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E FOR ALL

블로그 이미지

MSNU

생산과 비용함수들

시리즈/경제 2015. 3. 1. 16:55



























제10장 생산과 비용함수 제1절 비용의 기초개념 1. 기회비용과 실질비용 1)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 어떤 재화를 생산하는데 직접 지출된 화폐량과는 관계없이 그 생산에 투입된 생산요소 를 다른 곳에 투입했더라면 생산될 수(얻을 수) 있었던 재화의 가치 → 어떤 재화의 생산을 위해 포기한 다른 재화의 가치중에서 가장 큰 것 2) 실질비용(real cost) : 한 재화의 생산을 위하여 직접적으로 투입된 생산요소의 가치 2. 회계적 비용과 경제적 비용 1) 회계적 비용(=명시비용; explicit cost) : 직접 화폐로 지출된 비용 또는 생산과정에서 실제로 지불한 비용 (예 : 사원의 급료, 원자재 또는 중간재 구입비, 감가상각비(depreciation) 등) 2) 경제적 비용(=명시비용 + 암묵비용 + 정상이윤) 회계학적 비용에 암묵비용(기회비용)과 정상이윤을 포함한 비용 ① 암묵비용(implicit cost=잠재적 비용, 귀속비용) - 기업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산요소에 대한 기회비용 ② 정상이윤(normal profit) - 기업가로 하여금 어떤 재화를 계속적으로 생산하게 하는 유인이 되기에 충분한 정도의 최소이윤 3. 고정비용과 가변비용 1) 고정비용(fixed cost) : 재화의 생산량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지출되는 생산비용 (예 : 기계, 건물 등의 감가상각비와 유지비, 지대, 이자, 임대료 등의 경상비) 2) 가변비용(variable cost) 재화의 생산량 증감에 따라 변동되는 생산비용 (예 : 원료비, 임금, 연료비 등) 4. 사적 비용과 사회적 비용 1) 사적 비용(private cost) : 개별적인 입장에서의 재화의 생산비용 2) 사회적 비용(social cost) 사회 전체적인 입장에서의 재화의 생산비용 제2절 단기비용함수와 단기비용곡선 1. 총비용(total cost : TC) - 생산자가 일정한 생산량을 생산하기 위해 지출하는 생산비용 - 단기에서의 비용은 고정비용(fixed cost)과 가변비용(variable cost)으로 구성 1) 총고정비용(total fixed cost : TFC) : - 재화의 생산량 증감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비용 총액 → 재화의 생산량수준에 관계없이 일정 - 횡축에 평행인 형태 → 고정생산요소에 지출되는 비용총액으로 구성 ⇒ 암묵비용과 정상이윤은 생산행위가 시작된 이상 생산량수준에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이므로 총고정비용에 포함된다. (예 : 토지의 지대, 건물 임대료, 기계의 감가상각비 등) 2) 총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 : TVC) : - 재화의 생산량 증감에 따라 변화하는 비용 총액 - 총가변비용은 재화의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커지고, 재화의 생산량이 감소하면 적어짐. → 총가변비용은 재화의 생산량의 증가함수이다. [그림] 총비용곡선, 총고정비용곡선, 총가변비용곡선 비용 0 생산량 총비용곡선(TC) 총가변비용곡선(TVC) 총고정비용곡선(TFC) 총고정비용 3) 총비용(total cost : TC) : - 총고정비용곡선과 총가변비용곡선의 수직 합계 - 총고정비용곡선과 총가변비용곡선의 수직 합계이기 때문에 원점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량이 0인 상태에서 총고정비용에서 출발 2. 평균비용(average cost : AC) - 일정한 생산량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생산량 단위당 지출된 비용 - 단기에서는 평균고정비용(average fixed cost : AFC)과 평균가변비용(average variable cost : AVC)으로 구성 1) 평균고정비용(average fixed cost : AFC) : - 일정한 생산량을 생산하기 위해 고정요소에 지출된 재화 생산량의 단위당 비용 - 원점에서 총고정비용에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 →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원점에서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인 평균고정비용은 감소한다. 즉, 우하향하는 직각쌍곡선의 형태 ⇒ 재화 생산량이 무한히 증가함에 따라 평균고정비용은 ‘0’에 가깝게 되지만 ‘0’은 될 수 없다. 