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 개념과 법칙들
음성
음운
* 음운이란
음운은 의미와 관계가 있다.즉 음운은 의미의 차이를 내는 최소의 문법 단위인 것이다.
* 주의해야 할 점:
인체의 발음기과-----동물,기계,소음 등
의미를 가지는 소리----- 기침, 하품 등
차이점과 공동점
음운과 음성의 차이점
설명: 같은 음운이라도 환경에 따라서 다른 음성으로 발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고기’ 라는 단어에서 앞의 ‘ㄱ’과 뒤의 ‘ㄱ’은 동일한 하나의 음운이지만 각각 무성음 [k]와 유성음[g]로 발음된다는 점에서 음성 차이가 있다.
* 단어 ‘비빔밥’중의 ‘ㅂ’,
외파음(무성음,유성음)과 내파음
음운에 대한 이해 1
* 음성은 인간의 발음 기관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소리이기 때문에 전세계언어가 모두 동일하다.그러나, 음운은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단위이기 때문에 그 수가 각 언어에 따라 다를 수가 있다. 한국어의 음운은 ?
현대한국어의 음운
* 1)Çѱ¹¾î¿¡¼´Â “¤¡,¤¢¡±ÀÌ °¢°¢ ´Ù¸¥ À½¿îÀÌÁö¸¸ ¿µ¾î¿¡¼´Â ÀÌ µÑÀÌ º¯º°µÇÁö ¾Ê´Â ÇϳªÀÇ À½¿îÀÌ´Ù.
* 2)ÆÄ¿À½ÀÇ À¯.¹«¼º ´ë¸³ÀÌ ¿µ¾î¿¡¼´Â ÀÎ½ÄµÇ¾î °¢°¢ ´Ù¸¥ À½¿îÀ¸•Î ÀÎÁ¤µÇÁö¸¸,±¹¾î¿¡¼´Â ÇϳªÀÇ À½¿îÀ¸•Î ÀÎÁ¤µÈ´Ù.
* 3) Çö´ë±¹¾î Ç¥ÁؾîÀÇ À½¿îÀ¸•Î ´Ü¸ðÀ½ 10°³, ÀÌÁß ¸ðÀ½ 11°³, ÀÚÀ½ 19°³•Î Àüü 40°³°¡ ÀÎÁ¤µÇ°í ÀÖ´Ù.
음운에 대한 이해 2
* 음운은 최소의 의미 변별 단위이긴 하지만, 그 자체로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만/반” 중의 “ㅁ/ㅂ”
* 음운은 정확히 소리마디의 경계를 그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분벌 음운과 비분벌음운으로 나눈다.
segmental phoneme
suprasegmental phoneme
자음과 모음
* 한국어의 분절음운 : 자음과 모음
* 소리를 낼 때 목안 또는 입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공기가 간신히 지나갈 만큼 좁혀지거나 하는 장애를 받고 나는 소리는 자음이다.
* 이상 말하는 장애가 없이 나는 소리는 모음이다.
모음
* 모음: 단모음과 이중 모음
* 단모음: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아 소리가 처음과 끝이 동일하다.
* 이중모음: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가 움직여서 소리의 처음과 끝이 다르다.
* 반모음: 본래 모음을 발음할 때보다 혀를 입천장에 더 접근시키면서도 자음을 발음할 때만큼은 접근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
모음의 분류
* 분류기준:
혀의 앞뒤
혀의 높이
입술의 모양
* 분류 : 전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중모음/저모음
평순모음/원순모음
단모음 체계
이중모음 체계
* j계(상향): ㅑ,ㅕ,ㅛ,ㅠ,ㅒ,ㅖ
* W계(상향): ㅘ,ㅝ,ㅙ,ㅞ
* ㅡ계(수평):ㅢ
자음 체계
* 분류 기준:
조음 위치
조음 방법
성대의 울림 여부
* 분류:
1)양순음,치조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2)파열음,파찰음,마찰음,비음, 유음
3)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
4)유성음,무성음
기준1
* 성대의 우림 여부에 따라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울림소리)과 울리지 않는 무성음(안 울림소리)으로 나뉜다.
모음이 모두 유성음이고,
한국어자음에는 “ㄴ,ㄹ,ㅁ,ㅇ”
기준2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비음
* 유음
파열음
*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를 일단 막았다가 그 막은 자리를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를 말하는데,일단 막은 것을 강조하여 정지음이라고도 한다.
