격 Ⅲ. 도덕성에 대한 세가지 사유방식과 도덕교육 Ⅳ. 도덕교육의 이론적 토대의 하나로서 칸트 윤리학의 재해석 Ⅴ. 결론 1 Ⅰ.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연관성 검토 이유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 문제 . 내용요소 : 인성교육, 민주시민교육, 통일대비교육, 국가안보교육 . 접근방식 : 규범과학적 접근 + 사회과학적 접근 .내용요소 및 접근방식에 있어서 사회과와 중복 .도덕과 교육의 본질 및 정체성 회복 방안 (도덕과 개정 교육과정 고시 07.2) . 고유한 내용요소 및 접근방식 검토 -내용요소 : 도덕적 덕목과 규범 및 가치문제 -접근방식 : 윤리학적 접근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연관성 검토의 필요성 제기 2 Ⅱ. 윤리학의 의미와 도덕교육의 기본성격 ethics .θο.(.thos) moral morality .θο.(ethos) 도덕의현상[用] 도덕의원리[體] 윤리학의 의 미 (그) 풍습, 관습 (그) 성품 / 인격 mos(sg) mores(pl) moral 관습적 도덕 반성적 도덕 3 Ⅱ. 윤리학의 의미와 도덕교육의 기본 성격 인격교육론 구성주의적도덕교육론 . 윤리학적 기초 : 덕윤리학 인격교육론 구성주의 . 윤리학적 기초 : 칸트 의무론 . 심리학적 기초 : 사회학습이론 도덕교육론 . 심리학적 기초 : 인지발달이론 사회화(socialization)의관점공동체주의적도덕교육관습적도덕의성격(습관중시) 초 중고 발달(development) 의관점자유주의적도덕교육반성적도덕의성격(도덕적추론/ 판단능력중시) 분별연령 : 14 세 (中2) 도덕교육의 기본 성격 4 Ⅲ. 도덕성에 대한 세가지 사유방식과 도덕교육 근대규범윤리학 근대규범윤리학에대한비판 칸트 의무론 공리주의 덕윤리학 도덕성의 근거 : 도덕법칙 도덕성의 근거 : 유용성의 원리 도덕성의 근거 : 좋은 인격 행위 중심 (act-focused) What should one do? 중시 보편적인 행위의 원리 중시 의무와 법칙을 강조 행위자 중심 (agent-focused) How should one live? 중시 인간의 번영하는 삶 중시 그는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 ? 옳다, 그르다, 의무, 도덕적으로허용된다 5 좋다, 나쁘다, 훌륭하다, 고귀하다 Ⅲ. 도덕성에 대한 세가지 사유방식과 도덕교육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의 윤리학적 기초로서 칸트 의무론 . 구성주의적 인식론 공유 인식주관이 인식대상 구성 . 세계와 삶의 의미부여·가치평가 하는 능동적 주관 강조 . 이성에 근거한 보편화 가능성 중시 . 칸트 : 2+2=4를 계산하는 이성적 능력 → 도덕영역에서 보편적 사고의 근거 . 콜버그 : 보존개념(conservation)의 인지능력 → 탈중심화 (ex. 易地思之)의 근거 -탈중심화(decentration) = 역할·관점 채택 능력 → 콜버그의 <가상적 도덕딜레마 수업 > <정의공동체 프로그램 >의 목표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제 6단계 <보편적인 도덕원리 지향> → 칸트의 <정언명법> . 칸트와 콜버그 모두 시대와 문화를 초월한 보편적인 도덕성의 관점을 견지 . 강한 이성주의적 관점의 문제점 공유 . 칸트에 대한 비판 : 지나치게 형식적이며 , 감정이나 경향성을 무시 . 콜버그에 대한 비판 : 인지결정론적이며, 감정 내지 정서를 무시 . 칸트의 의무론 및 콜버그의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의 과제 : 이성과 정서의 결합 문제 6 Ⅲ. 도덕성에 대한 세가지 사유방식과 도덕교육 시민윤리교육의 윤리학적 기초로서 공리주의 . 공리주의는 칸트 의무론에 비해 도덕교육론의 논의에서 영향력 미미함 . 공리주의의 “최대다수 최대행복”의 관점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의 제 5단계 <사회계약적 원리지향 >의 도덕성으로 언급되는 정도 . 근대 자본주의의 인간상 (경제적인 인간 , homo economicus)에 부합한 윤리 이론 . 공리주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기적인 개인들의 공존을 위한 산물이자 자본주의 사회를 지탱할 수 있는 최소한의 도덕 . ‘최소한의 도덕’ (minimum morality) 을 지향하는 시민윤리 교육 (민주시민교육)의 중요한 윤리학적 기초 → 도덕교육의 최종목표로서는 한계가 있음 . 공리주의의 강점과 문제점 . 