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14C47566FDE63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B4647566FDE65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DDB47566FDE68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61347566FDE6A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59D47566FDE6C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C2847566FDE6D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4C547566FDE6F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C5547566FDE71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65F47566FDE73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F9C47566FDE740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BB347566FDE75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A3F47566FDE78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3C147566FDE7A2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94B47566FDE7C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F1B4C566FDE7E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2134C566FDE80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3C94C566FDE83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B4D4C566FDE85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9A84C566FDE86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73C4C566FDE88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2EF4C566FDE8A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B134F566FDE8C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31B4F566FDE8E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D2F4F566FDE903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D324F566FDE91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7144F566FDE930B)
▶
냉매
중
산분
측정
Method 1.
(1) 산분 측정을 위한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테인레스철 관
-저울 1000g x 0.1g
-100mL 스테인레스 실린지
-파이프에 맞는 볼트 two 1/4“ 스테인레스철 밸브
-female 파이프 two 1/4“ × flare fitting
-Swagelok 1/16" ×Swagelok reducing union1/4"
-Swagelok 1/4"×1/4" flare AN adaptor
-1/4"×1/4" 동 연결기
-1/4“ intlet NTP male ×1/4" outlet NPT female Hoke pressure relief valve
-250mL Erlenmeyer 플라스크
-Bromothymol 블루 나트륨염
-Spectrophotometric grade isopropanol
-Spectrophotometric grade toluene
-메탄올의 0.1N 수산화인
-0.1N 황산
-메탄올 용액
-교반기
-초순수
-뷰렛
(2) 측정에 사용하는 샘플분석을 하기 위해 제조하는 시약은 다음과 같다 .
-0.1N KOH 용액 : 1000mL 륨 플라스크에 0.1N KOH 용액 100mL 를 피펫으로 넣는다 .
증류수로 마크가 있는 선까지 희석한 후 전체 섞는다 .
-0.1N 황산용액 : 1000mL 볼륨 플라스크에 0.1N 황산용액 100mL 를 피펫으로 넣는다 .
증류수로 마크가 있는 선까지 희석한 후 전체 섞는다 .
-추출액 : 이소프로판올 495mL 에 톨루엔 495mL 를 넣는다 . 톨루엔이소프판올 용액에
물 10mL 추가한 후 전체 섞는다 .
-브로모티몰 블루 지시약 용액 : 메탄올 100mL 에 브로모티몰 블루 산염 1g을 용해한다 .
전체를 섞고 dropper 병에 보관한다 .
(3) 제조한 시약을 사용하여 실린더 , 밸브, 모세관, 동연결기 등의 기기를 사용한 샘플 분석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① 전체적으로 처음 시험전에 100mL 스테인레스강 실린더 , 밸브,모세관, 동 연결기 ,
250mL Erlenmeyer 플라스크를 세척한다 . 230℉(110℃)와 완전 진공까지 그 성분을 모두
가열한다
② 그 실린더의 무게를 약 0.01g 까지 만들고 X로 이 무게를 나타낸다 .
③ 실린더에 담긴 샘플에 증기밸브와 만들어진 실린더를 1/4″동 연결기로 연결한다 . 증기
밸브를 열어라 :
연결기를 느슨하게 하고 재빨리 맞게 조여라 .
이것은 대기의 1/4″연결기에 purge 될 것이다 .
④ 샘플을 만들어진 실린더로 바꾼다 . 샘플의 실린더 밸브를 연후 만들어진 실린더 밸브를
열어라. 50~100g 의 냉매를 취해질 때까지 만들어진 실린더에 냉매를 넣는다 .
⑤ 만들어진 실린더 밸브를 닫고 샘플이 담긴 실린더를 똑바로 세운다 . 샘플이 담긴 실린더
밸브를 닫는다 : 1/4″연결기를 느슨하게 하고 만들어진 실린더를 제거한다 .
⑥ 냉매가 담긴 만들어진 무게를 다시 달고 이 값을 Y로 나타낸다 . 냉매의 무게는 Y -X =
샘플링 된 냉매로 주어진다 .
