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통솔(指揮統率)
지휘통솔(指揮統率)
순 서
용어 설명
군대에서의 지휘통솔
道 德과 倫理: 행위의 정당성
道 德과 倫理의 보편성
도덕 . 윤리의 보편적 . 합리성
경영자와 리더의 특성
리더십 이론
軍의 存在
용어 설명
지휘(command):지휘권에 입각하여 부대를 이끌어가는
일체의 행위로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대의 활동을
계획, 지시, 협조하는 기능이다.
• 지휘는 부여된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결심수립, 가용자원을 효율적
으로사용하기 위한 관리, 부하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
하게 하는 지휘통솔을 포함한다.
(2)지휘권: 지휘관(commanding officer)이 계급과 직책에 의해서
예하부대에 대하여 합법적으로 행사하는 권한을 말한다.
통솔(lead):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부대원에게 행동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사람.
(1) 통솔자(leader): 무리를 거느리는 사람
(2) 통솔력(leadership): 무리를 거느려 다스리는 능력
용어 설명
지휘통솔(command and lead)
지휘통솔자가 자기에게 부여된 책임과 권한을 바탕
으로 부대발전,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원에게 목적, 방향제시, 동기부여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구성원의 모든 노력을 부대목표에 집중시키는 활동 및 과정이다.
(1) 동기유발: 부하욕구, 기대, 태도 이해, 공감대 형성, 인격존중 등.
(2) 부하감동: 통솔자의 품성과 능력의 우월성 토대로 솔선 수범, 상황융통성 대처.
용어 설명
리더(leader)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행동하도록 구성원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추종자(follower)
leader의 영향을 받아 이에 따르는 사람
리더십(leadership)
Leader가 어떤 상황에서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이 조직의 목표달성에 행동를 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
용어 설명
지휘 및 통제(command and control):
적에 대한 첩보 및 정보를 수집하고, 신속 한 전파, 작전계획 수립 및 명령하달, 작전준비, 작전실시, 작전결과 평가, 새로운 계획 수립하고 실시하는 과정이다.
(1) 지휘관은 지휘 및 통제를 통하여 임무달성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향해 전장기능 통합한다.
(2) 작전지휘는 임무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하부대 장병들이 행동으로 옮기도록 결심, 지도, 동기유발 시키는 술(術)이다.
군대에서의 지휘통솔
일반사회: 내 삶을 위한 방편
군대사회: leader와 follower간의 지휘통솔이 적합한 조직.
(1) 군대는 전쟁을 수행하는 조직
(2)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헌신집단
(3) 죽음으로 국가와 민족을 수호하는 집단
(4) 기강이 확립되어 상. 하급자의 분별이 명확.
(5)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효율적, 창의적 지휘통솔을 하는 집단
道 德과 倫理: 행위의 정당성
윤리(倫理 ethics):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할 도리.
도덕(道德 morality): 사회의 구성원들이 양심, 사회적 여론, 관습 따위에 비추어 스스로 지켜야 할 행동준칙이나 규범의 총체.
도덕은 좋은 습관과 나쁜 습관의 기준.
“도덕은 준수하지 않으면 비난이 따르지만 강제적 구속력이 없어 규범으로서 강도가 약하다”
• 좋은 습관? 학생들이 쓰기
• 나쁜 습관? 학생들이 쓰기
道 德과 倫理의 보편성
인간: 생물학적 존재
인간은 사회적 존재
자신의 욕구 간의 갈등 속에 있는 존재
욕구 간의 갈등은 선택을 요구
(1) 좋은 선택: 사람들이 찬사.
(2) 나쁜 선택: 사회적 비난.
속담
(1) 밥은 열 곳에 가 먹어도 잠은 한 곳에서 자라.
(2) 열 서방 사귀지 말고 한 서방을 사귀라.
도덕 . 윤리의 보편적 . 합리성
도덕 . 윤리의 보편적 . 합리성의 근거
목적론(teleology): 행동의 목적에서 보편적, 합리
성을 찾음.
1) 공리주의로 행위가 가져올 善의 최대치.
2) 행위의 결과가 사람들에게 최대의 이익과 행복을 가져오면 행위가 옳다.
(2) 의무론(deontology): 행동할 때 의무가 무엇인지
를 통해 보편적, 합리성 찾음.
1) 행위의 결과와는 상관없다. 행위가 의무냐에 따라
옳은 행위가 된다.
