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프로세스 용어 정리
생산 관리, 판매 관리, 인사 관리, 재무 관리 등 기업의 기본적 업무를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밀접하게 관련시켜 실행하는 것. 즉, 인력/생산재/물류/회계 등 기업의 모든 자원을 전체적으로 관리하여 최적화된 기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산 시스템을 말한다. 기업 자원 관리(ERP)의 실현에 필요한 기능을 구비한 소프트웨어를 통합한 패키지를 ERP 패키지라고 한다.
ERP시스템: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해 ERP 개념을 실천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Access(접근): 메뉴나프로그램, 리포트 등을 통하여 ERP시스템상의 기능을 사용하거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능력
Account(회계):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입하기 위해 동일한 성격을 가진 항목을 요약하여 표시한 이름
Account period(회계기간): 회사의 회계연도 내에 포함되는 특정 시간 주기
Account payable(매입채무관리): ERP 시스템의 모듈 중 ‘매입채무관리’를 의미하거나, 공급자로부터 차용되거나 수령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양(화폐가치)을 의미
Account receivable(매출채무관리): 고객들에게 제공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양을 의미하거나 ERP 시스템의 모듈 중 ‘매출채권관린’를 의미
Add-On(=besplke program, 추가개발): 사용자 독자적으로 테이블과 프로그램 등을 신규로 개발하여 패키지 시스템에 포함시키는 것.
Authorization(권한부어): 사용자에게 어떤 작업을 할 수 있거나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어떤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을 액세스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부여된 사용 권한은 어디까지인지(파일 디렉토리의 접근 범위, 허용된 액세스 시간, 할당된 저장 공간의 크기 등)을 정의하는 것.
Balance Sheet(대차대조표): 특정 시점의 기업 재무상태를 표현
Big Bang(일괄 전개): ERP 시스템의 모든 기능 모듈들을 단 한번에 실운영으로 전환(go-live)하는 프로세스
Bill of Address(BOA): 고객에게 청구서나, 송장, 뭎품들을 송부할 주소
Bill of Material(BOM):제조 항목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목록
BOL(Bill of lading, 선하증권): 운송자가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송할 때의 공식 계약 문서
Chart of account(회계계정): 회사에서 재무적 자원들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정코드집
Change Management(변화관리): ERP 구축 프로젝트는 조직과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큰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조직원들의 ERP 도입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업무프로세스, 조직구조 등을 자발적으로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반활동(교육, 홍보 등)을 의미
Configuration setting(=processing option): 사용자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지시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파라미터를 명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에 몇 가지의 서로 다은 configuration setting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도 있다.
Conversion program(데이터 전화 프로그램): 기존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운 ERP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환하기 위한 프로그램
Customizing(커스터마이징): 미리 준비된 가이드에 따라 시스템의 상세한 규격을 정의하는 파라미터의 설정 작업을 의미함.
Data conversion(데이터 전화): 기존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ERP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환하는 프로세스로 컨버전 프로그램등을 활용하여 수행
Drill down(드릴 다운): 사용자가 종합된 정보(aggregate information)으로부터 좀 더 상세한 정보로 이동(top-down)하면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ERP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
Extended ERP(확장형 ERP): 기존의 ERP시스템에 고객관리(CRM) 시스템, 지식경영(KM), 전략적 기업 관리(SEM), 공급체인관리(SCM) 등이 추가된 시스템
General Ledger(총 게정원장): 회사의 모든 업무 처리를 위해 필요한 계정들의 집합.
Go live(=Cut Over, 실운영): 회사가 기존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신규 ERP 시스템으로 전환(Switch)하는 시점
Hard Coded(하드 코딩): 원하는 상태로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Income Statement(손익계산서): 자본거래 이외의 원천에 의한 순자산의 증감내역을 나타낸 표로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표현.
Integration(통합): ERP시스템의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로서 기업의 개별 업무기능이 전체적으로 일관된 업무프름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행위. Itegration은 통신 프로토콜이나 소프트웨어, 인터넷, 워크플로우 등과 같으 인터페이스 기술들을 통하여 가능
Interface(인터페이스): 두 개의 서로 다른 포인트 사이의 통신 프로세스로서 ERP 시스템 내의 모듈들 사이나, 컴퓨터 플랫폼 사이 또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패키지 사이를 서로 연결해 줌.
Interface Program(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레거시 시스템의 데이터를 신규 ERP 시스템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프로그램으로 대부분의 경우 직접 개발(Custom developed)되며, 시스템이 운영되면 폐기됨.
Invoice(송장): 고객에게 배송 또는 제공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목록과 가격, 세금, 양 등을 기록한 문서
Item master(항목 마스터): 대부분의 ERP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본 기능중의 하나로서 회사의 재고 항목들의 특성을 정의하는 중앙 리퍼지터리를 말함.
Job Description(작업명세서): 회사내의 각 Job에 대해 역할(role), 책임(responsibility), 자격(qualification) 등을 기술한 문서로서, 이 문서의 내용은 ERP 시스템에서의 능력(Capability)와 제약(Limitation)에 영향을 미치며 상호 일관성을 가져야 함.
Journal Entries(회계데이터 입력): 차변(debits)과 대변(credits)에 기초하여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 또는 chart of account에 회계데이터를 입력하는 재무적 거래로서 ERP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소스를 통하여 일어남.
Legacy System(레거시 시스템): 조직내에 존재하는 기존 시스템 또는 기존 기술을 의미하며 시대에 뒤떨어진 부적절한 시스템 또는 기술로 인식됨으로써 조만간 교체 또는 변경될 시스템
Link test(링크시험, 연계시험): 표준 모듈과 추가개발 프로그램이 함께 잘 운영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연결성 및 통합성 시험
Modificaiton(변경): ERP 패키지의 소스코드나 데이터베이스 구조 자체를 변경하는 것으로 시스템의 무결성을 저해할 수 있고, 향후 ERP 시스템의 버전 업그레이드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
Module(모듈): ERP 소프트웨어의 기능(function)과 같은 말로 판매, 구매, 재고 등을 의미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자재 소요량 계획); 넓은 의미의 생산 관리 업무의 하나로, 원자재에서 최종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자재의 흐름을 관리하는 기법. 그 기능으로는 필요한 자재(what)를 필요한 시기(when)에 필요한 양(how much)만큼 필요한 곳(where)에 공급하기 위해 자재 구매 담당자에게는 자재 수배를 지시하고, 생산 관리 담당자에게는 가공 및 조립을 지시하여, 설계 변경 및 생산 계획 변동 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전 생산 체계에 제공함으로써 상황 변화에 즉시 대처하여 최적의 자재 수급을 가능하게 한다.
MRP 2(Material Resource Planning): 제조 회사내의 모든 자원들에 대한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business planning,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production planning, master production scheduling,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등을포함
Paramete(파라미터): ERP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로서 프로그램에 대한 명령(지서어)의 역할을 한다.