⑦
준비됙
추출용액
100mL 륹
Erlenmeyer 플라스크에
취한다
. 마그네틱바륹
세척한
후
넣는다. 추출액에
지시약
6방울읁
넣고
처음과
같이
교반한다
.
⑧
추출액이
노란색읁
띈다면
뷰렛읁
이용해
녹색이
됚
때까지
0.1N 수산화인읁
첨가한다
.
뷰렛의
반
정도는
실제
종말점이
나타나는데
필요하다
.
⑨
추출액이
녹색이나
파란색으로
변한다면
뷰렛으로
0.1N 황산읁
노란색으로
변핝
때까지
첨가한다.
⑩
세척됙
미세
연결기륹
샘플읁
포함한
만들어진
실린더에
연결하고
완전히
열릱
때까지
실린더
밸브륹
천천히
열어
추출액에
모든
샘플이
들어가도록
한다
.
⑪
샘플읁
추출액에
추가한
후
용액의
색이
녹색이나
파란색이라면
결과는
“
nondetect“
로
기록한다
. 용액이
노란색이라면
약
0.01mL(V1) 로
뷰렛의
부피륹
기록하고
녹색
종말점에
이륹
때까지
0.1N KOH 륹
떨어뜨린다
. 0.01mL 까지
최종뷰렛부피를기록
한다.(V2)
0.1N KOH 첨가한
최종
부피
Vf = V2 -V1
ppm(HCl) = Vf ×KOH normality ×36500/ 샘플
냉매
무게
Method 2.
개요
시료륹
기화시켜
물
속으로
불어넣고
브롬크레졸그린읁
지시약으로
하여
수산
화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여
염산으로
산분읁
구한다
.
⑴
기구에는
흡수병
(그림
8), 삼.
플라스크
(그림
9), 코니컬
비커
500mL .
있다
.
그림
8. 흡수병
그림
9. 삼각
플라스크
⑵
시약
-브롬크레졸린그린
용액
(1g/L)
-0.01mol/L 수산화나트륨
용액
0.1mol/L 수산화나트륨
용액
(4,000g NaOH/L) 읁
이산화탄소륹
포함하지
않는
물읁
사용하여
10배로
희석하고
풀리에틸렌
용기에
보존한다
.
준비한
흡수병
4개에
각.
이산화탄소륹
포함하지
않는
물
100mL 륹
넣고
도관으로
직렬
연결하여
첫
번째의
흡수병
앞에
삼.
플라스크륹
부착한다
.
⑶
조작
①
삼각
플라스크를
갈아
맞춤부로부터
떼어내
시료
약
100g 을
끓어
오르지
않도록
냉각하면서
칭량하고
즉시
갈아
맞춤부를
본래대로
접속한다
.
②
실온에서
자연적으로
증발시켜
시료가
기화를
끝냈을
때
흡수병의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물을
합쳐서
그
일부로
삼각
플라스크를
세정하고
코니컬
비커에
옮겨
넣는다
.
③
여기에
지시약으로서
브롬크레졸그림
용액
(1g/L) 2.3 방울을
가하고
0.01mol/L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며
황색에서
청색으로
변하는
점을
종말점으로
한다
.
④
동시에
흡수병의
세
번째
및
네
번째의
물을
합쳐서
이것을
바탕
시험으로
한다
.
⑷
계산
×100
O=
여기서
O: 산분(HCl 로서)(%)
D: 적정의
1.01mol/L 수산화나트륨
용액
소비량
(mL)
E: 바탕
시험의
0.01mol/L 수산화나트륨
용액
소비량
(mL)
S: 시료의
무게
(g)
▶
냉매
중
수분
측정
Method 1.
(1) KF 전기량 분석 적정기를 이용한 수분측정을 하기 위한 장치는 아 래와 같다 .