2) 결과가 끔직해도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의무라면 옳
은 행위
(1)공리주의(功利主義)
공리주의(utilitarianism):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1)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행위의 결과가 모두에게 善(이득, 행복)을 가져다 줄 때 행위가 옳다는 주장
1) 행위의 결과가 최대다수에게 최대의 이득(행복, 선)
2) 행복의 총량에서 최대치를 가져오면 바람직한 행
위(Jeremy Bentham, John Stuart Mill)
(2) 모든 일에 개인의 공명과 이익만을 추구하는 태도.
(3) 행위의 목적, 선악판단의 기준을 인간의 이익과 행복을 증진시키는데 두는 사상
(4) 개인의 복지를 중시하는 견해와 최대다수의 행복을 내세우며 사회전체의 복지를 중시하는 견해.
(1)공리주의(功利主義)
Jeremy Bentham
행동은 궁극적으로”쾌락의 추구””고통의 회피”를 따라 이루어진다.
(2) 심리본성에 따라 선택하고, 행동한다(편하고, 즐겁고, 기쁘고)
(3) 쾌락의 측정결과가 더 높은 행위가 더 바람직한 행위이다.
(4) 맥주 한잔 마시는 행위가 詩 한 수 읊는 행위보다 더 바람직한 행위이다(돼지철학 비난).
(1)공리주의(功利主義)
John Stuart Mill
(1) 벤담의 유용성 원리(더 많은 사람들의 쾌락을 가져오는 행위가 더 바람직한 행위)에 동의
(2) 쾌락에는 양적, 질적 차이가 있음을 규명한다.
“배부른 돼지가 되기보다는 불만족한 인간이 낫다”.
“만족한 바보보다는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더 낫다”
(3)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 우리 모두의 쾌락과 행복추구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논리
-민주주의의 ‘다수결의 원리-
(2) 보편성의 원리
보편성의 원리
1)행위의 정당화: 모든 사람이 동의에서만 가능
2) 행위의 정당성은 행위의 보편화 가능할 때만 수용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 도덕, 윤리적 표현은 모두가 당위적인 언사로 이루어진다.
2) 당위적인 표현은 명령문 형식
假言的명령: 조건문-”국회의원이 되려면 약속을 지켜라”
定言的명령: 조건 없음-”약속은 지켜라. 거짓말하지 말라”
(1) 네 의지의 준칙이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되라.
(2) 준칙: 법칙이 되기 이전 개인적. 법칙: 모든 사람 동의
-현명한 선인들이 정당한 길이라고 한 것을 선택-
경영자와 리더의 특성
리더십 이론
리더십 이론
리더십 이론
• 특성이론
어떤 특성을 가지는 리더가 효과적인가?
(1) 지적 능력, 학술적 성향, 책임완수,
사교적, 활동적
(2) 진취성, 일관성, 전문지식, 자신감,
통찰력, 협동성, 적응성, 설득력
(3) 사회 및 경제적인 지위
2. 리더십의 행동이론
리더는 어떻게 행동하는가?
집단성과 만족감 제고, 민주적 리더십, 부하중심의
리더십, 구조주도적 리더십, 생산과 인간에 대한 관
심도가 높은 리더십.
(1) 리더 스타일
1) 독재적 리더십: 단독의사결정, 과업지향적. 지시명령형.
2) 민주적 리더십: 의사결정 부하참여, 부하만족과 인간관계 지향적.
3) 자유방임적 리더십: 바하 자유의 허용
(2) 리더 스타일
1) 직무중심적 리더십: 생산과업달성, 지시 통제, 명령에 관심
2) 부하중심적 리더십: 부하의 성취감 증진, 분위기에 관심
(3) 리더 스타일
• 구조 주도적 리더십: 부하과업 설정 및 배정, 부하와 의사소통, 성과평가
2) 고려주도적 리더십: 부하관계 중시, 부하와 의사소통, 온정, 친밀감, 상호존중.
家長이 잘못하면 집안이 망하듯
리더가 잘못하면 나라가 풍비박산(風飛雹散: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난다.
3. 상황이론
상황결정 요소: 리더자신, 특성과업의 성격,
집단의 구조.
(1) 인지주의: 인간의 정신세계
(2) 인본주의: 미래에 대한 목표, 희망, 포부 지님
(자아실현의 동기, 잠재력 개발)
인간은 자유의지에 따라 자신의 운명을 개척,
창조적인 삶을 만든다.