Phased Implementation(단계적 구현): 구현 프로세스나 실 운영시 모든 기능 모듈들을 동시에 구현 또는 운영하지 않고 일부 모듈부터 구현 또는 운영하는 방법
Pilot Test(파일럿 시험): ERP 시스템의 프로세스 흐름을 시험하는 것으로 특정 기능이나 모듈 또는 전체 ERP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기도 함.
Prototyping(프로토타이핑): 샘플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테스팅하여 평가하는 절차로서 적절한 프로토타이핑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더 높은 품질의 구현을 가능케 함.
Purchase Order(구매 주문): 공급자로부터 물품 구매 승인을 포함한 문서로서 해당 구매 주문과 관련된 모든 활동들에 대한 트랜잭션을 기록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심점 역할을 함.
Release level(릴리즈 레벨): 소프트웨어 공급자들에 의한 소프트에ㅜ어 시스템 식별 방법의 하나로서 소프트웨어 버전이 6.0이면, 다음에 나오는 release level은 6.1, 6.2, 6.3 등으로 나감
Sales Order(판매 주문): 고객의 구매요구에 대한 승인을 포함한 문서로서 해당 고객의 주문과 관련한 모든 활동들에 대한 트랜잭션을 기록/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심점 역할을 함.
Suplly Chain(공급망): 자재가 구매로부터 생산을 거쳐 판매되기까지의 다양한 관계들과, 계획 수립에서 실행까지를 설명하는데 쓰이는 일반적인 용어
System Test(시스템 시험): 표준 모듈과 추가개발 코드를 모두 포함하여 업무 흐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가를 확인하는 시험.
System Integration Test(시스템 통합 시스템): ERP 시스템 전체의 운영 시험으로 ERP Core module, Add-on Program 및 legacy system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실시하는 운영시험
Third Party Provider(제3자 전문프로그램 제공사): ERP 시스템의 기능이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회사로서 바코드, POS, E-business, E-commerce 등을 제공하는 회사
Transacion(거래): ERP 시스템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Activity를 의미
Unit Test(단위 시험): 단일 모듈, 단일 프로그램, 폼, 리포트, DB Trigger, Flexfield 등 각 업무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시험
Workflow(워크플로우): ERP 시스템내에서 발견되는 업무처리 순서 및 결재단계의 흐름을 말하며, 이는 기능 모듈들이 특정 상황에 맞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ERP 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2. 업무 재설계(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BPR) 용어정리
: 기업 경영 내용이나 경영 과정 전반을 분석하여 경영 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재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기업 형태, 사업 내용, 조직, 사업 분야 등을 재구성하는 것. 어느 한 부분뿐만 아니라 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업무 개선과 다르다. 업무 재설계(BPR)를 가능하게 하고 BPR 이후의 새로운 경영 체제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된 그룹웨어, 컴퓨터 지원 공동 작업(CSCW), 전략 정보 시스템(SIS)과 같은 새로운 경영 정보 시스템이다.
BPR을 정의한 학자
1) M. Hammer : BPR을 ‘비용, 품질, 서비스, 속도 등 기업의 핵심요소를 극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업무프로세스를 기본적으로 다시 생각하여 근본적으로 재설계 하는 것’으로 정의
2) Alter : 주요한 사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보기술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급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론적인 과정
3) Venkartraman: 정보기술 인프라스트럭쳐 설계에 있어 기존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재약을 주지 않고서 사용 가능한 정보기술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그 자체를 재설계하는 것
4) Davenport & Short: 비즈니스 목표에서 주요한 향상을 이루기 위해 프로세스 시각의 채택과 혁신을 조화시켜 주요 프로세스(Key Process)를 변화시키는 것
5) Senn: 조직의 효과성, 효율성, 그리고 경쟁력을 제한하는 조직구조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변화시키는 것
6) Kettinger & Grover: 기존의 변화이론, 조직행위의 기술, 정보시스템 관리, 품질관리 그리고 인사관리 영역 안의 원칙들을 업무성과의 극적 향상을 위해 재포장한 것.
BPR 추진절차
사업의 비젼과 업무의 목적 설정à리엔지니어링 대상 프로세스의 선정à현재 프로세스의 이해와 분석à필요 정보기술의 확인, 획득à프로세스 Prototype 설계 및 구축à프로세스의 결과 측정 및 평가
3. 정보전략 계획(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용어 정리
: 조직내의 전략적 정보요구를 식별하여 업무활동과 이에 대한 자료영역을 기술하고, 현행 정보지원 정도를 평가하고, 정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통합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구현을 위한 정보기술(IT:Information Technology)을 활용한 통합정보시스템 계획을 작성하는 체계적인 접근활동. 즉, ISP는 사업의 방향과 정보기술의 방향을 통합하여 조직의 사업 비전을 지원하고 정보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전략을 정의하여 다양한 조직단위에 의해 정보가 공유 가능토록 하는 통합된 정보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보시스템의 비용과 인력을 절감하도록 하는 활동이다.
4.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AI)
: 데이터 웨어하우스(DW)나 기업 자원 관리(ERP) 등 기업에서 운영하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합,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일컫는 개념. 즉 기업 내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들을 현대화, 통합, 조정하는 것을 목표로 세운 계획/방법/도구 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EAI)은 기업의 비즈니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새롭고 통합적인 시각을 개발하고, 기존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새로운 시각 내에 어떻게 맞추어지는지를 확인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추가하는 동안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등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EAI Solution: EAI를 통해 업무의 효율성, 확장성을 높이고 유지보수시간 및 비용절감, 편의성을 높이는 Solution
5.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 기업 내외의 업무 프로세스를 가시화하고, 업무의 수행과 관련된 사람과 시스템을 프로세스에 맞게 실행ㆍ통제하며,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변화 관리 및 시스템 구현 기법. 지속적으로 성장·변화·발전하며, 각 프로세스 흐름을 이해하고, 기술 솔루션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직접 구현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 시스템이다. 웹 2.0 확산이 본격화되면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와 웹 2.0을 결합해 BPM 2.0으로 진화하고 있다.
6. 전자 비즈니스(e-business, electronic business) 용어 정리
: 정보 기술(IT)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원래는 기업 내에서 IT를 침투시켜서 만들어 낸 경영 기법인데, 웹 서버의 구축이나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정비 또는 기업의 기간 업무 시스템과 그룹웨어가 연계되어 있는 정보 시스템 구축에 도입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3개의 솔루션 분야로 분류된다. ㉠공동(collaboration) 솔루션 : 그룹웨어를 활용해서 시간, 부문 및 기업의 구조(Frame)를 초월한 팀의 공동 작업과 정보 공유화에 따른 의사 결정 속도의 단축 ㉡사업(commerce) 솔루션 : 소비자나 비즈니스 참여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전자 상거래의 실현. 즉, B-B에서는 부품 등의 수주와 발주를 신속화하고, B-C에서는 새로운 상품 판매가 가능하도록 함 ㉢콘텐츠(contents) 관리 솔루션 : 정보 분석이나 공유,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촉진하며, 제품 정보 등 중요한 기업 자산의 활용을 도모함.
eBusiness의 거래주체에 따른 분류
B는 원래 비즈니스(Business)를 의미하지만 전자상거래에서는 기업이라는 뜻.