따라서 평균고정비용곡선은 횡축과 만나지 않는다. [그림] 평균고정비용곡선의 도출 비용 0 생산량 TFC P R S Q1 Q2 Q3 P' 비용 0 생산량 AFC A C B Q1 Q2 Q3 S' R' (A) 총고정비용 (B) 평균고정비용 2) 평균가변비용(average variable cost : AVC) : - 일정한 생산량을 생산하기 위해 가변요소에 지출된 재화 생산량의 단위당 비용 - 원점에서 총가변비용에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 →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가변비용은 처음에는 감소하다가 나중에는 증가한다. 즉, U자의 형태 → 원점에서 그은 직선이와 접하는 생산량수준에서 는 최소가 된다. [그림] 평균가변비용곡선의 도출 TVC 비용 0 생산량 P R S Q1 Q2 Q3 비용 0 생산량 AVC Q1 Q2 Q3 (A) 총가변비용 (B) 평균가변비용 T Q4 Q4 3) 평균비용(average cost : AC) : - 일정한 생산량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생산량 단위당 지출된 비용 - 원점에서 총비용곡선에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 - - - - ※ 평균가변비용곡선의 최저점은 반드시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의 좌측에 위치한다. TC 비용 0 생산량 P R S Q1 Q2 Q3 비용 0 생산량 AC Q1 Q2 Q3 (A) 총비용 (B) 평균비용 T Q4 Q4 [그림] 평균비용곡선 [그림] 평균가변비용의 최저점과 평균비용의 최저점 비용 0 생산량 TC TVC 3. 한계비용(marginal cost : MC) - 재화의 생산량을 1단위 증가시킬 때 발생하는 총비용의 증가분 → 한계비용은 재화 생산량 1단위의 변화에 따른 총가변비용의 변화분을 의미 - 한계비용은 총비용곡선 또는 총가변비용곡선의 각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가변비용은 처음에는 감소하다가 나중에는 증가한다. 즉, U자의 형태 - 생산량의 증가함에 따라 초기에 한계비용이 적어지는 이유는 가변요소의 한계생산량 이 체증하기 때문이고(수확체증의 법칙), 나중에 한계비용이 커지는 이유는 가변요소 의 한계생산량이 체감하기 때문이다(수확체감의 법칙). [그림] 한계비용곡선의 도출 TC 비용 0 생산량 P R S Q1 Q2 Q3 비용 0 생산량 MC Q1 Q2 Q3 (A) 총비용 (B) 한계비용 4. 비용곡선들의 관계 [그림] 총비용곡선․평균비용곡선․한계비용곡선의 관계 MC AC AVC AFC 0 비용 생산량 ① , , 곡선은 모두 U자 형태이고, 곡선은 직각쌍곡선 ② 곡선 ③ ④ 곡선은 반드시곡선의 최저점을 밑에서 관통 ⑤ 곡선은 반드시곡선의 최저점을 밑에서 관통 ⑥ 곡선의 최저점은곡선의 최저점보다 위쪽, 그리고 우측에 존재 ⑦ 곡선의 최저점에 대응하는 생산량은 최적 생산량(optimum rate of output) → 단기에 주어진 최소의 비용으로 생산하는 유일한 생산량이기 때문이다. 제3절 장기비용함수와 장기비용곡선 - 장기에는 고정요소가 존재하지 않고, 모든 생산요소가 가변적 - 장기총비용곡선은 장기총가변비용을 의미 1. 최소비용의 요소배합 1) 등비용선(isocost) : - 일정한 생산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생산요소의 조합점의 궤적 - 비용방정식(cost equation) , ⇒ 등비용선의 기울기 : (두 생산요소 가격의 상대비율) ※ 총생산비용의 증대 → 등비용선이 원점에서 바깥쪽으로 평행이동 총생산비용의 감소 → 등비용선이 원점에 가깝게 평행이동 [그림] 등비용선과 등비용선의 이동 자본 노동 0 등비용선 2) 최소비용의 원칙 혹은 최대산출량의 원칙 최소비용의 원칙 → 효율적인 생산방법 : ① 일정한 생산량을 최저비용으로 생산(minimizing cost subject to a given output) ② 일정한 생산비용으로 최대의 생산량을 생산(maximizing output for given cost) 자본 노동 0 Q A B E K0 N0 [그림] 일정한 생산량하의 최저비용 자본 노동 0 Q0 A B E Q1 [그림] 일정한 생산비용하의 최대생산 3) 생산자균형 생산요소의 여러 가지 결합방법 중에서 최소의 비용으로 재화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은 등량곡선과 등비용선이 접하는 곳에서 생산요소의 결합이다. [그림] 생산자균형 자본 노동 0 Q0 E ▶ 등량곡선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한계기술대체율 ▶ 등비용선의 기울기는 생산요소의 가격비율 ● 확장선(expansion path : 규모선 = scale line = 확장경로) : 기업의 생산비용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생산자균형점이 형성된다. 