(3) 카리스마적 리더십: 천부적 자질
(4) 거래적 리더십: 개인의 이기적 관심 자극(동기)
(5) 지시- 참여- 위임적 리더십
리더십 이론 비교
겸손과 헌신의 리더십
세상을 얻으려면 겸손 하라.
주공: “천하를 가진 천자라도 겸손하지 않으면 천하를 잃고 망하기 마련이다”
나는 현명한 선비를 맞이할 때 머리를 감고, 정갈하게 고쳐 묶은 뒤 달려나가 맞았으며, 밥을 먹다가도 3번이나 숟가락을 내려놓고 나가 공손하게 머리를 숙임.
나쁜 병사는 없다, 오직 나쁜 지휘관이 있을 뿐…
슬림장군(영국 랭군 공격):이등병-참모총장
1943년 14군단장: 병사는 굶주리고, 장교는 그늘에서 여유로운 식사(따로 국밥)
진정한 리더십
진정한 리더십: 봉사와 헌신
(1) 인간을 사랑하는 마음
(2) 이웃의 고통과 슬픔을 볼 줄 아는 눈
케네디: 1941.9월 일본 구축함 공격으로 어뢰정 두 조각나 부하의 구명조끼 끈을 물고 3마일을 헤염 쳤다.
부시: 테평양 전쟁 시 폭격기 조종사로 일본 대공포 맞고 낙하산 탈출하여 단신구조
Nobless, Oblige:물질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사랑과 나눔의 가치를 소중히 여겨라.
Carl Jung: 인간의 정신은 냉혹할 정도로 균형을 추구한다.
- 인간이란 영(靈)과 육(肉)으로 된 존재이다.
軍의 存在
군에 대한 일반의 인식
• 惡이라는 관점: 군의 존재이유가 전쟁이 있고,
전쟁은 살상과 파괴를 동반
(2) 군대는 절대적 존재: 큰 가치를 보전 위한 불가피한
전쟁(전쟁은 필요악)
孫子: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군대는 국가의 대사로 삶과 죽음을 결정하는 지반이고, 존망
을 가름하는 척도
정약용: 兵可百年不用 不可一日無備
군대는 백 년 동안 한 번도 사용하지 않더라도 단 하루를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軍의 存在
군의 존재이유: 국가안전보장(헌법4장)
(1) 국가전쟁, 외부 위협에 대비태세 확립
(2) 전쟁에서 승리하여 국가보위
신성하고 명예로운 길: 상명하복(followership)
(1) 장교: 부하에게 임무 할당, 책임짐
(2) 부사관: 부대임무 수행과정 감독
(3) 병: 임무 직접 수행
부대임무와 전체를 위해 생명을 받침
軍의 存在
군인의 직업은 명예
Richard A.Gabriel의 저서 to serve with honor
(1) 직장주의: 삶을 보장하는 경제적 지원
군 사기 앙양, 군의 긍지와 자부심, 우수자원 확보.
(2) 경영주의: 투자이상으로 효과획득
1) 군 운영의 합리적, 효율적 체계화(중앙통제)
2) 군의 전산화 시스템의 확산
3) 군의 투명성으로 군내. 외 인정받음
4) 실용적인 군대로 발전
민간인: 자기이익/ 군인: 자기희생
군대의 가치변화
권위주의 리더십 중심의 통솔(솔선수범)
손자: 궁녀 제식훈련 때 웃는 궁녀 목을 자름
패튼: 혹독한 훈련 - 솔선수범(사막에서 뜀)
절대복종 복종의 한계인정(민주군대화)
불법적명령, 비합리적 명령, 비도덕적 명령
장교중심 계서주의 병 중심의 인권주의
신병영문화의 확산
군의 복지문화 개선: 계룡스파텔(미군정도)
명령과 복종
참다운 명령
(1) 명령형식: 구체성, 명료성, 직무성, 실행성
(2) 명령내용: 합리성, 합법성, 도덕성
명령에 대한 복종
(1) 정당한 명령에 대한 복종의 의무
(2) 법적인 강제력에 의해서 복종(군형법 44조)
가브리엘: 복종은 전문직업인의 도덕적 의무
군인이 갖추어야 할 덕목
충성
진실성/신뢰성
책임성
충 성(忠 誠)
忠誠(loyalty, faithulness)이란 진심으로 약속을 지키 것.