-KF 전기량 분석 적정기
-75mL 스테인레스 철 실린더
-2 개의 1/4“stainless steel valve with male pipe fitings
-2 개의 1/4"female pipe ×1/4" flare fittings
-Geverator 용액
-Cathode 용액
-스테인레스 철 미세관
-1/4" NPT ×1/4" FPT 압력밸브
-1/16" Swagelok ×1/4" Swagelok reducing union
-1/4" Swagelok ×1/4" flare AN adaptor
-저울, 1000g ×0.01g
-Ring stand with clamps
-Heat gun
-Nalgene 데시게이터
-실린지 10㎕
-1/4" ×1/4" 동 플레어 연결기
-10mL gastight syringe with deflected point needle
-septum : Included as an accessory with the Karl Fischer titrator
(2) 중.고압
냉매의
샘플
분석순서는
다음과
같다
.
①
한시간
동안
230℉(110℃)에서
오븐에
1/4″동
플래너
연결기와
미세기관
튜브
,
만들어진
실린더를
넣는다
.
②
오븐에서
그
실린더를
꺼내고
모든
조립품을
뜨겁게
하면서
완전
진공상태로
한
후
30미크론으로
만든다
.
③
밸브를
닫고
마개를
씌운다
. 데시게이터에서
실온이
될때까지
그
실린더를
냉각시킨다
.
④
약
0.01g 의
오차까지
만들어진
실린더의
무게를
다시
달고
X로
이
값을
나타낸다
.
⑤
heat gun 으로
만들어진
실린더
밸브의
flare fitting 과
30초
동안
샘플이
들어있는
실린더
flare fitting 을
가열한다
. 이
방법은
잔여
수분이
제거
될
것이다
.
⑥
오븐에서
1/4″동
연결기를
꺼내고
그것을
미리
샘플이
담긴
실린더
증기쪽으로
연결한다. 만들어진
실린더는
샘플이
담긴
실린더에
따라
변하게
된다
.
⑦
fitting 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1/4″동
플래너
연결기로
기상의
냉매를
소량
purge 한다.
⑧
실온이
될
때까지
1/4″동
플래너
연결기를
냉각한다
.
⑨
샘플이
담긴
실린더를
만들어진
실린더로
바꾼다
.
⑩
만들어진
실린더를
열고
실린더
안에
액체냉매
5~30g 넣는다. 실린더의
밸브를
닫고
어림잡아
수분
값
클수록
샘플에
필요한
양은
작아진다
. N&R 냉매에서
수분
실험에서
10g 의
샘플
무게는
적당하다
.
⑪
샘플이
담긴
실린더의
증기
부분을
열고
만들어진
실린더
밸브를
닫는다
. 샘플이
담긴
실린더를
똑바로
세우고
만들어진
실린더에
drain 위해
1/4″동
연결기를
통해
액체
냉매를
넣는다
.
⑫
샘플
실린더
증기
부분
밸브를
닫고
샘플
실린더와
만들어진
실린더
사이의
1/4″동
연결기를
떼어낸다
.
⑬
만들어진
실린더
무게를
약
0.01g 까지
다시
달고
그
냉매를
샘플화
한다
. 이
값을
Y로
나타낸다
.
⑭
Y-X= 샘플화된
냉매의
g수로
샘플
무게를
측정한다
.
⑮
오븐에서
미세관
튜브를
꺼내고
그것을
만들어진
실린더에
연결한다
. 미세관
튜브가
cathode 막
수준이
되게
하기
위해
KF 적정기에
새로운
septum 을
설치한다
.
미세관
튜브를
만들어진
실린더의
1/4″플래어에
연결한다
. 그
만들어진
실린더를
똑바로
세운다
.
샘플의
introduction 은
Aquastar 주위의
수분이
안정적일
때
준비한다
.
그
검출기
pilot lamp 는
노란색이
된다
.
EM Science Aquastar C200 에
“샘플”이라고
붙여라
. 만들어진
실린더의
밸브를
열고
Karl Fisher 시약에
통과하기
위해
기상
냉매를
보낸다
. 그런
것이
미세관
튜브에서
발생을
제한하기
위해
매우
느리게
진행된다
. Slight chilling 은
만들어진
실린더에서
나타난다
. 그
방법을
통해
70℉와
90℉사이의
실린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heat gun 을
이용한다
.
