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25F4856838C4B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5A84856838C50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D6E4856838C54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0694856838C56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7D64856838C59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3DA4856838C5B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5E74856838C5F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B3D4856838C61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A9A4856838C63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6FC4856838C66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31B4856838C67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2824856838C69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D9F4856838C6A2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3DB4856838C6D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3434C56838C70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F2D4C56838C73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CFF4C56838C783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8464C56838C7B18)
학습활동구두한켤레의시요점정리갈래: 서정시, 자유시성격: 회상적주제: 고향을다녀온뒤에떠올리는고향의이미지학습활동구두한켤레의시요점정리갈래: 서정시, 자유시성격: 회상적주제: 고향을다녀온뒤에떠올리는고향의이미지
학습활동화자의정서와태도1) 시적화자의상황
▶낡은구두를신고고향에다녀온후구두의덜그럭거리는소리를통해저문고향의모습을떠올리고있는나
▶고향의피폐한모습을건성으로듣고감지하지못함3) 시적화자의정서또는태도
▶피폐한고향을인식하지못한부끄러움과반성구두한켤레의시학습활동화자의정서와태도1) 시적화자의상황
▶낡은구두를신고고향에다녀온후구두의덜그럭거리는소리를통해저문고향의모습을떠올리고있는나
▶고향의피폐한모습을건성으로듣고감지하지못함3) 시적화자의정서또는태도
▶피폐한고향을인식하지못한부끄러움과반성구두한켤레의시
학습활동표현상특징
①현재형어미를사용하여시적정황을현장감있게전달함
②공간의이동에따른시상전개
③감각적이미지, 공감각적이미지를통해시적인상을부각시킴
④음성상징어를이용하여화자의심리를표현함.
구두한켤레의시학습활동표현상특징
①현재형어미를사용하여시적정황을현장감있게전달함
②공간의이동에따른시상전개
③감각적이미지, 공감각적이미지를통해시적인상을부각시킴
④음성상징어를이용하여화자의심리를표현함.
구두한켤레의시
학습활동구성1~8행: 차례를지내고돌아온뒤에지각하는고향의강물소리9~23행: 낡은구두에묻혀온강물소리구두한켤레의시학습활동구성1~8행: 차례를지내고돌아온뒤에지각하는고향의강물소리9~23행: 낡은구두에묻혀온강물소리구두한켤레의시
학습활동시상전개구두한켤레의시화자(현재)
낡은구두.고향의인상을지속적으로지각(상엿집, 고향텃밭의허름한꽃과어둠, 저문강물소리.폐페한고향모습(현실).부끄러움심리적매개체고향상기고향(과거) 학습활동시상전개구두한켤레의시화자(현재)