C는 일반 소비자(Consumer), 고객(Customer)를 말하며
G는 정부(Government)를 뜻한다.
2는 to의 뜻.
C2C: 소비자간 전자상거래. 옥션, 와와컴, 셀피아 등 경매형태.
C2B: 소비자가 주체가 돼서 기업과 상거래를 한다는 것. 역경매가 대표적.
C&C2B: 여러 소비자가 기업을 상대하는 것. 즉 공동 구매.
B2C: 기업-소비자간 거래. 일반 소비자가 인터넷쇼핑몰 등에 들어가 물품을 구입하는 형태.
B2B: 기업간 거래. 조달·구매 등 기업들이 협력·하청 관계로 인터넷 공간에서 상호 거래 관계를 맺는 행위.
B2G: 기업-정부간 거래. 조달청의 물품 판매, 공문서 교환 등
G2B: 정부-기업간 거래. 정부 전자조달. 물품이나 용역의 입찰, 공문서 교환 등
B2E: 기업-종업원간 거래
C2G: 소비자대 정부간 전자상거래. 세금이나 각종 부가세 등을 인터넷으로 처리하는 것.
G2C: 정부와 소비자간 전자상거래. 정부에서 물품을 소비자에게 조달하는 경우.
이렇게 두 주체간의 관계 외에 B2B와 B2C를 결합한 'B2B2C'등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모두 아우르는 'B2All' 도 등장하고 있다.
eCRM: One-to-One 마케팅의 구현을 위해, 개별 고객의 상세한 거래 특성 정보를 획득/분석하여 고객의 기여도를 극대화하는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 eMarketing, eSelling, eServices, SFA, Call Center Solution 등이 포함된다.
eProcurement: 핵심원자재와 비전략 자재(MRO)구매를 위해 전자상거래 또는 Internet Technology를 사용하는 것
eSCM: 대리점, 협력업체 등 Supply Chain 파트너간의 업무 협조(Collaboration) 및 정보/실물 흐름의 동기화(Synchronization)을 위한 On-Line communication 수단의 활용을 말한다.
eEBS: 사내의 ERP를 intranet 기반으로 확장함으로써 외부의 Extranet과 연계를 용이하게 하여 eSCM, eCRM, eProcurement등 기업 외부와의 관계에 있어 다양한 eApplication의 효과를 높이는 기능
eHR: Web 기반으로 HR(HUMAN RELATIONS) 관련 정보를 수집, 공유, 처리하고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eSEM: 전략적 경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통합 경영 관리를 통칭한다.
미래마케팅: 새로운 경쟁 스페이스를 창출하기 위하여 미래 고객의 필요, 욕구, 꿈을 미리 파악하고 이에 따른 필요 핵심역량을 구축하며 새로운 시장에 맞는 신상품/서비스를 창출,전달하는 전사적인 노력
Industry foresight(선견력): 산업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될 것인가를 예측하는 것
New Power 형성: 앞으로 어떠한 시장이 열리 것이라 예측하는 것
Positioning: 시장이 형성되었을 때 그 안에서 강력하게 고객에게 경쟁자보다 낫거나 차별화되게 고객가치를 실현해 줄수 있는 그런 능력
7. 경영정보체계(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기업의 경영진이나 조직의 관리진에게 투자, 생산, 판매, 경리, 인사 등 경영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고자 하는 정보 체계. 경영 정보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이는 단순한 자료 처리 체계가 아니라 방대한 자료로부터 정확한 경영 정보를 추출해 내는 능력을 갖춘 종합적인 정보 제공 체계이다. 경영 정보 체계는 현대의 과학적인 기업 경영에 필수적인 것으로 그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MIS 기능
거래처리시스템: 컴퓨터를 이용한 사무업무나 운용적 업무의 신속, 정확한 처리를 위한 시스템
정보처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이라고도 일컬어지며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프로그램화 의사결정시스템: 구조적 의사결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주로 시스템에 의해 의사결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의사결정지원시스템: 프로그램화 할 수 없는 비정형적, 비구조적 의사결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하는 시스템
의사소통시스템: 개인용 컴퓨터, 터미널, 팩시밀리, 워드프로세서, 컴퓨터네트워크와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환경과 시스템간의 의사소통 또는 정보전달 기능을 말한다.
8.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 DSS)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형화되지 않는 문제(즉, 주로 반구조적인 문제로 문제의 일부 측면은 계량화가 가능하나 일부는 주관적으로 다룰 수밖에 없는 문제)에 관해 의사 결정자가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또한, 기업경영에서 당면하는 여러 가지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대안을 개발하고, 비교, 평가하며, 최적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초기의 의사결정시스템은 주로 비구조적(unstructured) 혹은 반구조적(semi-structured)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결정자가 데이터와 모델을 활용할 수 있게 해 주는 대화식(interactive) 컴퓨터시스템으로 정의되었는데 이러한 정의는 너무 제한적이어서 최근에는 확대되어 정의되고 있다.
9. ASP(American Selling Price)
: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의 가격이 본선인도(FOB) 가격이든, 도착항인도(CIF) 가격이든 간에 그 수입가격을 기준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아니고, 그 수입품과 동종의 미국제품의 국내판매가격을 과세기준으로 하여 부과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이 제도에 따르면 당해 수입상품의 가격은 훨씬 비싸게 되어 국내시장에서 미국제품과의 경쟁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한 수입억제의 효과를 자여오며, 국내산업의 보호를 기하게 된다.
FOB(Free On Board): 매도인(수출업자)이 약속한 화물을 매수인(수입업자)이 지정한 선박에 적재하고 본선상에서 화물의 인도를 마칠 때까지의 일체 비용과 위험을 부담하는 무역거래 조건을 말한다. 즉 화물이 수출항에 정박한 본선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그 선측난간을 통과할 때 일체의 위험과 비용의 부담이 매도인으로부터 매수인에게로 넘어가게 된다.
FOB가격: '본선인도가격' 또는 '수출항 본선인도가격'이라고도 하며 무역상품을 적출항에서 매수자에게 인도할 때의 가격을 말한다.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가격: 수출입 상품의 운임·보험료를 포함한 가격, 즉 도착항까지의 인도가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통관통계시에 수출은 본선인도가격(FOB)을, 수입은 운임 및 보험료 포함가격(CIF)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10. S.W.O.T 분석
: 기업의 환경분석을 통해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와 위협(threat) 요인을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기법으로 어떤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강점을 살리고 약점은 죽이고,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SO전략(강점-기회전략):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강점을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
ST전략(강점-위협전략): 시장의 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강점을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
WO전략(약점-기회전략): 약점을 극복함으로써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을 선택
WT전략(약점-위협전략): 시장의 위협을 회피하고 약점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선택
11. 정보 기술 협정(Information Technology Agreement, ITA)
: 컴퓨터, 반도체 등 첨단산업 교역 자유화를 위해 이런 정보기술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는 주요 국가들이 2000년까지 교역을 완전 무관세화 하는 정보기술협정을 뜻한다.
