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 
협의체 

발표순서
세계 경제협의체의 정의
 각국 정상 혹은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장들의 회의
 영어단어 ‘Group’의 첫 글자 ‘G‘ +
  참가국 수
(예: G5, G6, G7, G8, G20)
 G5에서 출발      2010년 G20
 G20의 결정은 세계 경제에서 결정적인 영향력
세계경제협의체의 영향력
세계 경제협의체의 발전 
세계 경제협의체의 발전
G5와 1차 오일쇼크
G5와 1차 오일쇼크
 플라자 합의
• 미국은 80년대 초 레이건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개인 소득세를 대폭 삭감하고 재정지출은 유지함으로써 대규모 재정적자를 발생
• 85년대 대일 무역적자 4백29억 달러로 확대
• 1985년 9월 G5 재무장관들이 뉴욕 플라자호텔에 모여서 합의

G5





 플라자 합의의 결과
• 독일 마르크화는 1주만에 달러화에 대해 약 7% 상승
• 엔화는 8.3% 상승하는 즉각적인 변화
• 이후 2년 동안 달러 가치는 30% 이상 급락
• 미국 제조업체들은 달러 약세로 가격경쟁력 상승
• 미국 경제의 회복세


G6의 출범
 재무장관 모임(G5) 정상급 모임(G6) 
 1975년 프랑스에서 최초로 G6 정상회의 개최



G7
 1976년 6월 2차 G6 정상회의 
• 캐나다를 초청한 것을 계기로 정식회원국이 됨
  G7 정상회의로 확대 개편
 1978년 2차 오일쇼크를 계기로 결속력을 다짐
• 1978년 오일쇼크 여파가 1980년대까지 이어짐
• 1981년 정상회담부터 차기 정상회담 의장국을 명시
 루브르 합의(1987년 2월)
• 달러의 하락(150엔 전후)은 각국의 경제성장을 저해
• 통화 안정에 관해 정리한 합의









G7과 환율협정을 위한 정책공조
 주요의제의 변화
 경제정책 공조와 환율 협정     1980년대 변화
• 환율관리를 위한 정책공조가 상대화
 정부의 재정 정책은 지양
 통화 정책 강조 (인플레이션 통제, 중앙은행의 독립성 및 신뢰성 강화)
 환율은 덜 중요해짐
• 다루어지는 의제와 고려되는 주제가 확대
 국제금융기구 개혁과 개도국 발전
 외채 문제 등을 주요하게 논의
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를 뒷받침, 신자유주의 정책개혁 안정화
 IMF기능강화, 개발도상국 정책지원 문제
G8
 1991년 G7 정상회담에서 러시아가 처음 참석
 미국과 러시아의 전략무기 감축에 합의
   경제적 이슈 외에 정치문제까지 다루는 계기
 1993년 러시아가 처음 G7 정상회담에 참가
 나머지 회원국들의 반대, but 핵무기 문제
 1998년 러시아가 정식회원국으로 채택
 국제정세에 대한 논의가 더 활발히 이루어짐




G20과 5대 의제
G20과 5대의제
G20과 5대의제
결론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