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0EE3B552104A9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8363B552104AA2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E813B552104AA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83D3B552104AB2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1C03B552104AC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5033B552104AC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0B53B552104AE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E4A33552104AE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B6B33552104AF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E8433552104B03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8B333552104B2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0FF33552104B3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E7A33552104B3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3CC33552104B40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C123C552104B5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1163C552104B5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C8D3C552104B6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8433C552104B7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76C3C552104B8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BB13C552104BF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7093C552104C9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05B37552104CE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9ED37552104D7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64B37552104E1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47037552104E4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8AB37552104E7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CF337552104EC2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28137552104EF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7B837552104F3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53C39552104F62D)
◈
짐이
곧
국가다
. 1) .
절대주의
(1)절대주의
: 16.18 세기의
유럽에서
왕이
관료제와
상비
군을
통제하면서
강력한
권력을
행사한
정치
체제를
일
컬음
(2) 각국의
절대
왕정
(3) 절대주의
시대의
특징
①
근대
국가의
기틀
형성:국토의
통일
, 근대적인
정치
기구
마련
②
시민
사회로의
발전
미흡:봉건
귀족들이
특권을
누
리고, 시민들의
정치적
권리가
보장되지
못함
(2) 각국의
절대
왕정
나라
에스퍄
냐
영국
프랑스
프로이
센
러시아
절대군주
펠리페2
세
엘리자베
스1세
루이14
세
프리드리
히대왕
표트르
대제
1)
업적
가장
먼저
절대주의
국가의
모습을
갖
춤
무적함대
육성하여
유럽
최강국이
됨
영국
국교회
확립
해상
무역과
모직물
공업
육성
태양에
비유
, 베르사유
궁전
1)건축
국내
산업
육성
, 유럽의
최강국이
됨
관료제와
상비군
마련
국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
추진
서유럽화
정책
추진
1)
내정
개혁과
군비
확장
, 근대화
추진
◈ 근대 의회 정치를 확립한 영국
(1) 청교도 혁명(1642~1649)
① 배경:제임스 1세와 찰스 1세의 전제 정치
② 경과:의회의 권리 청원 제출과 찰스 1세의 의회 해
산으로 대립 . 왕당파와 의회파 사이의 전쟁 . 의회파
의 승리
③ 결과:크롬웰의 국왕 처형 , 공화정 수립 . 의회 해산 ,
독재 정치
(2) 명예 혁명 (1688~1689)
① 배경:크롬웰 사후 왕정 복고 → 찰스 2세와 제임스
2세의 전제 정치
② 경과:의회가 메리와 윌리엄을 공동 왕으로 추대 , 권
리 장전 승인
③ 결과:의회 중심의 입헌 군주정 수립 → 내각 책임제
성립
◈ 중상주의와 식민지 전쟁
(1)중상주의
① 성격:재정 확보를 위해 국가가 경제 활동에 적극적
으로 개입
② 내용:수입 억제 , 국내 산업 보호 , 수출 장려 , 원료 확
보와 상품 판매를 위해 해외 진출 → 식민지 쟁탈전
전개
(2) 유럽 국가들의 해외 진출 1)
①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네덜란드 , 프랑스, 영국으로
주도권 변화
② 아시아 무역:동인도 회사를 세워 면직물 , 차, 향료
등 수입
③ 대서양 무역:유럽의 공산품 , 아프리카의 노예, 신대
륙의 원료로 이루어진 삼각 무역 1)
(3) 세계가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되어 감
① 유럽:상업 발달 , 상공 시민층의 자본 축적 , 산업 혁
명의 기초 확립
② 아프리카 , 아메리카 등:경제적 자립 곤란 , 경제 구조
왜곡
4. 왕권 신수설과 계몽 사상
(1) 왕권 신수설 : 왕권은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신성한
권리라는 사상 (절대주의 옹호 ), 화려한 궁정 문화 발
달(베르사유 궁전 )
(2) 새로운 문화의 형성 : 과학적.합리적 사고 발달 (베이
컨, 데카르트), 뉴턴의 만유 인력의 법칙 발견 (과학 혁
명), 국민 주권론 (로크), 자유주의(애덤 스미스 )
(3) 계몽 사상 : 이성과 진보 강조 → 제도 개혁 주장 , 시
민 계급의 지지 , 미국 혁명과 프랑스 혁명에 영향 (볼
테르, 루소, 몽테스키외)
용어정리
●
절대주의
: 16~18 세기
유럽에는
관료와
상비군을
거
느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국가가
등장하였다
.