강점 : 유용성의 원리는 비효율적인 법률 내지 제도 개선에 기여 有情적인(快苦 느끼는 ) 동물에 대한 관심을 확장하는 데 우호적임 . 문제점 -논리적 오류 : 자연주의 오류 (naturalistic fallacy)와 결합의 오류 (fallacy of composition) -최대다수의 행복 위한 소수의 희생 정당화 →정의(justice) 의 요구 위배 7 Ⅲ. 도덕성에 대한 세가지 사유방식과 도덕교육 인격교육의 윤리학적 기초로서 덕윤리학 . 인격교육의 목표인 좋은 인격 (good character) 형성 위한 윤리학적 기초 제시 . 유덕한 인간이 되기 위한 요건 (Aristoteles) -본성(nature) + 습관(habit) + 실천적 지혜 (practical reason) . 바람직한 태도 습득과 감정 계발을 위한 무시케 (시와 예술 ) 교육 중시 -플라톤의『국가』 (2-3 권), 아리스토텔레스『정치학』 (7-8 권) “무시케 [시및 예술 ]와 혼화 (混和)된 이성이 덕(aret.)의 최선의 수호자!” (플라톤) . 인격교육론에서도 서사적 접근 (narrative approach) 을 중시함 . 덕윤리학에 기초한 인격교육의 의의 및 한계 .의의 인격교육은 이성능력 발달 전 올바른 습관형성·도덕적 감정계발에 기여 .한계 : 덕들간 상충시 문제해결 기준 미비 : 시대와 사회에 따른 덕의 상대성 문제 습관화 및 사회화 측면 강조 → 자율성 , 비판적인 판단능력 계발에 한계 8 Ⅳ. 도덕교육의 이론적 토대의 하나로서 칸트 윤리학의 재해석 칸트 윤리학의 두 차원과 칸트 도덕교육의 난점 . 칸트 윤리학의 과제 . “추상적 원리만 중시하고 구체적인 상황 및 개인적 욕구나 감정을 무시함으로써 실천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 칸트 윤리학의 두 차원 . 도덕법칙의 정초 과정 (도덕형이상학원론과 실천이성비판 ): 순수 윤리학 (도덕형이상학 ) . 도덕법칙의 적용 논의 (칸트 미학 , 종교학, 교육학강의 등의저술 ): 경험 윤리학 (인간학 ) .경험 윤리학 : <도덕적 인간학 > 내지 <실천적 인간학 > “윤리학 (순수 윤리학 )은 인간학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윤리학 강의』 ) “윤리학 (순수 윤리학 )은 그 적용을 위해서 인간학을 필요로 한다.” (『도덕형이상학원론』 ) . 칸트 도덕교육의 난점 사회화의 단계 도덕화의 단계 정언명법 가언명법 논리적 비약 감성계 예지계 9 Ⅳ. 도덕교육의 이론적 토대의 하나로서 칸트 윤리학의 재해석 칸트 윤리학에 대한 미적 접근 : 미적 도덕성의 문제 . 칸트 도덕교육의 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 상징 . 자연법칙은 도덕법칙의 상징 (칸트). 태양은 선의 이데아의 상징 (플라톤) -美는 현상계에서 이데아의 세계로 상승할 수 있는 계기 ! ( 플라톤) . 도덕적 상징의 필요성 -칸트 미학 (『판단력비판』 )에서 미와 숭고는 도덕적 이념의 암호 ! -미와 숭고는 도덕성의 상징 ! (내용이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 동일성 ) . 칸트 미학에 나타난 미적 도덕성의 개념 . 미와 숭고는 ‘미적 도덕성’ (aesthetic morality) 의 두 요소 . 미와 숭고는 감성계에서 예지계로의 이행을 가능케 함 -미는 조화의 관점에서 감성계에서 예지계로의 비약없는 이행에 기여 -숭고는 경향성을 실천이성에 복종시키며 예지계로의 비약을 가능케 함 . 자기 부정의 힘 (자기중심성 극복 ) 10 Ⅴ. 결론 도덕교육의 본질회복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 . 영미의 경험론적 전통 위에서 논의되고 있는 <도덕윤리교육론 >은도 덕철학적 (윤리학적 ) 토대보다는 도덕심리학적 토대에 보다 의존적인 경 향이 있다 . 도덕심리학은 일종의 사회과학으로서 경험적 연구나 과학적 설명을 중시하며 , 도덕의 형이상학적 요소나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인간의 문제를 간과하는 면이 있다 . .그런대 <도덕윤리교육론 >이 전적으로 도덕심리학에 기초하게 될 경우 , 도덕의 문제는 과학의 문제로 전락하게 되며 ,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인간의 자유와 도덕의 문제는 배제될 가능성이 크다 . . 따라서 도덕과 교육의 본질회복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연계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