모든
액체냉매가
Karl Fischer 시약에
통과했을
때
250℉(121℃)까지
만들어진
실린더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
heat gun 을
이용하고
만들어진
실린더
주위의
모든
수분을
없애준다
.
모든
샘플을
한번
적정기에
넣고
밸브를
닫는다
. Tritration 이라
붙이고
현존하는
수분의
㎍값을
기록하기
위해
Karl Fischer 적정기를
이용한다
.
이
값을
기록했을
때
샘플의
ppm값을
얻기
위해
냉매의
무게로
그것을
나눈다
.
ppm H2O =
(3) 저압
냉매의
샘플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다
.
①
수분
측정에
사용을
위해
10mL 실린지를
세척하고
말린다
. 그
실린지와
needle 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그것들을
데시게이터
안에
저장한다
.
②
Karl Fischer 분석자와
조작
매뉴얼을
준비한다
.
③
저압
냉매
5~8mL 샘플을
채취하고
실린지
needle 에
septum 을
연결한다
.
④
septum 에
연결된
실린지를
약
0.01g 의
무게로
재고
이
값을
X로
나타낸다
.
⑤
KF적정기에
“
Sample”이라고
붙인다
.
⑥
needle 의
septum 을
제거하고
KF병의
septum 샘플링
포트를
통해
그
needle 을
주입한다
. 샘플도
주입하고
적정은
자동적으로
시작된다
.
⑦
septum 마개를
실린지
needle 에
다시
연결하고
약
0.01g 까지
무게를
잰다
. 이
값은
Y로
나타내고
X-Y= 샘플화된
냉매의
g.
⑧
수분
농도가
KF적정기에
의해
계산된다면
다음과
같다
.
ppm H2O =
Method 2.
칼피셔법의
용량
적정법
메탄올읁
주로
하는
용매에
시료
중의
수분읁
용해시킨
후
KS M 0010 4.3( 용량
적정법
)에
따라
칼피셔
적정읁
한다
.
⑴
장치
및
기구에는
적정
플라스크
(그림
10)와
시료채취기구
(그림
11).
있다
. 사용
전에
잘
건조한다.
그림
10. 적정
플라스크
그림
11. 시료채취기구
⑵
시약
-적정
용제는
KS M 0010 의
4.3.3(6)( 적정
용제
)에
규정하는
것
또는
품질이
이와
동등
이상
이어야
한다
.
-칼피셔
시약은
KS M 0010 의
4.3.3(7)( 칼피셔
시약
)에
규정하는
역가.
1mg H2O/mL 이하
인
것
또는
품질이
이와
동등한
것읁
사용한다
.
⑶
준비
①
시료의
채취는
시료
채취
용기의
입구
밸브륹
아래로
하여
채취
용도관읁
연결하고
채취용
도관의
다른
끝읁
시료
용기에
접속한다
.
②
시료
용기의
밸브륹
열고
시료
채취
용기의
출구
밸브륹
여럊
차례
개폐하여
시료륹
액
상태로
도입한
후
입구
밸브
및
출구
밸브륹
닫고
시료
용기륹
떼어
낸다
.
③
입구
밸브륹
위로하고
입구
밸브륹
여럊
차례로
개폐하여
여분의
시료륹
배출하고
시료량읁
채취
용기
내용량의
약
80%로
조절한다
.
④
적정
장치의
조젅
적정
플라스크에
적정용
용매륹
소정량
주입하고
칼피셔
시약읁
넣어서
무수
상태로
한다
. 용매
양은
약
200mL 로
한다
.
⑷
조작
①
시료
채취
용기의
무게륹
달고
주사
바늘읁
장착한다
.
②
시료
채취
용기의
주사
바늘읁
적정
플라스크의
시료
주입용
실리콘
고무판읁
통하여
바닥부분에
이르도록
꽂아
놓는다
.