이
때
국왕은
귀족과
성직자의
세력을
눌러
국가의
통합
을
강화하고
, 부르주아를
지원하여
산업을
발전시키고
재정을
확보하려
하였다
. 이를
‘절대주의
국가’라고
한다
.
그러나
여러
가지
발전에도
불구하고
, 귀족과
성직자의
특권과
신분
차별이
여전히
존재하여
, 부르주아와
농민
들의
불만은
점점
커져
갔다
.
●
베르사유
궁전
: 루이
14세
시절인
1662~1682년사
이에
파리의
교외에
세워진
궁전으로
, 2만
5,000여
명이
나
거주할
수
있는
큰
규모였다
. ‘왕의
거실’을
비롯하여
‘궁정
예배당
, 거울의
방
, 전쟁의
방’
등은
그
웅장함과
화려함으로도
유명하다
.
●
무적함대
: 신대륙
경영으로
막대한
양의
은이
들어
오면서
에스파냐는
유럽의
강국으로
떠올랐다
. 당시
에
스파냐의
국력은
최강의
해군으로도
표현되는데
, 오스만
투르크의
함대를
격파함으로써
무적
함대로
불렸다
. 그
러나
에스파냐의
전성기는
신교도들이
중심이
된
네덜란
드의
독립
운동을
탄압하는
과정에서
크게
흔들렸다
.
에스파냐의
해상권에
도전하려던
영국은
네덜란드
함대
와
연합하여
에스파냐에
맞섰고
, 이에
에스파냐는
무적
함대로
제압하려
했으나
무참히
패배하고
말았다
. 그리
하여
신교의
승리
, 영국
네덜란드의
해상권
승인이란
결
과를
낳게
되었다
.
●
엘리자베스
1세
: 여왕은
평생을
독신으로
지냈는데
,
펠리페
2세를
비롯한
많은
구혼자들을
적절히
조정하며
영국의
이익을
지켜
나갔다
. 여왕은
스스로를
“영국과
결
혼하였다.”고
말하곤
하였다
.
●
프로이센의
발전
: 30 년
전쟁
무렵
독일은
수많은
연
방
국가
(소규모의
독립적
정치
단위
, 16 세기에
300여개
)
로
이루어져
있었다
.
선제후국의
하나인
프로이센에서는
17세기
말부터
귀족
들의
정치적
권리를
누르고
상비군을
설치하는
등
중앙
집권을
강화했다
.
그
대신
영지
내에서
귀족들의
농민들에
대한
통제
권한
늘려
주고
, 이들을
군대
장교와
고급
관리로
등용하였다
.
이로써
토지
귀족과
왕권이
결합된
독일식
국가
체제의
기틀이
마련되었으며
, 집중된
권력을
바탕으로
영토를
확장하였다.
그리하여
프리드리히
2세(1740~1786) 때
이르러서는
유럽의
강대국으로
부상하였다
.
●
표트르
(1682~1725) : 표트르는
러시아를
서유럽
세
계에
편입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 집권
초기
10여년동
안
외국으로부터
고도로
숙련된
기술자를
불러들였으며
,
그
자신이
오랜
기간
네덜란드와
영국을
여행하기도
하
였다.
표트르는
농민
계급에서
충원된
강력한
상비군
및
철강
산업과
군수
공업을
육성하였으며
, 도로와
운하
건설을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효율적인
대규모
행정
기구를
새
로이
마련하였다
.