12. 서비스 레벨 보증서(service level agreement, SLA)
: 기업이 정보 제공자(IP)와 주고받는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계약에 사용되는 보증서. 원래는 프레임 중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가 이용자에 대해서 광역 통신망(WAN) 트래픽의 전송 품질을 보증하는 계약을 가리켰다. 서비스 레벨 보증서(SLA)의 목적은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도입함으로써 통신망과 관련된 비용을 경감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목표치를 설정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관리한다. 통신망 관리인 경우에는 가용성(availability)이나 트랜잭션 처리 시간, 접속 실패율 등의 기준치를 미리 설정한다.
SLM(Service Level Managemnet)
: SLA를 바탕으로 실제 SLA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서비스 수준 관리의 목적은 SLA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측정, 평가하고 측정 결과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해 궁극적으로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서비스 수준의 향상을 이끌어 내는데 있다.
13. 정보기술 아키텍처(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ITA)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업무, 응용, 데이터, 기술 보안 등 조직 전체의 정보화 구성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뒤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 및 이를 바탕으로 정보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법. ITA는 아키텍처와 시스템의 총괄로서 업무 및 관리 프로세스와 정보기술 간의 관계인 전사적 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 업무 활동에 필요한 정보 서비스인 기술 참조 모델(Technical Reference Model) 그리고 정보 서비스를 지원하는 정보 기술 표준인 표준 프로파일(Standards Profile) 등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EA(Enterprise Architecture)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조직 및 업무, 애플리케이션, 정보기술 아키텍처간의 관계에 대해 현재의 모습과 향후 방향을 명시화한 문서, 또는 아키텍처 개발 기법. 한마디로 기업의 설계도 또는 청사진으로, 기업의 최고정보책임자(CIO)들이 효율적인 IT인프라와 전략의 확보 차원에서 기업의 정보 관련 자원을 단순하게 하고, 적응성과 재사용성을 최대한 높임으로써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마련하는 밑그림이다. 아직까지는 전문가마다 정의가 다르고, 개념 또한 진화중이다.
대체적으로 전략적 정보자산 기반으로서 조직의 사명, 사명 수행을 위한 정보와 기술, 신기술 적용을 위한 순환 절차 등을 정의하며, 비즈니스 아키텍처, 데이터 아키텍처, 기술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및 기술 참조 모델(Technical Reference Model) 및 표준(Standards) 등으로 구성된다.
14.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 전기, 전자, 정보, 통신, 자동차 기술을 교통에 적용하여 교통 체증과 비경제 등 심각한 교통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진 각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종합 교통 정보의 수집/가공/전파 시스템. 전국의 도로, 차량, 운전자 및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교통 관련 정보와 기상 정보, 도로 상태 정보 등을 수집, 처리, 가공하여 이를 유/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해서 도로변 교통 단말기, 차내 단말기, 교통 방송, PC 통신, 전화 등으로 차량 운전자 및 여행객들에게 전달함으로써 통행의 편의와 교통량의 원활한 소통을 이루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는 첨단 교통량 관리 시스템(ATMS), 첨단 교통 정보 시스템(ATIS), 첨단 대중 교통 정보 시스템(APTS), 첨단 물류 관리 시스템(CVO), 첨단 자동차 및 도로 정보 시스템(AVHS) 등이 있다.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첨단 교통 관리 시스템: 선진국에서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의 일환인 주요 간선 도로의 교통량 관리 시스템. 교차로의 방향별 교통량을 실시간으로 자동 인식하여 신호 시간과 주기 등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교통 흐름을 원활히 하고, 고속도로나 간선 도로 교차로에서의 진입 교통량을 조절하여 소통 상황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아울러 차량 번호나 중량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수행 중에 통행료나 혼잡 통행료 등을 징수하고 과적 여부를 파악하여 즉시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이다.
ATIS(advanced travel information system, advanced traffic information system)고급 교통 정보 시스템: 주요 도로의 교통량과 소통 상황, 건설 공사 및 보수 공사, 사고 등 돌발 상황, 식당/주유소/주차장 등 주변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중앙 교통 정보 센터에서 수집, 분석하여 자동차에 장착하는 전자 지도(내비게이터), 교통 방송, PC 통신, 노변 방송, 가변(可變) 정보판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제공함으로써 출발 전이나 운행 중에 운전자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선택하고 운행 계획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고급 대중 교통 정보 시스템: 대중 교통 관련 정보 시스템. 버스/기차/선박/항공편 등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과 출발/도착 시간과 같은 운행 정보를 승객 및 운영자에게 제공하여 이용자 편의를 증진하고, 운영 효율을 제고하여 대중 교통 수단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사용자에게 대중 교통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편리한 여행 수단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차량 등에 부착된 첨단 전자 장비를 통해서 운행 정보를 운수 회사 또는 대중 교통 체계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차량 배차, 차량과 운전자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정보 시스템이다.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 system)물류 운영 시스템: 물류 관리 정보 시스템. 화물 차량의 위치, 적재 화물 종류, 운행 상태, 노선 상황, 화물 알선 정보 등을 자동으로 파악함으로써 통행료의 자동 징수, 안전 운행, 귀로 공차(空車) 방지 등으로 화물차 운행을 최적화하고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태를 자동 검지하여 운전자 및 관리자에게 사전 경고를 함으로써 주행 중의 차량 안전 사고나 지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AVHS(advanced vehicle & highway information system)첨단 자동차 및 도로 정보 시스템 : 차량 및 도로 정보 시스템. 21세기 교통 체계의 핵심적인 기술로서, 첨단 차량과 도로 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운행의 안전성을 높이고 용량을 증대하는 등 여러 가지 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차량에 고성능 센서와 자동 제어 장치를 부착하여 운전자의 시계(視界)를 확대하고, 운전 형태를 감시하는 한편 도로 상황을 검지하여 전방/측방 충돌을 예방하며 차선 이탈이나 위험 구간을 경고한다. 차량 간의 간격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도로의 소통 능력을 높이고, 나아가 차량 제어 시스템과 주변 시설의 지능화로 차량의 자동 운전을 구현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15. 서비스 레벨 보증서(service level agreement, SLA)
: 기업이 정보 제공자(IP)와 주고받는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계약에 사용되는 보증서. 원래는 프레임 중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가 이용자에 대해서 광역 통신망(WAN) 트래픽의 전송 품질을 보증하는 계약을 가리켰다. 서비스 레벨 보증서(SLA)의 목적은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도입함으로써 통신망과 관련된 비용을 경감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목표치를 설정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관리한다. 통신망 관리인 경우에는 가용성(availability)이나 트랜잭션 처리 시간, 접속 실패율 등의 기준치를 미리 설정한다.