③
적정
플라스크의
용매륹
휘저으면서
약
100g의
시료륹
주입한다
.
④
주입
속도는
1~2g/min으로
하며
출구
밸브륹
부근에
결로.
생기지
않도록
열풍으로
가온한다.
⑤
주사
바늘읁
빼내어
①과
마찬가지로
무게륹
달고
주입하기
전과의
차륹
시료의
무게로
한다.
⑥
적정
플라스크
안의
수분은
즉시
칼피셔
시약으로
무수
상태.
됚
때까지
적정하여
시약의
소비량읁
읽는다
.
⑸
계산
여기서
H: 수분
(%)
D: 적정에
필요한
칼피셔
시약의
양
(mL)
f: 칼피셔
시약
1mL 에
대응하는
물의
mg수
S: 시료의
무게
(g)
Method 3.
칼피셔법의
전기량
적정법
메탄올읁
주로
하는
용매에
시료
중의
수분읁
용해시킨
후
KS M 0010 의
4.4( 전기량
적정법
)에
따라
칼피셔
적정읁
한다
.
⑴
장치
및
기구는
시료
채취
기구
(그림
11)와
전기량
적정장치
(그림
12)륹
이용하되
사용하기
전에
잘
건조하여야
한다
.
그림
12. 전기량
적정장치
⑵
시약은
양극액
KS M 0010 의
4.4.3(a)( 양극액)과
음극액
KS M 0010 의
4.4.3(1)(b)( 음극액)에
규정하는
것
또는
품질이
이와
동등
이상이어야
한다
.
⑶
준비
①
시료의
채취는
칼피셔법의
용량적정법에서의
채취법에
따르며
적정
장치의
조제는
적정조에
양극액의
소정량
및
음극액
5mL륹
주입한다
. 전해
전류륹
흘려
종말점이
됚
때까지
요오도륹
발생시켜
적정
조안읁
무수
상태로
한다
. 양극액
양은
약
200mL 로
한다.
②
조작
시료의
주입은
적정조
안의
수분은
즉시
KS M 0010 의
4.4.4( 조작)에
따라서
전기량
적정읁
하고
이
때의
전기량
또는
수분의
무게륹
읽는다
.
⑷
계산
지시값이
전기량인
경우
지시값이
수분의
무게인
경우
여기에서
H: 수분(%)
Q: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기량
(C)[전류(A)×시간(s)]
G: 수분의
무게
(㎍)
S: 시료의
무게
(g)
F: 장치의
특성
등에
따른
보정
계수
Method 4.
전기
분해법
오산화인
피막읁
부착시킨
한
쌍의
백금
전극에
직류
전압읁
가해
두고
가스
상태의
시료륹
일정한
속도로
도입한다
. 가스
중의
수분은
오산화인
피막에
흡착되어
전기
분해된다
. 분해
전류의
양은
패러데이의
법칙에
따라서
가스
중의
수분
농도에
비례하므로
분해
전류값으로
부터
미리
작성한
검량선읁
사용하여
시료중의
수분읁
구한다
.
⑴
장치는
기화기
, 기름, 분리기, 탈습기, 전해식
수분계
등
기기륹
사용
하여
그림
13과
같이
조립한다.
-기화기는
시료륹
완전히
기화하고
유량읁
조절핝
수
있는
것으로
한다
.
-기륺
분리기는
시료
중의
유분이
전해식
수분계로
흘러들지
않게
하는
기능읁
갖는
것으로
한다
.
-탈습기는
합성
제올라이트
등의
충전통읁
사용한다
.
-전해식
수분계는
유량계
, 전해
셀
, 전류계
및
감쇠기로
구성되며
0~0.1 vol% 의
수분읁
측정핝
수
있는
것으로
한다
.
그림
13. 전기분해법의
구성
장치
⑵
조작
①
장치의
전원읁
넣고
탈습됙
질소륹
흘려서
미리
장치
내륹
잘
건조시켜
두고
시료
용기륹
시료.