(1) 忠(中心): 진심, 본심, 정심-온 마음의 집중
患(中中心:두 마음은 분열과 근심
(2) 誠(言成): 약속(言)을 그대로 실행(成)-언행일치
충성이란 대의명분과 참다운 가치를 위해 참마음으로 기꺼이 자기 자신의 모든 것을 받치는 것(헌신,봉사)
헌팅턴: 군은 정치적 중립을 원칙을 준수하는 충성과 복종이
군대의 최고 덕목.
군인의 충성: 대통령과 상관의 국법 안에서 내린 명령
충 성(忠 誠)
화랑도 5계정신: 국민윤리의 두 축
(1)事君以忠: 국가에 대해 충성하는 것.
(2)事親以孝: 부모에 대해 효도하는 것.
성경: 19번의 충성(integrity)단어 나옴
(1) 죽도록 충성하라. 착하고 충성된 종(공직자)이 되라.
(2) 부하가 나에게 충성하기를 바라면 먼저 상관에 충성
(예) 딸은 어머니가 할머니 모시는 것을 본대로 시어머니
를 모신다
롬 멜 원수: 히틀러 암살계획 동참(국가와 국민보호차원)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1979.10.26 대통령 시해사건
충 성(忠 誠)
군대윤리를 타락시키는 오도된 충성
(1) 상관의 권력 남용, 하급자의 아첨
(2) 출세주의(careerism): 계급은 성공의 척도
(3) 완벽주의(zero error mentality): 허위와 보신(保身) 풍조 양산
충성병
“David Shoemaker 소령: 군의 윤리적 타락성”
(1) 자신의 승진만 추구(출세주의: yes man)
(2) 상관에 절대충성, 부하에게 인색
진실성/신뢰성
진실성: 정직함, 올바름, 거짓과 속임 회피
(1) 진실한 지휘자: 진지하고, 정직하고, 남을
기만하는 행위를 피하는 인격소유자.
맥아더 원수: “진실성은 미 육군규정의 본질적인
구성요소”.
(2) 진실성과 신뢰성은 도덕적 인격의 핵
논어: 無信而不立(말의 신의가 없으면 인격을 의심받고, 인간으로 설수 없다)
조지 워싱턴: 손도끼 선물 받고 벚나무를 난도질. 화난 아버지에게 정직하게 대답해 사랑 받음.
책임성
전승을 위한 지휘통솔
현대전 양상
(1) 전, 후방 동시 전투 전개
(2) 전장의 종심이 깊다.
(3) 전투의 치열성. 속도전
전장적응훈련
(1) 강력한 지휘체계. (2) 명확한 지휘관 의도 전파
(3) 현장 지휘. (4) 통합전투력 운용. (5) 독단활용.
(6) 전장군기 확립 (7) 전투 스트레스 관리 (8) 사상자
처리 (9) 공포와 공황의 통제 (10) 적 심리전 방어
전. 평시 리더십의 차이점
전투초기 행동유형
공포를 극복하지 못하고 전장을 이탈
(1) 벙커나 참호 속에 은신하거나 은폐
(2) 적에게 정확한 사격을 못하고
(3) 신체적 경직으로 움직이지 못하며
(4) 집총, 착검, 수류탄 투척을 못하고
(5) 이동하라는 명령을 따르지 못한다.
전투기피
(1) 무기의 방치 및 망실. 파손
(2) 전투기피(보급품 운반, 부상자 돕는 행위)
(3) 꾀병으로 전투기피
과도한 방어 반응(과민반응)
(1) 적이 후퇴하였는데도 계속 사격
(2) 야간에 나무토막보고 사격
정신신경계통의 불안정 상태
(1) 무기를 잡고 떨거나 눈을 감고 사격
(2) 주저 앉아 소리 내어 운다
(3) 정신신경계통의 질환(심한 경련, 전율)
집단이 생존해야 개인도 살 수 있다 인식
전장에서 심리현상과 극복대책
전장에서 나타나는 심리현상
(1) 필승의 신념/패전의식 공존
1) 필승의 신념: 전승 자신감(지휘통솔자 신뢰, 우수한 전투장비)
2) 패전의식: 적의 기습, 후퇴, 전세불리
패전의식 극복: 상하의 신뢰.