SLM(Service Level Magement, 서비스 수준 관리): SLA를 바탕으로 실제 SLA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서비스수준관리의 목적은 SLA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측정, 평가하고 측정 결과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해 궁극적으로 프로세스 개선을 서비스수준의 향상을 이끌어 내는 데 있다.
16. ISV(Independent software vendor)
: 특정 하드웨어나 제조업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여러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벤더. 예전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컴퓨터에서만 동작하는 소프트웨어가 일반적이었으나 개방 시스템화의 진전에 따라 특정 컴퓨터 제조업체에 의존하지 않는 ISV가 각광을 받게 되었다. 컴퓨터 제조업체에 따라서는 자사의 하드웨어상에서만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것은 자사의 소프트웨어 판매 촉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ISV를 중요한 파트너로 인정하게 되었다.
17. IMS(정보화경영체제)
: 중소기업의 경영혁신과 체질개선 향상을 목표로 만들어진 정보, 지식을 이용하여 경영성과를 구현하기 위한 경영활동의 틀(framework)을 말한다. 즉,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을 이루기 위해 조직 전반의 목표 및 방침을 정하고 엄무절차를 표준화하여 이에 따라 정보시스템을 도입 및 운영함으로써,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 개선시키는 경영활동이다.
18. 비즈니스 프로세스 실행 언어(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BPEL)
: 다수 웹 서비스의 조합을 가능케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규격. IBM사의 WSFL(Web Services Flow Language)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XLANG을 통합한 것으로 웹 서비스 상호 운용성 기관(WS-I Organization: Web Services Interoperability Organization)이 제안한 산업체 표준이다. 비즈니스 파트너의 여러 부서들이 표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기술한 것으로, 예를 들면 공급 사슬 프로세스에서 제품 주문 정보와 예외 사항을 작성하는 비즈니스 프로토콜을 기술한다.
19. 공급 사슬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 기업 간 또는 기업 내부에서 제품/부품의 생산자로부터 사용자에 이르는 공급 체인을 재공학 및 동시 공학 기법을 활용해서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려는 관리 기법. 공급 사슬 관리(SCM)는 제품 계획, 원재료 구매, 제조, 배달 등 공급망에 관련된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그 결과로 생성된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한다.
20. 가치 사슬(value chain)
: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련의 동업 회사들. 원재료의 수급에서 고객에게 제품을 전달하는 일련의 자원과 정보의 흐름 전체를 관리하기 위해 부품, 기자재, 원료 등의 구매에서부터 조달, 제조, 보관 및 운송, 유통, 판매까지의 가치 사슬 전체를 담당하는 공급업체를 통칭한 것이다.
주활동(primary activities): 부가가치를 직접 창출하는 부문
지원활동(support activities): 부가가치가 창출되도록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부문
21. 성과참조모델(PRM)
: 주요 IT 계획과 사업성과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따라서 PRM은 정부기관들이 보완된 성과정보를 산출하고, 최종 결과물과 성과에 대한 기술과 같은 투입물의 지원을 배정하고 보다 구체화하며, 전통적인 조직적 경계를 포괄하는 개선 가능성을 정의하는데 지원한다.
22. 사업참조모델(BRM)
: 정부기관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사업부문(Lines of business)및 하위기능(sub-functions)을 정의하기 위한 사업기능 지향적 프레임워크이다.
23. 서비스 컴포넌트 참조모델(SRM)
: IT투자를 통합적으로 구성하는 IT 및 컴포넌트를 특징 짓는 공동의 프레임워크와 용어를 제공한다. SRM은 정부기고나들이 사업과 IT 컴포넌트를 공유하고 재사용 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IT솔루션의 통합을 지원한다. 컴포넌트는 업무 또는 기술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현되는 사전 정의된 기능성을 포함하는 독립된(selft-contained) 프로세스, 서비스 또는 IT성과를 의미한다.
24. 기술참조모델(TRM)
: 표준, 사양(specifications), 기술지원의 제공 및 교환, 그리고 사업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와 전자정부 솔루션을 정의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TRM은 범정부적인 차원의 기술 및 컴포넌트 서비스 재사용(re-use)을 전개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정부기관의 TRMs와 전자정부의 지침을 통합한다.
25. 데이터참조모델(DRM)
: 데이터의 표준화 및 재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분류 및 데이터 표준화와 관리를 위한 기준 및 체계
26. 지식 관리 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조직이나 기업의 인적 자원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 기업이나 조직의 지식을 이용하기 쉽게 축적하여 해당 지식을 기업의 전략이나 정책 수립, 의사 결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사람에게, 적절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의 기업 정보 시스템은 기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만 담당했고 의사결정은 기업내 인적 자원이 수행해왔기 때문에 인적 자원이 떠나면 기업의 지식 자원도 함께 소실되는 폐단이 있었다. KMS는 인적 자원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 자산을 기업 내에 축적,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기업 정보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한다.
27. PI 방법론(PIM)
: 조직설계와 시스템설계의 결합을 통하여 치명적인 조직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조직혁신의 과정이라고 할 것이다. 현실적으로는 주로 통합정보시스템 도입 혹은 ERP의 구축과 더불어 이들 작업의 사전 및 사후의 컨설팅 과정으로서 적용되어 왔다. PI는 통합정보시스템 혹은 ERP 구축 이전에 성공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사전의 정지 작업으로서 필요하고 또한 통합정보시스템 및 ERP 및 ERP 구축 이후에도 새로운 시스템과 업무 및 조직사이의 적합성 제고 및 시스템 Up-grade진단을 위하여 활용되었다.
Process : 사업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산출해 내기 위한 일련의 업무활동의 연속
Innovation : 뭔가 새로운 것을 도입해서 무엇인가를 개선,향상 시키는 활동
Process Innovation : 일련의 과정을 변화시키고 뭔가 새로운 것을 도입해서 프로세스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활동
28. 관리자 명칭
CEO(chief Executive Officer)최고대표이사: 회장과 동급, 실질적인 경영결정권을 갖음.
CFO(Chief Financial Officer)최고재무경영자: 재무 최고경영자
CIO(Chief Information Officer)최고 정보경영자:
CCO(Chief Compliance Officer)최고감사책임자: 회사의 경영과 준법 관련 책임자
CTO(Chief Technology Officer)최고기술경영자: 회사의 기술개발 전체를 총괄하는 경영자
CSO(Chief Security Officer)최고 보안경영자: 기업의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기업 기밀과 기술기밀 등 보완관련 최고경영자
COO(Chief Operating Officer)최고운영경영자: 기업 내부의 사업을 담당하는 총괄책임자, 일반적으로 사장이 맡음.
CMO(Chief Marketing Officer)최고마케팅경영자: 회사의 마케팅 부문 전체를 담당하는 총괄책임자
CRO(Chief Risk Officer)최고위기관리책임자: 기업활동에 있어서의 수 많은 위험에 대한 대처를 위한 최고책임경영자를 두는 기업도 있다.