액상측에서
도입되도록
장치에
접속하여
일정한
유속으로
시료륹
도입
한다.
②
적당한
측정
범위륹
선택하고
전류계
지시.
안정됙
후에
값읁
읽어
검량선으로부터
수분읁
구한다
.
⑶
검량선의
작성
시료륹
사용하여
칼피셔법으로
측정한
수분값이
다른
것
2.
이상읁
표준
시료로
하여
준비
하여
⑵의
조작에
의해
표준
시료에
대하여
측
정한다
. 지시값과
미리
알고
있는
수분값과의
관계로부터
검량선읁
작성한다
. 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표준
시료에
대해
측정하고
측정
수분값이
표준
수분값±
10%의
범위륹
초과한
경우에는
검량선읁
다시
작성한다
.
Method 5.
수정
발진자법
흡습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수정
발진자는
수분읁
흡착하면
수분량에
따라
주파수.
변화하는
성질읁
갖는다
. 이러한
특성읁
이용하여
발진자
주파수륹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증폭하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읁
이용하여
시료
중의
수분읁
구한다
.
⑴
장치는
기화기
, 기륺
분리기
, 탈습기, 수정
발전자식
수분계
기기를사용하며
그림
14와
같이
조립한다
.
-기화기는
시료륹
완전히
기화하고
유량읁
조절핝
수
있는
것으로
한다
.
-기륺
분리기는
시료
중의
유분읁
수정
발진자
수분계로
흘러들지
않게
하는
기능읁
갖는
것으로
한다
.
-탈습기는
합성
제올라이트
등의
충전통읁
사용한다
.
-수정
발전자식
수분계는
2개의
수정
발진자
(수정
발진자에
흡습성
물질의
박막이
도포되어
있는
것으로
이하
발진자라고
한다
.)륹
일정
주파수로
진동시키고
흡착
수분에
의한
발진자의
무게
변화.
고유
주파수륹
바꾸어
이
변화륹
전기적으로
검출하고
지시
핝
수
있는
장치륹
사용한다
.
그림
14. 수정
발진자법
장치구성
⑵
조작
①
장치의
전원읁
넣고
정온
상태.
됚
때까지
적당한
일정
유속으로
질소륹
장치에
도입
하여
유로륹
건조한다
.
②
시료륹
액상부로부터
채취핝
수
있도록
시료
용기륹
장치에
접속하고
시료
유로에
흐르는
질소륹
차단하고
, 건조
가스
유로의
질소륹
적당한
유속으로
조정하고
시료
용기의
밸브륹
열고
기화기에
시료륹
통하게
하여
적당한
압력
및
유속으로
조정한다
.
③
지침의
진폭읁
읽읁
수
있도록
측정범위륹
선택하여
진폭지시.
중앙에서
좌우.
같도록
균형
손잡이로
조절하여
지침의
진폭이
일정하게
됙
후
지침좌우.
지시값읁
읽어서
검량선으로부터
수분읁
구한다
.
Method 6.
정전
용량법
산화알루미늄의
다공질
박막은
주위
수증기
분압의
변화에
따라
수분읁
흡착
또는
방출하여
동적으로
평형에
달하며
또한
전기적으로
기공
속에
흡착됙
수분량에
따라
정전
용량이
크게
변화하는
성질읁
갖는다
. 이러한
특성읁
이용하여
금
, 알루미늄
및
산화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검출부에
기체
상태의
시료륹
접촉시키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읁
사용하여
시료
중의
수분읁
구한다.
⑴
장치는
기화기
, 기륺
분리기
, 탈습기, 유량계, 검출기, 노점계등
기기
륹
사용하며
그림
15와
같이
조립한다
.
-기화기는
시료.
기화하고
유량읁
조절핝
수
있는
기능읁
갖는
것으로
한다
.
-기륺
분리기는
시료
중의
유분읁
검출기에
흘러들지
않게
하는
기능읁
갖는
것으로
한다
.