(2) 공포 (3) 공황 (4) 유언비어 (5) 지각능력저하
(6) 가치기준의 하락 (7) 동화의식 확산
(8) 전투 피로증
공포(恐怖)
공포의 원인
(1) 죽음. 부상. (2) 무기 및 탄약의 부족. (3) 적의 기습
공포의 통제와 극복방법
(1) 공포느낌에 대한 집단토의
(2) 당면한 사태에 대한 지식과 정보 전파
(3) 침착한 행동/ 유머사용
(4) 끊임없는 활동하도록 하라
(5) 전우 간의 접촉기회 많이 갖게 하라
(6) 도덕적, 종교적 신념으로 사생관 확립
유언비어(流言蜚語)
유언비어 발생원인
(1) 적 의도적인 계획 (2)불안, 불만, 좌절, 권태에서 발생
(3) 상상, 추측에서 발생 (4) 사실전달 방법 없을 때
(5) 자기의 기대와 욕구가 일치할 때
유언비어 통제방법
• 부하에게 수시로 상황을 알려주라
• 장차 할 일을 알려주라
(3) 불안, 욕구불만 요인을 사전에 제거
(4) 유언비어 진실성 공개 (5) 지휘통솔자 신뢰감 제고
(6) 부대활동 활성화
공황(恐慌): 집단 도피행위
공황발생 영향요인
(1) 물리적: 기후, 무기 및 탄약부족
(2) 생리적: 기아, 질병, 갈증, 피로, 수면부족
(3) 정서적: 긴장, 불확실성, 전황무지,
(4) 사기: 지휘통솔자 불신, 군기해이, 후퇴
공황의 억제방법
(1) 강한 훈련과 사기 유지로 자신감 배양
(2) 지휘통솔자가 부하와 함께 행동
(3) 지휘통솔자 진두지휘, 침착성, 용기, 결단
(4) 전투이탈자 발생: 차단, 처벌
지각(知覺)의 능력 저하
지각의 원인
• 과도한 피로, 수면부족, 흥분, 긴장으로 감각
기관의 기능과 판단력 저하
(2) 포탄의 섬광, 폭음은 시각과 청각자극
지각능력 저하 방지법
(1) 눈 피로방지, 관측능력 향상
(2) 청각능력 향상
(3) 후각능력 향상
가치기준(價値基準)의 하락
가치란 주관적 대상을 인식, 평가하는 태도.
가치기준 하락: 장래생각 안하고 쾌락추구
가치기준의 예방대책
(1) 국가관, 가치관 갖고
(2) 건전한 행동규범, 윤리의식 함양
(3) 바람직한 삶의 태도, 솔선수범
(4) 규정과 방침 인식, 신상필벌 강화
(5) 개인과 부대대한 긍지부여(단결심)
(6) 공포, 불안, 유언비어, 공황발생 원인 제거
동화(同化)의 확산
동화: 다른 것이 감화, 영향을 받아 동일
동화원인: 단체의 감정, 분위기에 동조
(예) 비겁한 행동하는 병사 오염 확산
동화확산 방지
(1) 의식적으로 여유를 가지고 생각, 판단
(2) 소신 피력할 수 있는 교육강화
(3) 진실과 허구 판단력 배양
(4) 논리적인 사고과정 연습시켜라
(5) 고정관념 배제(편견, 선입관)
(6) 새로운 정보, 지식 부여와 경험 쌓게 하라
전투피로증
전투 피로증: 임무 후 극단적 형태의 정서반응
피로 증상
정서적 민감성, 수면장애, 과장된 반응, 심한 전율, 침묵, 환각, 히스테리서 실명, 혼미상태, 공포
전투피로 방지
(1) 전투임무 교대(2) 전투근무지원 원활
(3) 적절한 휴식 (4) 불필요한 활동 억제
(5) 정신적, 도덕적 신념 배양, (6) 인내심, 극기력 배양
(7) 정신적 안정(문화활동)
인간중심의 동반적 리더십
환경변화와 리더십
1) 다켓시: 자극과 반응의 관계
Y=Ax Y(반응) a(시대, 상황) X(자극)
a(시대, 상황)가 고정되었을 때 바보이다.