CBO(Chief Banrdn Officer)최고 브랜드경영자: 브랜드의 가치와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브랜드관리를 기업경영의 최고 차원에서 관리
29. 주요 성공 요인(Critical Succes Factors, CSF)
: 경영의 목적(Goal)및 경영 목표(Objective)를 성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내부 항목으로 경영 목적(Goal)을 위한 수단의 역할을 수행한다. Goal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외부적인 경향이 강하다면, CSF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며 내부적인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CSF는 경영의 중요한 가정(Critical Sssumpiton)이 변하면 함께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CSF는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Means)이며, 성과의 달성은 측정될 수 있어야 한다.
CSF가 도출되는 원천
해당산업 : 산업 자체의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CSF
경쟁적 전략 또는 업계 내의 위치: 기업의 특정 활동 범위 또는 역할에 의해 도출되거나 또는 고유한 전략에 의해 도출되는 CSF
환경적 요인: 환경적 변화 요인에 의해 도출되는 CSF
일시적 요인: 단기적 위기 상황에 의해 도출되는 CSF로 취기에 관련된 CSF는 중요할 수는 있지만 수명은 짧음
관리직의 위치: 어떤 CSF는 특정 관라자에게 관련되어 있음.
29. 4P
: 마케팅 전략을 분석
Product: 컨텐츠의 품질, 기능의 특성, 디자인 스타일, 브랜드 아이덴티티, 서비스의 퀄리티 등의 경우 분석
Price: 사이트 이용 비용(시간포함), 제품 또는 컨텐츠의 가격과 같은 경우 분석.
Place: 유통경로, 재고, 배송 등의 경우 분석.
Promotion: 광고, 홍보, 판매촉진의 경우 분석
30. 4A
: Any Time, Any Where, Any Product, Any Body를 말하는 것으로 가능한 모든 제품을 언제, 어디서나 모든 방법을 동원하녀 마케팅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 이러한 마케팅 방법으로 전방위마케팅방법이나 IMC등이 있다.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 IMC는 광고, DM, SP와 PR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의 전략적인 역할을 비교 검토하고, 명료성과 일관성을 높여 최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 다양한 수단들을 통합하는 총괄적 계획의 부가적 가치를 인식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계획의 개념이다"라고 정의.
이 정의는 그 실례로 Marketing Mix 가운데 하나인 프로모션(Promotion)에 속하는 것들을 나열하고 있어 프로모션에 역점을 둔 좁은 의미의 IMC로 받아 들여질 수 도 있지만 그 핵심내용을 살펴보면 포괄적인 의미도 담겨져 있는데 다음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사용한다는 것이다(A조건)
둘째, 이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통합한다는 것이며(B조건), A조건과 B조건이 동시에 충족 되어야 IMC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전략적인 역할을 비교 분석하는 Strategic Decision Making이 라는 것이다.
넷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플래닝이라는 개념이다.
31. 4E
: Evangelist:고객전도사 Enthusiasm:열성, Experience:체험, Exchange:교환
구매와 관련해서 신경학자 도널드 칼네는 “이성과 감성의 근본적인 차이는 이성은 결론을 낳는데 반해 감성은 행동을 낳는다는 점이다.”라고 했다. 사회의 변화하는 모습에 따라 마케팅 믹스 전략도 개발과 수정이 되어야 한다. 생산자 중심의 산업사회에서는 마케팅 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로써 충분히 설명이 되었다. 공급보다 수요가 많았던, 공급자 우위의 시대에는 이러한 생산자 관점이 유용했으나 1960년대에 소비자 중심주의 운동과 정보화 사회를 거치면서 필립코틀러는 4C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제 감성 사회를 맞이해서 뉴 마케팅 믹스 4E가 필요하다.
32. 사고방식
: 4p는 in-outside, 4A는 out-inside, 4E는 in&out side 다른말로 산업, 정보, 감성 사회라고도 한다.
33. 6C
: 인터넷 비즈니스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
Contensts 전략: Contents는 고객이 웹사이트를 찾아 올 수 있도록 만드는 계기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 웹사이트에 담겨진 내용이나 정보를 말한다.
Community 전략: 커뮤니티는 고객과 기업간의 끈끈한 공유의식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Commerce 전략: 커머스는 기업의 수익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크게 광고수입, 상품판매, 커미션, 유료화, 제휴를 통하여 매출을 올리는 역할
Connection 전략: 커넥션은 인터넷비즈니스의 성장을 위하여 독자적인 사업전략이 아닌 상호협력을 할 수 있는 기업들과의 공동이익을 목적으로 제휴전략을 맺는 것을 말한다.
Customizing 전략: 커스터마이징은 컨텐츠와 서비스의 격차가 없어지면서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 및 충성고객 확보를 위하여 고객 개개인에게 맞는 컨텐츠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을 말한다.
Communication 전략: 커뮤니케이션은 고객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고객 개개인이 커뮤니케이션 증대와 회사와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증대를 위한 전략을 말한다.
34. 5Force
: 경제학자 마이클포터의 경쟁세력에 대한 전략 대응법
-신규 진입자의 위협에 대응: 신규진입자가 진입을 하여 포지셔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진입을 못하도록 진입장벽을 쌓는 댕응을 해야 한다. 억지로 비용불이익을 감수하도록 하거나, 기존이 유통채널을 장악하고 있다던가, 고객에 대한 인지도를 확실히 상승시켜 진입을 못하도록 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공급자의 교섭력에 대응: 막대한 공급자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인데 소수 공급기업이 그 분야의 생산을(컨텐츠를)집중해 보유하는 경우이거나 다른공급자로 바꿨을 경우 전환비용(기존 설비나 시스템이 현 공급자에 맞추어져 있는 경우)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응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온라인 의류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는데, 의류를 공급해주는 공급자의 영향력이 강해져 판매에 영향이 미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다양한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구매자의 교섭력에 대응: 구매자 집단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인데 다른 경쟁자들의 제품(웹사이트 컨텐츠)보다 뛰어난 경쟁력을 갖고 있다면 구매자의 영향이 커진다해도 큰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다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 그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집단으로 타켓을 바꿔보는 것도 전략이다.
-대체제의 위협에 대응: 새로운 대체서비스, 대체 상품이 나오는 경우, 예를 들면 홈페이지 서비스를 해주던 서비스들이 대체서비스인 블로그서비스가 나오면서 홈페이지서비스가 블로그서비스로 대체되어 버렸다. 이와 같은 경우 품질을 높이거나 제품을 차별화 할 수 없다면 홈페이지산업은 소득과 성장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없다. 이럴 경우 대체품의 성장을 제한하도록 하는 전략을 찾으면서 새로운 기회를 옅보고 철수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치열한 포지셔닝 경쟁에 대응: 경쟁세력간의 힘이 비슷할수록 포지셔닝 쟁탈전은 치열해진다. 고객을 빼앗기 위해서 경쟁자의 공격을 무력화 시킬 정도로 차별화하는 것이 방법일 것이다. 구매자의 전화비용을 높이는 전략을 세우거나(지금 네이버의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 블로그로 이동시키기에 어려움과 제약이 따르도록 만든다거나)제품의 차별화를 해서 떠나지 못하게 만드는 전략이 필요하다.