이러한 생산자균형 점들을 연결한 궤적 자본 노동 0 Q2 확장선(EP) Q1 Q0 E0 E1 E2 [그림] 생산자균형점의 이동과 규모선 4) 장기총비용곡선의 도출 - 단기총비용은 자본시설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노동투입량이 변할 때의 비용 - 장기총비용은 노동투입량뿐만 아니라 자본시설이 변할 때의 비용 ⑴ 확장선으로부터의 도출 상이한 생산량에 대하여 최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생산요소의 최적 배합점을 연 결한 확장선을 통해 도출 [그림] 장기총비용곡선의 도출 (A) 확장선 (B) 장기총비용곡선 자본 노동 0 Q2 확장선(EP) Q1 Q0 E0 E1 E2 비용 생산량 0 Q2 LTC Q1 Q0 E0 E1 E2 ⑵ 단기총비용곡선으로부터의 도출 장기총비용곡선은 각각의 시설규모에 대해 그려진 무수히 많은 단기총비용곡선상의 한 점들을 연결한 포락선(envelopment line) 비용 생산량 0 Q2 LTC Q1 Q0 E0 E1 E2 STC0 STC1 STC2 [그림] 장기총비용곡선의 도출 ⑶ 단기총비용곡선과 장기총비용곡선과의 관계 ① 단기총비용곡선은 단기총생산함수로부터 도출 ② 장기총비용곡선은 확장선이나 단기총비용곡선으로부터 도출 ③ 장기총비용곡선은 단기총비용곡선들을 아래에서 감싸는 포락선 2. 장기평균비용곡선(long-run average cost : LAC) - 장기에는 고정요소가 존재하지 않고 모든 생산요소가 가변적 - 장기에는 생산시설을 확장하거나 감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수히 많은 단기평균비용 곡선이 존재 - 따라서 장기평균비용곡선은 무수히 많은 단기평균비용곡선을 감싸는 포락선 ※ 단기평균비용곡선이 U자형인 이유는 가변요소의 한계생산량이 체감(수확체감)하기 때문이고, 장기평균비용곡선이 U자형인 이유는 규모에 대한 보수 때문이다. → 우하향의 기울기 : 규모에 대한 보수체증(규모의 경제) → 우상향의 기울기 : 규모에 대한 보수체감(규모의 불경제) [그림] 장기평균비용곡선의 도출 비용 생산량 0 Q2 LTC Q1 Q0 E0 E1 E2 STC0 STC1 STC2 비용 생산량 0 Q2 LAC Q1 Q0 E0 E1 E2 SAC0 SAC2 SAC1 3. 장기평균비용곡선과 단기평균비용곡선의 관계 - 단기평균비용곡선과 장기평균비용곡선은 한 점에서 접하지만,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최 저점과 장기평균비용곡선이 접하는 것은 아니다. -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에서만 단기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이 장기평균비용곡선과 접한다. ※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에서 단기평균비용곡선과 접하는 시설규모를 최적시설규모 (optimum scale of plant)라고 하고, 이때의 생산량을 최적시설규모하에서의 최적 생산 량이라 한다. ※ 경험적인 장기평균비용곡선(→ L자형 장기평균비용곡선) : 실증분석결과 기업의 장기평균비용곡선이 처음에는 규모의 경제가 일어나다가 장기평 균비용이 최저에 이르면 수평이 되는 L자형으로 나타남. - 이유 : ①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규모에 대한 보수체감이 일어나는 정도까지 생산시설을 확장하지 않기 때문 ② 기업규모가 커짐에 따라 발생하는 비효율성이 규모의 경제에 따라 비용하락에 의 해 상쇄되기 때문 [그림] 경험적인 장기평균비용곡선 비용 생산량 0 LAC Q1 SAC1 SAC2 SAC3 4. 장기한계비용곡선 - 장기한계비용곡선은 단기한계비용곡선의 포락선이 아니다. - 단기총비용곡선과 장기총비용곡선이 접하는 생산량수준에서 단기평균비용곡선과 장기 평균비용곡선이 접하고 단기한계비용곡선은 장기한계비용곡선보다 가파르게 교차한다. [그림] 장기한계비용곡선의 도출 비용 생산량 0 Q2 LTC Q1 Q0 E0 E1 E2 STC0 STC1 STC2 비용 생산량 0 Q2 LMC Q1 Q0 E0 E1 E2 SMC0 SAC2 SMC1






'시리즈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점시장에서의 가격과 생산  (2) 2015.03.13
완전경쟁시장에서의 가격과 생산-생산물시장의 이론  (0) 2015.03.03
생산자선택의 이론-기업과 생산함수  (0) 2015.02.21
소비자선택이론의 응용과 확장  (0) 2015.02.17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 : 편승효과)-스놉 효과(snob effect : 白鷺效果)- 베블렌 효과(veblen effect)  (0) 2015.02.15
Posted by MSNU






favicon

MADE FOR ALL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609)
    • 러시아어 (16)
    • myPPT (414)
    • 시리즈 (166)
      • OS (14)
      • 회계 (57)
      • 경제 (22)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