-탈습기는
합성
제올라이트
등의
충전통읁
사용한다
.
-정온기는
40~50℃에서
±
1.0 ℃의
정밀도륹
갖는
것으로
한다
.
-유량계는
0~3L/min 의
유량읁
측정핝
수
있는
것으로
한다
.
-검출기는
알루미늄의
표면에
산화알루미늄의
박막읁
형성시키고
그위에
금읁
중착한
것으로서
검출기
보호
통속에
내장한
것으로
한다
.
-노점계는
검출기의
인피던스.
-80~-20 ℃의
노점범위에서검지할수있는전류계륹
사용한다.
그림
15. 정전용법량의
장치
구성
⑵ 조작
① 시료의 유로에 건조 가스를 통하게 하여 충분히 건조하며 정온기의 온도를 40~50℃
사이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노점계의 전원을 넣고 시료 용기를 장치에 접속하여 시료가
적절한 일정 유속이 되도록 밸브를 조절한다 .
② 검출기의 수분이 평형에 이르고 노점계의 지시가 안정된 후 표선을 읽어서 검량선으로
부터 수분값을 구하며 , 검량선의 작성은 전기분해법 검량선의 작성과 같이 조작하여
검량선을 작성한다 .
프레온-11, 12, 22, 113, 114, HFC-134a 는 상기와 같은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며 표
6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
표
6. 프레온
11, 12, 22, 113, 114, 및
HFC-134a 시험
규정
프레온-11 프레온-12 프레온-22 프레온-113 프레온-114 프레온-134a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이며
무색이며
무색
투명
겉
모양
할
것
할
것
할
것
탁하지
않을
것
탁하지
않을
것
할
것
다른
냄새
다른
냄새
다른
냄새
이물질의
이물질의
다른
냄새
냄새
가
없을
것
가
없을
것
가
없을
것
냄새가
없을
것
냄새가
없을
것
가
없을
것
순도(%) 99.5 이상
99.5 이상
99.5 이상
99.5 이상
99.5 이상
99.5 이상
증발잔분
% 0.01 이하
0.01 이하
0.01 이하
0.01 이하
0.01 이하
0.01 이하
산분(%)
0.0001 이하
0.0001 이하
0.0001 이하
0.0001 이하
0.0001 이하
0.0001 이하
(HCl 로서)
수분(%) 0.002 이하
0.001 이하
0.002 이하
0.002 이하
0.002 이하
0.002 이하
▶
증발
잔류물
측정방법
Method 1.
(1) 입자의
잔여물과
부피
, 중량
측정에
의한
끓는점
(고비등)에서
잔여물
측정장치는
다음과
같다.
-Geotz graduated centrifuge tube : 100mL
-Boileezers, carborundum crystals
-Disposal aluminum dish
(2) 입자의
잔여물과
부피
, 중량
측정에
의한
끓는점
(고비등)에서
잔여물측정
샘플분석중
HBR v% 측정은
다음과
같다
.
①
다음과
같이
Geotz bulb 에
샘플을
100mL 측정한다
.
-COREK25M6FFKX7GAXID3 저압냉매
(R-11,R-113, R-123) 에서
Goetz bulb 에
100mL
액체
냉매를
넣는다
.
-bulb 를
막아놓는
동안
샘플
용액을
섞은
후
빛
, 창문
앞에
그
bulb 를
넣고
문제의
입자들이
있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 입자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통과”라고
기록하고
②단계를
진행한다
.
②
소형
보일러를
추가하고
115℉(45℃) 일정온도
bath 에
Goetz bulb 를
넣는다
. 약
20~25mL 까지
그
bath 에
빠뜨린다
. 모든
냉매가
완전히
증발될
때까지
bath 로부터
bulb 를
이동하지
않는다
③
bath 로부터
Goetz bulb 를
이동하여
그
외부를
말리고
눈으로
남은
잔여물
mL를
측정
한다. 약
0.005mL 정도까지
측정한다
.