ㅂ,ㅍ,ㅃ; ㄷ,ㅌ,ㄸ;ㄱ,ㅋ,ㄲ
마찰음
* 입안이나 목청 사이의 통로를 좁히고, 공기를 그 좁은 틈 사이로 내보내어 마찰음을 일으키면서 내는 소리
“ㅅ,ㅆ;ㅎ”
파찰음
* 막았다가 서서히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텨 내는 소리. 즉 파열음과 마찰음의 두가지 성질을 다 가지는 소리를 말한다.
ㅈ,ㅊ,ㅉ
비음
* 연구개와 목젖을 내려 입 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를 뜻한다.
“ㄴ,ㅁ,ㅇ”
유음
*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잇몸에 댄 채 공기를 그 양 옆으로 흘려 보내면서 내는 소리다.
* “ㄹ”
* “ㄹ”은 두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탄설음과 설측음.초성에 올 때 탄설음이고,종성에 올 때 설츨음이다.
기준3
* 양순음 “ㅂ,ㅍ,ㅃ,ㅁ”
* 치조음 “ㄷ,ㅌ,ㄸ,ㄴ;ㅅ,ㅆ;ㄹ”
* 경구개음 “ㅈ,ㅊ,ㅉ”
* 연구개음 “ㄱ,ㅋ,ㄲ,ㅇ”
* 성문음 “ㅎ”
자음 체계
음절
* 음운이 최소 의미 변별 단위임에 비하여, 음절은 한번에 낼 수 있는 소리마디를 나타내는 문법 단위이다.음절은 의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음성학적 문법 단위이다. 한국어에서는 음절이 이루어지는 방법은 네 가지이다.
음절 구조
한국어 음절의 특성
* 자음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 모음은 혼자서 음절을 이룬다—성절음
* 자음과 반모음은 성절음이 아니다.
* 음절은 초성,중성, 종성 세 부분이 있다.종성에 두개 자음이 하나의 발음.
* 음절의 숫자는 모음의 숫자와 일치한다.
예
* 집 앞으로 맑은 물이 흐른다.
“ㅣ,ㅏ,ㅡ,ㅗ,ㅏ,ㅡ,ㅜ,ㅣ,ㅡ,ㅡ,ㅏ” 11개의 모음있기 때문에 11개의 음절.
실제 발음대로 존재한 음절:
지바프로말근무리흐른다.
결론: 음절은 의미마디가 아닌 소리마디이다.
음운변동
* 한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서 변하는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끝소리 규칙
* 음절의 끝소리, 즉 받침이 되는 자음이 ‘ㄱ,ㄴ,ㄷ,ㄹ,ㅁ,ㅂ,ㅇ’의 일곱 가지만 올 수 있다는 규칙, 이외의 자음들은 음절 끝에 오게 되면 이것들 가운데 하나로 바뀐다.
* 끝소리 규칙의 구체적인 내용
음절의 끝소리 규칙
동화규칙
* 한 음운이 인접하는 다른 음운의 성질을 닮아가는 음운 현상이다.
* 동화의 대상에 따라 자음동화
모음동화
동화의 정도에 따라 완전동화
부분동화
동화의 방향에 따라 순행동화
역행동화
자음동화
* 가장 많이 나타나는 동화 현상이다.
* 두개의 자음이 만날 때,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기도 하고,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다 바뀌기도 하는 현상이다.
* 대표적인 현상: 비음화,유음화,구개음화,된소리되기
비음화
* 파열음이 뒤에 오는 비음에 동화되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 1)밥물[밤물]
섭리[섬니]
앞문[암문]
* 2)닫는[단는]
걷문[건문]
종로[종노]
* 3)국민[궁민]
국물[궁물]
깎는[깡는]
유음화
* ‘ㄴ’과’ㄹ’이 만났을 때 ‘ㄴ’이 ‘ㄹ’로 바뀌는 현상
* 1)신라[실라]
천리[철리]
논리[놀리]
* 2)칼날[칼랄]
찰나[찰라]
실날같이[실랄가치]
* 3)앓는[알른]
끓는[끌른]
훓는[훌른]
구개음화1
* 끝소리가 ‘ㄷ,ㅌ’인 형태소가 ‘ㅣ’나 반모음’ㅣ’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와 만나면 그 ‘ㄷ,ㅌ’이 구개음 ‘ㅈ,ㅊ’으로 바뀌는 현상
* 굳이[구지]
굳히다[구치다]
밭이[바치]
같이[가치]
붙이다[부치다]
구개음화2
* ‘ㄴ’ ‘ㄹ’ ‘ㅅ’이 ‘ㅣ’나 반모음‘ㅣ’와 결합할 때 구개음화된 ‘ㄴ’ ‘ㄹ’ ‘ㅅ’로 바뀌는 현상
* 녀석
보니
시간
씨
훌륭
경음화
* 두개의 안울림소리가 서로 만나면 뒤의 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으로, 내파음화에 의해 뒤의 평음이 경음으로 규칙적으로 변한다.