표트르의
유럽
중심적인
정책은
외교
정책에서도
두드
러졌다. 그는
발트
해를
장악하고
있던
스웨덴과
전쟁을
벌여
해안으로
진출한
다음
, 새로운
수도
(상트
페테르부
르크)를
해안에
건설하여
‘유럽을
향한
창’이라
불렀
다.
●
표트르의
서유럽화
정책
: 표트르
대제는
러시아의
수
도를
모스크바에서
오늘날의
페트로그라드로
옮겼다
.
이
곳이
유럽과
가장
가까우며
, 유럽에
대한
창구의
역할
을
하면서
유럽의
문물을
배울
수
있는
지리적으로
가장
적합한
곳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원래
이름은
표트르의
이름을
따서
상트페테르부르크였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는
독일식으로
부르기로
결정한
것이다
. 자신의
신분을
속이고
핀란드의
조선소에
취직하여
배
만드는
기술을
2년
동안이나
배웠을
정도로
러시아의
개혁은
서유럽화
에
달려
있다고
보고
이를
맹추진하였다
.
●
청교도
(Puritan) : 칼뱅파
신도들
가운데
영국에
거주
하던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 지주와
상공업자
, 전문
직
업인들에게
많았음
●
크롬웰의
정치와
왕정복고
: 왕당파를
물리치고
승리
한
크롬웰은
국왕을
처형하고
의회를
해산한
뒤
, 유일의
성문
헌법인
통치
헌장을
제정하여
호국경으로
취임하였
다. 그후
, 군사력을
바탕으로
강력한
독재
정치를
폈다
.
크롬웰의
통치
기간
동안
영국은
정치
사회적으로
안정
을
되찾고
아일랜드
정복
, 네덜란드
및
에스파냐와의
전
쟁
승리
등의
성과를
바탕으로
해상
발전과
해외
진출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엄격한
청교도주의를
강조했던
크롬
웰은
금욕적인
생활을
국민들에게
강요하여
많은
불만을
사기도
하였다
. 결국
크롬웰이
죽은
후
, 해산된
의회가
다시
소집되어
처형된
찰스
1세의
아들을
다시
왕으로
추
대하였다.
●
입헌
군주정
: 군주는
있으되
국민이
선출한
의회가
제정된
법에
따라
이루어지는
정치를
입헌
군주정이라도
한다.
●
명예
혁명
: 영국인들은
1688~89 년의
커다란
변화
.
이후
의회의
지위는
날로
높아졌고
, 어떤
국왕도
의회
없
이
통치하려
하지
않았다
.
가
아무
유혈
사태
없이
이루
어지자, 이를
명예
혁명이라고
불렀다
.
그러나
이것은
결국
대규모의
재산
보유자와
지방
유력
자들의
지위를
강화시킨
혁명이었다
. 즉, 부유한
사회
경
제적
계층이
현상
유지를
위해
획책한
혁명이었으며
, 이
계층은
명예
혁명을
통해
정부의
온갖
특혜를
받고
전쟁
의
이익을
챙겨
한층
더
부유하게
되었다
.
하지만
연속되는
두
혁명을
거치면서
‘정부는
인민을
위
해
구성된
것이며
, 잘못된
정부는
해산하고
재조직할
수
있다.’는
새로운
정치
원리가
도출되어
절대주의에
대한
저항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
●
내각
책임제
: 영국에서는
양대
정당
(토리당과
휘그당
)
의
성립
, 명예
혁명을
통한
의회권의
신장
등을
바탕으로
내각
책임제가
성립되었다
. 1714 년, 영국의
왕위
계승법
에
따라
독일에
살고
있던
하노버
공이
조지
1세(1714~
1727)로
즉위하였다
. 그런데
그는
영어도
하지
못했고
,
국내에
그를
지지하는
정치세력도
거의
없었다
. 이에
따
라
정치를
장관들에게
맡기고
, 의회에서
다수를
차지한
정당이
내각을
조직하여
의회에
책임을
지는
.
왕은
군림
하나
통치하지
않는다
.
책임
내각제의
관례가
확립되었
다.