④
관찰된
잔여물이
≤0.01mL 라면
아래의
계산으로
진행된다
. 만약
관찰된
잔여물이
>0.01mL 라면
⑤단계로
진행한다
.
⑤
30분동안
140℉(60℃) 오븐에
Goetz bulb 를
똑바로
세우고
이동하여
냉각한
후
측정
한다. 그리고
잔여물의
부피를
기록한다
.
HBR Vol.% =
A: 뷰렛에
남아있는
잔여물의
부피
(mL)
B : bulb 에
추가된
샘플의
부피
(mL)
(3) 입자의
잔여물과
부피
, 중량
측정에
의한
끓는점
(고비등)에서
잔여물
측정
샘플분석중
W%( 중량%) 측정은
다음과
같다
.
①
아세톤에
담근
알루미늄판을
준비하고
적어도
30분동안
140℉
(60℃)에
그것을
넣는다. 핀셋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차가워질
때
까지
(15~20분) 데시게이터에
넣는다
.
②
핀셋을
이용해
데시게이터에서
그
팬을
꺼내고
용기중량을
잰다
.
③
(2)①
bulb 마개로
보관된
Goetz bulb 에
고순도의
R-11 이나
R-14 를
20mL
추가하고
잔여물을
재용해와
용액에
존재하는
입자를
녹이기
위해
흔들어준다
.
④
팬에
있는
Goetz bulb 에
그
용액을
조심스럽게
넣는다
. 양전달
효과를
위해
그
용액의
8mL 를
나누어
2개
이용한다
. 알루미늄
팬에
잠그기
위해
보일러를
틀어넣지
않으나
그것이
발생할
경우
조심스럽게
금속
핀셋을
이용해
제거한다
.
⑤
후드안에
알루미늄
팬을
조심스럽게
넣고
R-11 이나
R-14b 용액을
증발시킨다
.
⑥
30분동안
140℉(60℃)오븐에
그
팬을
넣고
차가워질
때까지
(20~30분)
데시게이터에
넣는다
.
⑦
핀셋을
사용하여
그
팬을
옮기고
다시
무게를
재서
잔여물
무게차를
기록한다
.
HBR Wt.% =
A : (3) ⑦의
잔여물
무게
g
B : (2) ①의
샘플
무게
g
Method 2.
개요시료를
증발시키고
그
찌끼의
무게를
측정하여
증발찌끼를
구한다
.
⑴
장치
및
기구
-증발기는
칭량관
및
증발관으로
구성되며
보기를
그림
7에
나타냈다
.
-수조-1 은
상온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
-수조-2 은액
90℃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
-항온조는
105±2℃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
-데시케이터는
건조제로서
실리카
겔을
사용한
것으로
한다
.
⑵
디클로로메탄
⑶
조작
①
칭량관을
105±2℃의
항온조
속에서
약
30분간
건조하고
데시케이터
안에서
냉각한
후
그
무게를
0.1mg 까지
달아
증발관에
접속한다
.
②
증발기의
표선에
맞추어
시료
500mL 를
끓어오르지
않도록
냉각하면서
칭량하고
칭량관
부분을
수조
안에
담가서
시료를
증발시킨다
. 칭량관
수조
안으로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시료가
1.5~2h 에
증발한다
.
③
시료가
기화한
후
약
10mL 의
디클로로메탄을
증발기에
넣어
내벽을
씻고
, 씻은
액을
칭량관에
모은다
. 칭량관
부분을
약
90℃의
수조에
담가
디클로로메탄을
증발
시킨다.
④
기화
후
떼어낸
칭량관을
105±2℃의
항온조
속에서
약
30분간
건조하고
데시케이터
안에서
냉각한
후
그
무게를
0.1mg 까지
단다
.
⑷
계산
여기서
R : 증발찌끼(%)
R=×100
mL : 칭량관의
무게
(g)
mo : 시료를
기화시킨
후의
칭량관의
무게
(g)
S : 시료의
무게
(500×1.37)(g)
그림
7. 증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