35. 3C
: 비즈니스 환경분석
Customer(시장동향, 표적시장, 고객의 욕구):
Competitor(상대적 경쟁력, 경쟁사, 강점과 약점):
Company(자사의 현황, 자사의 강약점, 강점을 살린 기획, 자사의 목표)
37. 전략 정보 시스템(strategic information system, SIS)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축, 이용하는 정시 시스템. 이 용어에 대한 개념은 1985년경에 출현하였는데, 종래의 정보 시스템이 기업 내 업무의 합리화나 효율화에 역점을 두었던 것에 반하여, 기업이 경쟁에서 승리하여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시스템이라는 뜻에서 전략 정보 시스템이라고 불린다. 그 요건으로는 경쟁 우위의 확보(고객의 포위), 신규 사업의 창출이나 상권의 확대, 업계 구조의 변혁 등을 들 수 있다. 실례로는 금융 기관의 대규모 온라인 시스템, 항공 회사의 좌석 예약 시스템(CRC), 슈퍼마켓(체인점) 등에서의 판매 시점 관리(POS)를 들 수 있다. 최근에는 대외 지향적인 전략 시스템뿐만 아니라 기업 구조의 재구축을 위한 업무 재설계(BPR)와 같이 경영 전략을 수립하여 그에 맞는 정보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접근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38. 전략적 경영 관리(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SEM)
: IT에 기반을 두고 경영자 및 관리자에게 경영환경 및 기업활동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을 통해 자원배분에 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실행이 가능하도록 도와 줌으로써 기업가치(이익)를 극대화를 실현시켜주는 선진 경영혁신 기법(전략적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이다.
밸런스스코어카드(BSC), 활동원가(ABC), 가치분석(VBM) 시스템 등이 여기에 속한다. 통합분석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칭되는 SEM은 원래 기업의 회계, 재무, 예산, 자원, 인사, 노무 등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기업 관련 정보의 자동화를 의미하며 비즈니스 관리 및 의사결정 솔루션을 포함하고 있다. SEM은 각종 기업자원 활용인 VBM(Value Based Management), 원가 프로세스 성과관리를 의미하는 ABC/ABM(Activity Based Costing/Activity Based Management), 균형적인 프로세스 관리인 BS(Balanced Scorecard) 등 세 가지 경영기법을 기반으로 한 통합관리다
VBM(Value Based Management): 자산가치활용 정도를 측정하는 기법중에서 가장 알려진 것이 '가치창조경영(VBM:Value Based Management)'이다. 이같이 가치창조경영 기법이 인기가 있는 것은 모든 의사결정의 판단기준을 회계상의 매출, 이익중심에서 경제적 이익에 근거한 기업가치 중심으로 사업을 관리하는 기법이기 때문이다.
즉, 가치창조경영은 경영 패러다임을 바꿔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성이 뒷받침되도록 기업활동을 기획, 실행, 통제해 나가는 기법이다.
가치창조경영은 '투하자본수익률(ROIC)'을 사업평가의 핵심기준으로 삼는데, '투하자본수익률'이란 생산 및 영업 활동에 투자한 자본으로 어느정도 이익을 확보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를 '가중평균 자본비용(WACC)'과 비교하면 재무구조의 건전성과 수익성을 판단할 수 있다.
특징
-자원의 효율적 이용: 전사차원에서 현금의 흐름을 최적화, 자금 수요를 기업내부에서 충당
-위험의 최소화: 현금 흐름과 사업가치를 분석 검토, 미래의 위험을 파악 가능
-기업의 현장 적용: 조직 체계에 적, 투자에 대한 장래의 현금 흐름 학습
VBM모형
EVA(Economic Value Added):영업이익에서 법인세, 금융, 자본비용 등을 제외한 금액,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였는가를 측정함.
MVA(Market Value Added):기업의 총 자본을 산정하고 여기서 주가가치와 부채를 공제함으로써 실제시장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경영했는지를 나타내는 경영지표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생산 및 영업 활동에 투자한 자본으로 어느 정도 이익을 확보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BSC(Balance Score Card): 4가지 측면(재무, 학습과 성장, 고객, 내부프로세스)을 측정가능한 KPI로 전환 균형적인 경영성과 관리를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성과관리기법
활동 기준 원가 계산(activity based costing, ABC) : 비즈니스를 업무 활동 단위로 세분해서 각 업무 활동 단위마다 소요 경비를 수치화 하는 방법. 본래는 제품 가격을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 서류 작성이나 수주 처리 등의 간접 비용을 상세히 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정보통신기기의 형식 승인이나 형식 검정에 필요한 수수료의 산정 기준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아웃소싱이나 업무 개혁을 진행하는 수단 또는 IT 투자 효과를 예측/측정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기본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원가대상(Cost Object) : 기업에서 원가를 산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을 말한다. 보편적으로 제품/서비스 및 고객을 지칭하나 기업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모든 분야가 대상이 될수있다. 예를들어 각 사업부문, 시장, 유통경로, 설계프로젝트 등에 대한 원가정보가 필요할 경우 이에 맞게 원가 시스템을 설계하여 정보를산출할 수있다.
2. 자원(Resource) :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소비되는원가로 총계정원장상의 원가나 비용항목인 재료비, 노무비, 감가상각비 등을 말한다.
3. 자원동인(Resource Driver) : 활동에 소비되어 지는 자원의 측정을 위한 기준으로 인원수, 급여, 전력소비량, 재료비 소비량, 면적 등을 주로 이용한다.
4. 활동동인(Activity Driver) : 원가대상에 소비되는 활동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검사시간, 작업시간, 작업준비시간 등이있다.
BSC(Balanced Scorecarding)균형 성과관리 : 전략중심조직을 정립하기 위한 지원 Tool로 BSC (Balanced Scorecard)는 전사 목표를 각 조직 및 개인의 실행가능 목표로 전환(Transfer)하고, 이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 및 모니터링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입니다.
BSC는 주로 재무적 지표들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관리 방법과 달리, BSC 성과 지표들은 재무적/비재무적 지표들을 모두 관리하는 것으로 전략적 분석과 운영 프로세스에 관련된 틀을 제시합니다.
[BSC란 ‘재무적/비재무적 성과지표를 통한 균형적인 성과 관리 도구’라고 간단히 정의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들 성과 지표-핵심 성과 지표(KPIs) 간에는 인과 관계(Cause & Effects)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인과 관계를 통해 전략 수립과 실행 사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BSC에서의 4가지 관점(Perspectives)은 기업의 가치 창출 근원에 대한 시각을 제시해 주게 됩니다. 즉, BSC에서 설정한 관점을 통해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의 원천이 어디에서 오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우리의 기업 가치는 어디에서 오는가?’, “그 가치 원천들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답변을 통해 관점(Perspective)이 정립됩니다.