* 국밥[국빱]
역도[역또]
입고[입꼬]
젖소[젇쏘]
모음동화
* 모음 동화는 자음 동화 현상에 비하여 간단한 편이다.
* 크게 전설 모음화와 모음 조화를 들 수 있다.
전설모음화
* 앞 음절의 ‘ㅏ,ㅓ,ㅗ,ㅜ,ㅡ’가 뒤 음절에 전설 모음인 ‘ㅣ’가 오면 이에 끌려서 전설 모음 ‘ㅐ,ㅔ,ㅚ,ㅟ,ㅣ’로 변하는 현상
* 1)남비[냄비]
사끼[새끼]
멋장이[멋쟁이]
손잡이[손재비]
* 2)굶기다[귕기다]
죽이다[쥐기다]
뜯기다[띧기다]
모음 조화
*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
* 1)파랗다---퍼렇다
* 2)되어,놓아,죽어…
* 3)사각사각-- 서걱서걱
소곤소곤-- 수군수군
종알종알--중얼중얼
* 4)반들반들
번들번들
이화현상
동화규칙이 인접하는
두 음운이 서로
닮으려는 성질을 가진 것임에 비해서,
이화현상은 서로 달라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 모음 조화 파괴현상
* 사잇소리 현상(자음 삽입 현상)
모음 조화 파괴현상1
* ㄱ: 남아—[나머],작아---[자거]
* (ㄱ)은 변하기 전의 ‘남아,작아’가 표준 발음에 속하나, 모음 조화를 파괴시켜 ‘[나머],[자거]’로 발음함으로써 <축소>의미를 강조하고자 한 의도가 개재된 것으로 보인다.
모음 조화 파괴 현상2
* ㄴ: 소곰---[소금],처(ᅀ)엄—[처음]
* (ㄴ)은 역사적으로 변천해 온 모음 조화 파괴 현상을 보여준다. ‘ㅗ’를 ‘ㅡ’로, ‘ㅓ’를 ‘ㅡ’로 나타냄으로써, 첫 음절의 모음과 다르게 발음하는 것이다. 이것은 공시적 현상에서보다 통시적 현상에서 나타난다. 규칙적이기보다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
사잇소리 현상
*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그 사이에서 나타나는 소리 현상
* 보통 한국어에서는 세가지 사잇소리가 존재한다.
* 1)발음상 사잇소리가 있어야 한다: 초+불(촛불)[초뿔]
* 2) 이 현상에 따른 뜻의 분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나뭇집[나뭇찝]
* 3)앞뒤 음운 중 최소한 하나가 유성음이어야 한다:
밤+길 [밤낄]
이+몸(잇몸)[인몸]
• 초+불(촛불)[초뿔],
cf.고래+기름 [고래기름]
* 여기는 사잇소리 현상이 본래 순수한 음운 현상이 아니고 형태정보를 요구하는 형태론적 현상임을 말하는 것이다. 초+불의 발음이 [초뿔]이 되어 사이에 내파음 [t]가 개입되어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만, 고래+기름은 그 발음이 변함이 없기 때문에 아무 소리가 개재되지 않다.
* 이는 결합되는 어휘의 형태론적 특성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다.
2) 나뭇집, cf. 나무집
* ‘나무+집’ 구조에서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나무찝] 은 <나무를 파는 집>임에 비해서 [나무집]은 <나무로 만든 집>인 것이다.
* 사잇소리 현상에서는 뜻의 분화도 고려되어야 한다. 합성어를 구성하는 형태소 하나하나의 의미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밤+길[밤낄],집+일 [짐닐],이+몸(잇몸)[인몸]
* 사잇소리 현상과 된소리되기 현상을 대조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된소리되기 현상이 무성음과 유성음 연결시 나타나는 것임을 염두에 둔 것이다.