2) 21세기 변화의 動因: 지식과 정보
(1) 조직의 가치는 지식과 정보에 의해 결정,
(2) 지식과 정보는 지적. 정신적 활동 결과에 의해 창출
지휘통솔(리더십): 일방향 다방향 리더십
(1) 일방향 리더십: 상관이 부하에게 영향력 행사
(2)다방향 리더십: 주성원 모두와 영향력을 교류
리더십의 영향력의 다양성
영향력: 구성원의 행동, 사고, 가치관 변화
(1) 리더의 공식적인 직무에 기초한 영향력
1) 강제적, 보상적, 합법적 영향력(진급, 징계)
(2) 개인의 노력에 의한 계발이 가능한 영향력
1) 준거적, 전문적 영향력(인격, 전문지식)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
• 강제적, 보상적, 합법적을 기반으로 준거적,
전문적 영향력 계발
평시 민주적 리더십, 전시 혼합적인 리더십
패러다임의 변화
인성교육: 인간의 감성과 이성을 자극
•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인 의식성향으로 변화
( 가치관, 태도, 행동, 성품개발)
군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
동반적 리더십
동반적 리더십: 소대급 이하 제대
(1) 리더의 동고동락, (2) 간부의 솔선수범
(3) 팀 워크 강화, (4) 자기 혁신(자기 계발)
동반적 리더의 핵심요건
(1) 강인한 체력으로 용기와 충성
(2) 체계적 합리적 사고 능력 (3) 일심동체의 팀워크, (4) 효율적 업무수행 능력
(5) 부하의 능력 계발, 자기 계발로 부대발전
(6) 동고동락의 솔선수범(현장위주의 디러십)
사고의 전환
(1) 자기기대(self-Expection)
“ 자신의 믿음, 긍정적 기대는 가능성 증가”
(예) 피그 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마음 속으
로 기대를 하고 있으면 상대방이 기대에 부응해
주는 현상
키프로스 pygmalion왕 상아 여성상 조각여성상을
여성으로 간절히 원해 아프로디테 여신이 생명을
불어 넣어 피그말리온이 결혼.
2. 자기 상담(self-counseling)
“ 마음 속으로 자기와 하는 대화”
3. 자기상징(self- symbolism)
“ 미래의 사건을 마음 속에 이미지로 그리
는 활동”
(1) 미래의 결과에 대한 생각
(2) 건설적인 이미지 선택
(3) 긍정적인 사고의 습관 형성
행동의 전환
1) 결단
(1) 목표를 성취하는데 헌신하겠다는 결의
2) 실행
(1) 목표달성을 위해 물적, 심적 요소를 동원하고 조직화하여 활동하는 것.
(예) 나폴레옹
(1) 행동의 씨앗을 뿌리면 습관이 열매 열림
(2) 습관의 씨앗을 뿌리면 성격의 열매 열림
(3) 습관의 씨앗을 뿌리면 운명의 열매 열림
인성 및 행동 프로그램
• 품성개발
(1) 나의 느낌 알아내기
(2) 상호 간에 느낌 바로 알기
(3) 정서의 단어집
(4) 부정적인 감정들의 표현
(5) 성격유형 검사지
(6) 자기 탐색 용지
군대의 가치관
가치관
(1) 가치를 중심으로 세상을 평가하고 대처하는 관점
(2) 특정행동방식이 다른 행동 방식보다 더 낫다고 생각
하는 개인적인 확신
(3) 사고와 행동을 올바르게 결정할 수 있는 규범
가치관 인식, 태도, 동기요인 행동
(1) 무엇을 위해 군 복무를 하고
(2) 어떤 군인이 되어야 하며
(3) 어떤 행동을 하여야 하는가?
가치관 구현방안
• 충성: 국가에 희생과 헌신, 상관의 명령에 성실히
수행, 솔선수범, 소속감과 애대심
(2) 용기: 강인한 체력, 정신력, 잘못을 인정, 결과보다
노력 중시
(3) 책임: 자기 소임에 충실, 신상필벌 적용, 결과에 대한
책임, 능동적인 자세
(4) 존중: 자율적인 의사소통, 포용과 배려, 공사구분,
칭찬과 격려
(5) 창의: 문제와 해결방법 생각. 긍정적, 적극적인 사고,
자기 능력 계발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핵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기원 & 다세포 생물의 출현 (0) | 2016.04.09 |
---|---|
청각장애 보조기구 (0) | 2016.04.02 |
알기 쉬운 특허 개론 - 분쟁 사례.특허법. 요건 요소 등 (0) | 2016.03.25 |
사회적 관점에서 출산 (0) | 2016.03.22 |
판매 촉진의 개념과 종류, 효과&인적판매의 다양한 요소 (0) | 2016.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