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핵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기원 & 다세포 생물의 출현
목차
1.원핵에서 진핵으로, 단세포에서 다세포로
2.땅 위로 올라온 생명들
3.화석, 땅속에서 캐낸 과거
학습목표
1.진핵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기원을 설명할 수 잇다.
2.다세포 생물의 출현이 다양한 생물 탄생의 토대가 되었음을 안다.
3.육상환경 적응에 대한 생물 구조의 변화
4.화석을 이용해 과거 생물의 생활환경을 추정할 수 있다.
원핵에서 진핵으로, 단세포에서 다세포로
진핵 세포의 유래- 진핵 세포내의 세포 소 기관-
세포내 공생설을 뒷받침하는 증거
1.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DNA와 리보솜은 진핵 세포보다 원핵세포와 유사하다.
2.각 개체의 막은 이중으로 되어있어 외부에서 들어온 세포라는 것을 보여준다
다세포 생물의 출현
엽록체를 가진 생물이 출현 하면서 대기중의 산소가 증가하였고, 미토콘드리아를 지닌 진핵세포는 산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얻기 시작했다.
광합성을 하는 생물의 출현은 지구에 오존층을 형성하였고, 물속에서 살던 생물이 육상으로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수중생물이 육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몸의 구조와 생활 양식이 달라져야 한다.
몸의 건조를 막고, 생식을 통해 자손을 남기며, 중력에 대응할 체내 압력이 필요하다.
육지로 올라온 최초의 생물은. 식물이다
식물은 육지로 진출한 후 각 기관의 구별이 명확해지고 기능이 분화 되었으며, 잎에는 큐티클 층이 발달하였다.
처음에는 포자식물이 번성하였으나 이후 종자번식 식물이 등장하였다.
육지로 진출한 최초의 동물은?
최초에는 노래기나 지네와 같이 몸 표면을 보호하는 외골격을 가진 절지동물들이 번성 하였다.
그 후 틱타알릭과 같은 물고기들이 육지로 진출하며 척추동물의 시대를 열었다.
화석, 땅속에서 캐낸 과거
화석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일까?
화석을 통해서는 지층 생성시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삼엽충 이나 공룡등과 같이 생존기간이 짧아 생성시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석을 표준화석 이라고 한다.
또 한 어떤 화석은 그 생물이 살았던 기후와 환경을 알려주기도하는데 그런 종류의 화석을 시상화석이라고 한다
시상화석은 생존기간이 길고 지리적으로 특정한 곳에 사는 화석일 수록 그 가치가 높다
단원 정리
최초의 생명체는 원핵세포였으나 진핵세포로 진화했다.
진핵세포의 특징은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를 지니는 등 구조가 복잡하다는 점이다.
진핵세포의 세포 내 구조의 기원을 설명하는 설로는 막 함입 설과 세포 내 공생 설이 있고, 세포 내 공생 설이 유력한 설이다
세포 내 공생 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막이 두 개라는 것과DNA구조가 원핵 세포와 비슷하다는 점이다.
다세포생물은 공기중 산소농도의 증가로 진핵세포가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써 발전하였다.
최초의 육상 생물은 식물이었고, 최초의 육상 생물은 외골격을 가진 동물이었다.
화석에는 표준화석과 시상화석이 있으며, 표준화석은 지층의 연대를, 시상화석은 당시의 기후와 환경을 보여준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과서 속 엔트로피Entropie (0) | 2016.04.17 |
---|---|
고전파 소나타 형식 -베토벤 교향곡5번 ‘운명' (0) | 2016.04.14 |
청각장애 보조기구 (0) | 2016.04.02 |
지휘통솔(指揮統率) (0) | 2016.03.31 |
알기 쉬운 특허 개론 - 분쟁 사례.특허법. 요건 요소 등 (0) | 2016.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