낡은구두.고향의인상을지속적으로지각(상엿집, 고향텃밭의허름한꽃과어둠, 저문강물소리.폐페한고향모습(현실).부끄러움심리적매개체고향상기고향(과거)
공감각(청각의시각화)
고향의저문강물소리가묻어있다구절풀이저문: 안타까움구두한켤레의시공감각(청각의시각화)
고향의저문강물소리가묻어있다구절풀이저문: 안타까움구두한켤레의시
시각적이미지사용으로시적인상부각겨울보리파랗게~눈속을넘을때도구절풀이겨울, 살어름, 상여집: 고향의인상(피폐함)
구두한켤레의시시각적이미지사용으로시적인상부각겨울보리파랗게~눈속을넘을때도구절풀이겨울, 살어름, 상여집: 고향의인상(피폐함)
구두한켤레의시
공간의이동(고향에서도시)
골목앞보세점~ 강물소리가들린다구절풀이강물소리: 심리적매개역할(현재-도시와과거-고향)
구두한켤레의시공간의이동(고향에서도시)
골목앞보세점~ 강물소리가들린다구절풀이강물소리: 심리적매개역할(현재-도시와과거-고향)
구두한켤레의시
겨울보리, 살어름과관련강물소리를듣지못함내귀는얼어/ 한소절도듣지못한강물소리를구두혼자어떻게듣고왔을까구절풀이고향의상황을강물소리를통해다시떠올리게됨구두한켤레의시겨울보리, 살어름과관련강물소리를듣지못함내귀는얼어/ 한소절도듣지못한강물소리를구두혼자어떻게듣고왔을까구절풀이고향의상황을강물소리를통해다시떠올리게됨구두한켤레의시
황혼: 구두의낡은모습구두는지금황혼/뒤축의꿈이몇번수습되고구절풀이화자의꿈이몇번이나바뀌고구두한켤레의시황혼: 구두의낡은모습구두는지금황혼/뒤축의꿈이몇번수습되고구절풀이화자의꿈이몇번이나바뀌고구두한켤레의시
지난가을터진가슴의어둠새로:
지난가을가슴아팠던일(5 월항쟁)
지난가을터진~꿈틀댄다구절풀이부그러운촉수가~꿈틀댄다: 살아남은자의부끄러움구두한켤레의시지난가을터진가슴의어둠새로:
지난가을가슴아팠던일(5 월항쟁)
지난가을터진~꿈틀댄다구절풀이부그러운촉수가~꿈틀댄다: 살아남은자의부끄러움구두한켤레의시
구두: 처음신고고향에감고향텃밭의~ 나는구면구절풀이나는구면: 옛날부터알고있던처지구두한켤레의시구두: 처음신고고향에감고향텃밭의~ 나는구면구절풀이나는구면: 옛날부터알고있던처지구두한켤레의시
고향의참모습(겨울: 피폐한모습)을겉으로만피상적으로보내고건성으로겨울을~ 꾸려주지않고구절풀이아직봄(민주화)이오지않음구두한켤레의시고향의참모습(겨울: 피폐한모습)을겉으로만피상적으로보내고건성으로겨울을~ 꾸려주지않고구절풀이아직봄(민주화)이오지않음구두한켤레의시
낡은구두를통해고향의강물소리를느낌진정한고향의소식을인식하게됨영하속을흔들리며덜그럭덜그럭구절풀이덜그럭덜그럭(헐거워진구두소리).출렁출렁(중첩)
참신한표현, 반성적자세구두한켤레의시낡은구두를통해고향의강물소리를느낌진정한고향의소식을인식하게됨영하속을흔들리며덜그럭덜그럭구절풀이덜그럭덜그럭(헐거워진구두소리).출렁출렁(중첩)
참신한표현, 반성적자세구두한켤레의시
종
합
감
상
이해와 길잡이 1
작품에 드러난 계절적 배경은 ‘겨울 보리’ ,
‘ 살얼음’ , ‘ 영하 속’ 등으로 보아 아직 겨울
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계절의 문턱이다 .
낡은 구두를 신고 고향을 다녀온 뒤에 화
자는 고향에서 묻혀온 고향의 모습을 출렁
거리는 강물소리로 떠올리고 있다 . 시각과
청각 등 다양한 감각 외에 구두에 강물소
리가 묻어 있다는 등 공감각적인 표현까지
사용되어 있다 . 특히 강물의 ‘출렁출렁’ 소
리를 신발의 ‘덜그럭덜그럭’ 소리로 바꾸
어 놓은 것이 압권이다 .
구두 한 켤레의 시
종
합
감
상
이해와 길잡이 1
작품에 드러난 계절적 배경은 ‘겨울 보리’ ,
‘ 살얼음’ , ‘ 영하 속’ 등으로 보아 아직 겨울
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계절의 문턱이다 .
낡은 구두를 신고 고향을 다녀온 뒤에 화
자는 고향에서 묻혀온 고향의 모습을 출렁
거리는 강물소리로 떠올리고 있다 . 시각과
청각 등 다양한 감각 외에 구두에 강물소
리가 묻어 있다는 등 공감각적인 표현까지
사용되어 있다 . 특히 강물의 ‘출렁출렁’ 소
리를 신발의 ‘덜그럭덜그럭’ 소리로 바꾸
어 놓은 것이 압권이다 .