* ‘밤+길’ 유성음 뒤에 무성음이 나온 것
* ‘집+일’ 무성음 뒤에 유성음이 나온 것
* ‘이+몸’ 유성음 사이에 사잇소리[ㄴ]이 개재된 것
세 가지 사잇소리
* 집일[집닐] [짐닐] 에서 보는 것 처럼 [ㄴ]이 삽입되어 있다. 이는 내파음 다음에 ‘ㅣ’모음이 연속될 때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이다.
* 후두긴장자질을 표시인 [כ]는 [안찝]에서처럼 공명자음 뒤에서 들어간다.
* [t]는 전세계 언어에서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서 [+전방성,+설첨성]자질을 갖고 있어 그 분포가 매우 넓다.
축약과 탈락 규칙
* 축약과 탈락 규칙은 이어지는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결합되거나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규칙을 말한다.
* 자음 축약
* 모음 축약
축약
* 두 개의 자음이 이어지거나 두 개의 모음이 이어질 때, 제 3의 한 개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 1) 좋고[조코],많다[만타],잡히다[자피다],옳지[올치] 등
* 2) 가리+어 가려
두었다 뒀다
되어 돼
탈락
* 두 개의 자음이 이어지거나 두 개의 모음이 이어질 때,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 1) 솔+나무 소나무
* 2) 울+는 우는
살+시다 사시다
날+니 나니
* 3) 쓰+어라 써라
따르+아 따라
* 4) 가아 가
서+었다 섰다
어감의 분화
* 음운은 최소 의미변별 단위이다.
* 한국어의 모음과 자음은 모두 의미변별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훌륭한 음운으로 인정된다.
* 그런데, 어떤 단어들에서는 음운이 일부 바뀌었지만 의미가 변했다기보다는 어감만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 주로 의성의태어에서 일어난 현상이다.
모음에 관한 어감
* 양성 모음은 밝고 날카롭고 작고 가벼운 느낌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 1) 찰랑찰랑 출렁출렁
소곤소곤 수군수군
2) 대굴대굴 데굴데굴
3)깜깜하다 껌껌하다
4)고것 그것,가짓말 거짓말
자음에 관한 어감
* 된소리는 예사소리보다 강하고 단단한 느낌을 주고, 거센소리는 된소리보다 더 크고 거친 느낌을 준다.
* 1)달각달각 딸깍딸깍
졸졸 쫄쫄
2)덜썩 털썩
3)단단하다 딴딴하다 탄탄하다
제1장의 연습문제1
* 음성과 음운의 차이를 설명하라
*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에 대하여 설명하라.
* 한국어의 이중모음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라
* 한국어의 자음 체계에 대하여 설명하라
제1장의 연습문제 2
* 한국어의 비분절 음운에 대하여 설명하라.
*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라
* 다음의 예들을 보면서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대하여 설명하라.
“잎,옷;얽지,젊다;값도,앞날,옷이”
제1장의 연습문제3
* 다음의 예들에서 알 수 있는 자음 동화 현상을 설명하라.
* (ㄱ) 밥물, 섭리, 닫는 겉문, 국민, 부엌만
(ㄴ)신라, 논리, 칼날, 찰나, 앓는
(ㄷ)굳이,붙이다,녀석, 시간,훌륭
제1장의 연습문제3
* 경음화 규칙과 사잇소리 현상에 대하여 비교하여 설명하라.
* 축약 규칙에 대하여 설명하라.
* 어감의 분화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라.
제1장의 연습문제4
* 다음 모음 동화의 예를 보고, 이예 대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문제를 생각해보자.
( ㄱ) 멋장이—멋쟁이, 소금장이-소금쟁이
(ㄴ )아지랑이-아지랭이,미장이-미쟁이
어미-에미,먹이다-멕이다,
넘기다-넹기다넹기다,업히다-엡히다,
꾸기다-뀌기다,죽이다-쥑이다,
옮기다-욍기다,속이다-쇡이다
• 바뀌기 전의 모음과 바뀐 후의 모음들 사이에는 서로 어떤 관련이 있는가?
• 어떠한 환경에서 모음으로 바뀌었으며, 변동의 방향은 어떠한가?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두 한 켤레의 시 분석 요약 (0) | 2016.01.27 |
---|---|
대칭 암호 - 공통키 암호 (0) | 2016.01.23 |
태양계와 별-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0) | 2016.01.19 |
냉매 중 산분 측정, 수분 측정 (0) | 2016.01.16 |
빛 (Light) : 햇빛 ,형광등 , 레이저 (0) | 2016.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