●
중상주의
: 국가가
경제
활동의
주체로
앞장
서서
국
부를
증진시킴으로써
군주권을
강화하고
국가의
세력
을
대내외적으로
강화시키는
정책이다
. 수입
대체
상
품의
국내
육성과
높은
수입
관세의
설정으로
수입을
억제하고, 적극적인
판로
확보를
통해
수출을
장려하
는
것
등이
그
주요
내용이었다
.
중상주의는
해외
식민지
개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다. 상품의
생산은
원료와
시장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때
유리하기
때문에
여러
나라들은
초기부터
활발한
팽창
정책을
펼쳤고
, 식민지
전쟁을
치열하게
벌이기
도
하였다
.
●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
전쟁
: 18세기에
접어들면서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식민지
패권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했다. 영국은
인도에서는
1757년
플라시
전투에
서, 북아메리카에서는
1759년
퀘벡
전투에서
승리하
면서
이
지역에
대한
독점권을
확립할
수
있었다
.
●
동인도
회사
: 유럽
인들이
인도
동남
아시아와의
무
역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세운
회사로
, 국가로부터
무
역·외교·군사의
권한을
위임받은
준국가
기관이다
.
▶
네덜란드
: 1602년에
설립되어
네덜란드
번영의
상징
이
되었다
. 향료를
생산하는
인도네시아에
주력하여
현지의
지배자와
포르투갈인을
물리치고
영국
, 프랑
스
등을
꺾어
향료
무역을
독점했다
.
▶
영국
: 1600 년
엘리자베스
1세
때
설립되었으나
, 17
세기
중엽까지는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에
비해
현
저하게
약체였다
. 인도의
여러
곳에
무역
거점을
세웠
는데, 17 세기
후반
이후
유럽에서
향료의
인기가
떨어
지고
차와
인도산
면직물
수요가
높아지면서
큰
성공
을
거두었다
.
▶
프랑스
: 루이
14세
시대인
1664년에
이미
소멸된
동인도
회사가
재건되어
인도를
거점으로
활동을
전
개하였다.
●
삼각무역
(노예무역) : 17 세기
무렵에는
유럽과
아프리
카, 아메리카를
연결하는
삼각
무역이
발달하였다
.
유럽인들은
공업
제품을
가지고
아프리카로
간
다음
,
흑인
노예를
사들여
아메리카로
갔으며
아메리카에서
생산된
면화나
사탕수수를
사들였다
. 대서양의
노예
무역이
절정에
달했던
18세기에는
해마다
7만
5,000
에서
9만
명에
이르는
아프리카
인들이
대서양을
건
너
노예로
팔려
갔다
. 이들
가운데
약
35%는
카리브
해
연안으로
, 5% 는
북아메리카로
, 그리고
나머지는
포르투갈의
식민지인
브라질과
에스퍄냐의
아메리카
식민지로
끌려갔다
.
●
상업의
발달과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
: 유럽인들이
주
도한
식민지
확보와
아시아
제국과의
교역으로
온갖
천연
자원과
상품
, 귀금속이
유입되면서
유럽
전체적
으로
부의
절대량이
늘어났다
.
●
계몽
사상
: 계몽
사상은
18세기
프랑스에서
가장
발
달하였고, 19 세기
말까지
유럽인들의
정신
세계를
지
배했다. 계몽
사상가들은
당시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
을
해명하고
, 이를
개혁하고자
노력한
실천적인
철학
자들이었다.
▶
볼테르
(1694~1778) : 프랑스
시민
계급
출신으로
, 귀
족
세력과
절대
왕정을
비판하여
여러
차례
탄압을
받
았다. 반봉건·반교회
운동의
지도자로서
수많은
공격
적
문서를
발표했다
. 《캉디드》저술
, 백과
사전
편찬
▶
몽테스키외
(1689~1755) : 프랑스
귀족
출신으로
, 10
여
년
동안
고등법원장을
역임했다
. 여러
나라를
여행
하며
정치
·경제
체제를
살핀
뒤
, 《법의
정신》을
출
간하였다. 입법,행정,사법의
삼권분립이
자유
보장
.