구두 한 켤레의 시
종
합
감
상
이해와 길잡이 1
낡은 구두를 신고 고향에서 차례를 지내고 돌아온
화자가 낡은 구두의 ‘덜그럭덜그럭’ 거리는 소리를
통해 저문 고향의 모습을 떠올리고 있다 . 그가 다
녀온 고향의 모습은 포근함과는 거리가 먼 황폐한
모습(‘ 살얼음’ 길을 걸어 , ‘ 상엿집’ , ‘ 보세점 흐린 불
빛’ , ‘ 고향 텃밭의 허름한 꽃과 어둠’ , ‘ 저문 고향의
강물소리’로 인식 )으로 그려진다 . 고향에 갔을 때는
인식하지 못한 고향의 피폐한 모습을 ‘내 귀는 얼
어 한 소절도 듣지 못한 강물 소리’로 표현하고 있
다. 이런 생각이 바탕이 되어 ‘건성으로 겨울을 보
내고 돌아온 내게’ 고향의 피폐해진 현실에 대해
감지하지 못한 부끄러움 (‘ 오늘의 부끄러운 촉수’ )
의 반성적 자세로 이어진다 . 80 년대 산업화 , 근대
화로 황폐해진 고향의 모습을 시인이 감각적인 표
현을 사용하여 그려내고 있다 .
구두 한 켤레의 시
종
합
감
상
이해와 길잡이 1
낡은 구두를 신고 고향에서 차례를 지내고 돌아온
화자가 낡은 구두의 ‘덜그럭덜그럭’ 거리는 소리를
통해 저문 고향의 모습을 떠올리고 있다 . 그가 다
녀온 고향의 모습은 포근함과는 거리가 먼 황폐한
모습(‘ 살얼음’ 길을 걸어 , ‘ 상엿집’ , ‘ 보세점 흐린 불
빛’ , ‘ 고향 텃밭의 허름한 꽃과 어둠’ , ‘ 저문 고향의
강물소리’로 인식 )으로 그려진다 . 고향에 갔을 때는
인식하지 못한 고향의 피폐한 모습을 ‘내 귀는 얼
어 한 소절도 듣지 못한 강물 소리’로 표현하고 있
다. 이런 생각이 바탕이 되어 ‘건성으로 겨울을 보
내고 돌아온 내게’ 고향의 피폐해진 현실에 대해
감지하지 못한 부끄러움 (‘ 오늘의 부끄러운 촉수’ )
의 반성적 자세로 이어진다 . 80 년대 산업화 , 근대
화로 황폐해진 고향의 모습을 시인이 감각적인 표
현을 사용하여 그려내고 있다 .
구두 한 켤레의 시
형성평가시어중, < 보기>에서설명한‘이시어’에해당하는것은?
<보기>
‘이시어’는공간A와공간B 사이에서심리적인매개역할을한다. 즉현재의공간에서낡은구두를신고다녀온그곳에대한인상을지속적으로지각하게한다.
공간A -낡은구두-공간B
고향-(심리적매개) -화자의위치구두한켜레의시형성평가시어중, < 보기>에서설명한‘이시어’에해당하는것은?
<보기>
‘이시어’는공간A와공간B 사이에서심리적인매개역할을한다. 즉현재의공간에서낡은구두를신고다녀온그곳에대한인상을지속적으로지각하게한다.
공간A -낡은구두-공간B
고향-(심리적매개) -화자의위치구두한켜레의시
형성평가시어중, < 보기>에서설명한‘이시어’에해당하는것은?
①겨울보리
②강둑
③살얼음
④흐린불빛
⑤강물소리구두한켤레의시형성평가시어중, < 보기>에서설명한‘이시어’에해당하는것은?
①겨울보리
②강둑
③살얼음
④흐린불빛
⑤강물소리구두한켤레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