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C4D345A75FA3B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1E4345A75FA3B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A92345A75FA3B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A4A345A75FA3C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130345A75FA3C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744345A75FA3D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27F345A75FA3D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AB6345A75FA3D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487365A75FA3E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9DA365A75FA3E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F455365A75FA3F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755365A75FA3F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B16365A75FA3F11)
심리사회적
이론
FREUD의
성격
발달이론
.심리
사회적
이론의
기초
.인간
행동의
원인이
되는
무의식적
충동이나
동기
에
관심을
가지며
부모와의
초기
경험이
성격의
대부분을
결정한다고
본다
E.ERIKSON 의
심리사회적
이론
○
에릭슨은
프로이드가
여러가지
문화에
의해서
바람직하다고
생
각되어지는
행동
패턴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결핍되었고
, 청
년기
이후의
발달관계를
무시하며
, 심리성적
발달단계
외에
심
리사회적
위기에
대한
명확한
표현이
없었음을
지적하였다
.
○
에릭슨은
개인의
발달이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일생을
통해
계
속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사회의
요구에
적
응하기
위하여
각
단계마다
겪어야
하고
, 겪어낼
수
밖에
없는
심리사회적
위기가
있다고
보았다
.
○
개인이
하나의
특별한
발달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위기에
적절
하게
대처하는
방법에서
나타나는
태도
혹은
일반적
감정
등을
심리사회적
감각
이라고
하며
일생을
8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
다.
제
1단계
신뢰감
VS 불신
이
시기의
유아는
신뢰감과
불신감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이
다.
양육자가
유아의
행동에
어떠한
반응을
보이냐에
따라
신
뢰감과
불신감이
형성된다
. 하지만
신뢰감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불신감
또한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고
에릭슨은
주장
한다.
제2단계
자율성
VS 수치심
이
시기의
유아는
자신의
의지를
표현하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다는
것을
배우는
중요한
시기이다
.
이
때에
양육자들은
유아를
존중해주고
스스로
해
볼
수
있는
기
회를
주는
게
중요하다
.
이
시기에는
배변훈련
등을
통해서
최초로
자기통제가
가능해
진다.
이러한
자기통제를
통해서
기본적
자신감을
갖게
되면
자율성
이
형성되며
, 과도한
외부의
통제로
인해서
통제능력을
상실하
게
되면
자신에
대한
수치와
회의에
빠져들게
된다
.
대학
3학년인
K군은
중간
고사나
기말
고사
일주일
전이
되면
설사를
하게
되어
치료를
받으러
온
것이었습니다
. 고
2학년
때부터
이러한
증
세가
시작되었다고
했습니다
. 시험이
끝나면
설사는
깨끗이
사라진다
는
것이었습니다
. 과도한
긴장이
소화
기능에
간섭해서
장의
연동
운동
을
억제하게
되었고
이것은
어린
시절의
대
, 소변
훈련
때
방출과
보유
의
양면적
갈등이
통합되지
않는
것과
뿌리를
같이하고
있음을
분석해
낼
수
있었습니다
.
제3단계
주도성
VS 죄책감
2단계에서
성취한
자율과
독립을
기초로
외부세계에
대
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신체활동을
증가시켜
나간다
.
자신의
활동을
계획하고
목표를
세우며
이를
달성하고자
노력한다. 이
시기에
자기주도적
활동이
성공하게
되면
주
도성을
확립하게
되나
, 실패의
경험이
많으면
주도성은
위
축되고
자기주장에
대해서
죄의식을
가지게
된다
.
제4단계
근면성
VS 열등감
에릭슨은
이
단계를
자아성장의
결정적인
시기라고
보
았다.
이
단계는
가족의
범주를
벗어나
더
넓은
사회로
나가
사회적
관계를
넓히면서
사회
속에서
생존해
나가는
기
술을
배우게
된다
.
예를
들어
미개
사회에서는
사냥이나
농업기술을
배우게
되면
현대사회와
같은
문명이
고도화된
사회에서는
읽기
,
쓰기,셈하기
등의
인지적
기술을
획득하기
위해서
학교에
들어가게
된다
.
제5단계
정체감
VS 정체감
혼미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사회적
압력과
요
구에
부딪히게
된다
. 청년기의
중심
과제는
자아
정체
감의
확립이다.
기본
신뢰감이
형성되는
1단계만큼
중요한
시기이다
.
이
시기의
청년들은
자기
자신의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
으려고
애쓰지만
그
해답은
쉽사리
얻어지지
않기
때문
에
고민하고
방황한다
제6단계
친밀감
VS 고립감
이
시기의
사람들은
배우자인
상대방
속에서
공유적
정체성
을
찾으려
든다
.
따라서
이
시기에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친밀성을
이룩하는
일이
중요
과업이다
.이
시기에
정체감을
확립하지
못한
사
람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지지
못하므로
타인
과의
관계에서
친밀성을
형성하지
못하고
고립하여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하게
된다
.
히키코모리
(은둔형
외톨이
)들은
자신을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한
다는
생각에
다른
이들과
친근감을
느끼지
못하고
사회적
관계를
피
하거나
자기
자신에게만
열중하게
된다
. 결국
그들은
고립감에
빠
지게
된다
.
제7단계
생산성
VS 정체감
이
단계는
6단계에서의
친밀감이
확립되고
난
후
둘만의
친
밀감을
넘어서
다른
사람에게까지
확장시키는
단계이다
.좁
은
의미로는
다음
세대를
양성하는
것이고
넓은
의미로는
다른
사람을
위해
헌신
할
수
있는
것이다
.
제8단계
자아통일
VS 절망
마지막
단계인
노인기의
성패는
신체적
,사회적
퇴보를
어떻
게
받아들이는
가에
달려있다고
에릭슨은
주장하고
있다
.
대부분의
경우
노년기에
들어서면
자신이
지금까지
살아온
생애를
돌아보면서
자신의
생애가
가치
있는
삶
이었는지를
되돌아보게
된다
.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삶이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느끼게
되면
절망에
빠지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