▶
루소
(1712~1778) : 죽어서
볼테르와
나란히
묻힌
루
소는, 프랑스
혁명
지도자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
쳤다. 인민
주권과
사회
계약
등을
주장하였다
.
●
왕권
신수설
: ‘왕권은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란
말
속에는
“왕은
지상에서
신의
대리인이다
. 따라서
모든
사람은
왕에게
무조건
복종해야
한다
.”는
의미가
담겨
있다
. 보쉬에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신은
국
왕을
통해
백성을
지배한다
. 모든
권력은
신으로부터
나온다. ···
정의
그
자체에
복종하는
것처럼
국왕에
게
복종하라
. 그렇지
않으면
질서도
세워지지
않으며
,
제대로
끝맺음되는
일도
없다
.”
●
베이컨
(1561~1626) : ‘미신과
신학의
혼합으로
인한
철학의
타락’을
지적하고
, ‘과학적인
연구와
관찰을
통해서만
유용한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 인간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고
강조했다
.
●
데카르트
(1596~1626) : ‘매우
이상하거나
절대
믿을
수
없는
것들이
학술
서적에
버젓이
실려
있다
.’며모
든
것을
회의의
대상으로
삼을
것을
강조했다
. 또한
수학의
영역을
개척하여
과학
혁명을
주도했다
.
●
과학혁명
: 과학혁명이란
17세기
유럽에서
갈릴레이
,
뉴턴
등에
의한
고전
역학의
확립과
그에
따른
자연상
·세
계상의
변혁을
가리키는
말로
, 영국의
버터필드가《근대
과학의
탄생》
(1946)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 과학혁명
은
베이컨
식의
관찰과
데카르트의
수학을
결합한
뉴턴
의
만유
인력
법칙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 뉴턴은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
, 갈
릴레이에
의해
제시된
천문학
·물리학적
주요
이론들을
확립했으며
, 태양
중심설의
문제들을
완전히
해결하였다
.
이로써
‘세계는
.
신의
섭리가
아니라
.
고유한
질서에
따라
운행되며
, 과학적
사고를
통해
그
질서를
이해할
수
있다
.’는
새로운
인식이
확립되었다
.
●
로크
: 국가는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계약
에
의해
성립된
것이라
주장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주권
재민과
국민의
저항권
, 민주주의
정치의
실현을
주장하
였다. 그의
사상은
영국
,프랑스
,미국
혁명에
큰
영향을
줌
.
영국
의회
정치의
발달
과정
1215 1295 1343 1642 1670 1688 1721
~ 49 ~89
마그나
모범
이원제
청교
2대
명예혁
내각
카르타
의회
도
정당의
명-권
책임제
(대헌장) 혁명
수립
리장전
확립
상원
휘그당
하원
토리당
국왕이
성직자
국왕
국왕에
국왕은
성직자
귀족, 과의
대한
군림하
와
귀족
주의
기
회충
의회의
나
통
의
특권
사와
도
돌, 공
확립
치하지
을
인정
시대표
화정
않는다
수염을
자르는
표트르
.
표트르는
귀족들이
기
르는
수염이
러시아의
후진성을
보여
주는
것
이라며
이를
자르도록
강요하였다.
국왕국왕
중상주의
정책
왕권신수설
재정원조
연금
관료, 상비군
관료화
독점권
봉건세력(제후,지주) 상업자본가(대상인)
베르사유
궁전
절대주의
군주로서
스스로
‘태양왕’이란
별칭을
가지고
있던
루이
14세(1643~1715)
는
‘하나의
왕
, 하나의
법률, 하나의
신앙’이란
신조를
실천하였다
.
또한
웅장하고
화려한
베르사유
궁전을
지어
사치스런
생활을
누렸다
.
자신의
절대권력을
과시
하기
위한
사치스런
궁정
생활과
잦은
대외
전쟁은
프랑스
국민들의
생활을
궁핍하게
만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