[관점은 ‘조직 가치 창출의 원천’, 또는 ‘전략적 성과 지표들의 묶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는 학습과 성장 관점(Learning& Growth Perspective),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고객 관점(Customer Perspective), 재무적 관점(Financial Perspective)의 4가지가 있습니다.
CPM(Cooperate Performance Management) : SFO를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 Infra를 Cognos는 “CPM”이라고 정의하고, BI를 기반으로 전략의 실행력 강화를 지원할 수 있는 CMM과 전략계획과 연계된 효율적인 운영계획을 지원할 수 있는 CP가 있다.
SFO(Strategy Focused Organization): 전략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기업들은 전략적 방향에 대한 조직을 정렬(alignment)하고 역량을 집중하여 , 전략적 대응력을 강화하고 실행력을 향상 시키고 있다.
39. 7S
: Mckinseyd의 7s모델은 전체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기업을 조직하는 7가지 요인을 묘사하는 경영모델.
비효과적인 조직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적인 도구. 조직의 변화에 대한 지침. 합리적이고 하드한 요소를 정서적이고 쉬프트한 요소들과 조합 경영자는 7가지 요인들을 모두 수평적이고 상호연관성있게 다루어야 한다.
공유가치(Shared Values, 또는 초월적인 공동목표 superordinate goals): 모델의 상호연결하는 중심이 되는 것은 공유가치이다. 조직이 대표하고 믿고 있는 것
Strategy(전략): 확인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의 희소자원을 시간적으로 배치한 계획, 환경, 경쟁, 고객
Structure(구조): 조직의 하부단위가 상호연관되어 있는 방식, 중앙집권적이고 기능적 부서(톱다운), 분권화, 매트릭스, 네트워크, 보유 등
System(시스템): 작업이 어떻게 완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절차, 프로세스 및 일과 재무 시스템
Staff(직원): 조직 내 직원의 수와 유형
Style(스타일): 핵심 경영자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행동하는 방법 및 조직의 문화 스타일
Skills(기술): 하나의 전체로서 조직 구성원들의 특별한 능력
40. MOT(Moments of Truth)
: MOT마케팅(Moments Of Truth : 고객과의 접촉점 즉, 진실의 순간을 중요시 하는 것이 MOT의 핵심입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노력들). MOT(Moment of Truth)란 스페인의 투우 용어인 'Moment De La Verdad'를 영어로 옮긴 것인데, 스웨덴의 마케팅 학자인 리차드 노만(R. Norman)이 서비스 품질관리에 처음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원래 이 말은 투우사가 소의 급소를 찌르는 순간을 말하는데, '피하려 해도 피할 수 없는 순간' 또는 '실패가 허용되지 않는 매우 중요한 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MOT란 '진실의 순간'이라는 통상적 번역보다 '결정적 순간'이라는 말이 더 적합하다.
서비스 품질관리에서 MOT 또는 결정적 순간이란 "고객이 조직의 어떤 일면과 접촉하는 접점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과 그 품질에 대해 어떤 인상을 받는 순간이나 사상(事象)"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MOT는 고객이 종업원과 접촉하는 순간에 발생하지만, '광고를 보는 순간'이나 '대금 청구서를 받아 보는 순간' 등과 같이 조직의 여러 자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순간이 될 수도 있다.
41. VOC(Voice Of Customer)
: 기업의 경영활동에 있어서 고객들이 기업에게 반응하는 각종 문의, 질문, 제안등의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저장하고 분석하여 기업의 경영활동에 활용하고 고객에게 다시 Feeback 해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고객의 소리에 근거한 경영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경영체계
42. 경영진 정보 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 EIS)
: 기업의 상급 경영 관리직의 전략 구상을 지원할 목적으로 구축된 경영 정보 시스템. 최고 경영자나 임원 혹은 관리자가 전략적 경쟁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고 전체 사업과 그 기능부서의 활동을 감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이다. 이와 유사한 시스템으로는 경영 전략 지원 시스템(ESS:executive support system),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DSS), 전략 정보 시스템(SIS) 등이 있다.
43.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 DSS)
: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형화되지 않는 문제(즉, 주로 반구조적인 문제로 문제의 일부 측면은 계량화가 가능하나 일부는 주관적으로 다룰 수밖에 없는 문제)에 관해 의사 결정자가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44. 전략 정보 시스템(strategic information system, SIS)
: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축, 이용하는 정시 시스템. 이 용어에 대한 개념은 1985년경에 출현하였는데, 종래의 정보 시스템이 기업 내 업무의 합리화나 효율화에 역점을 두었던 것에 반하여, 기업이 경쟁에서 승리하여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시스템이라는 뜻에서 전략 정보 시스템이라고 불린다. 그 요건으로는 경쟁 우위의 확보(고객의 포위), 신규 사업의 창출이나 상권의 확대, 업계 구조의 변혁 등을 들 수 있다. 실례로는 금융 기관의 대규모 온라인 시스템, 항공 회사의 좌석 예약 시스템(CRC), 슈퍼마켓(체인점) 등에서의 판매 시점 관리(POS)를 들 수 있다. 최근에는 대외 지향적인 전략 시스템뿐만 아니라 기업 구조의 재구축을 위한 업무 재설계(BPR)와 같이 경영 전략을 수립하여 그에 맞는 정보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접근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45. 고객 관계 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 기업이 고객 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용어.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46. 친화도법(affinity diagram)
: 동일 주제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나 전망 자료를 종합하여 유사성이나 연관성에 따라 재분류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제시하는 방법.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많은 아이디어나 생각들이 도출은 되었으나 정돈되지 않아 전체적인 파악이 어려울 때 이 기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아이디어나 정보를 몇 개의 연관성 높은 그룹으로 분류하고 파악할 수 있다.
47. 비용-편익 분석(Benefit-Cost Analysis)
: 공공사업을 통해 예상되는 사회적 편익과 사회적 비용의 추정을 토대로 특정사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지, 투자를 한다면 순편익의 중가는 얼마가 될지, 또한 투자의 규모나 사업의 투자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야 할 지 등에 대한 분석, 평가를 위한 이론적 해답으로 대표적인 것.
48. 특성요인도(Cause and Effect Diagram)
: 특성에 대하여 어떤 요인이 어떤 관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명확히 하여 원인규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그 모양이 생선뼈와 비슷하여 ‘물고기뼈 그림(Fishbone Diagram)’이라고 하는데, 이 기법은 품질개선활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의 품질관리 이시가와 가오루 박사가 고안하였기 때문에 ‘이시가와 다이어그램(Ishikawa Diagram)’이라고도 한다
'시리즈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회계::변동원가계산 (0) | 2014.05.14 |
---|---|
제품별 원가계산 (0) | 2014.05.13 |
제2절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제3절 부문비 계산 (2) | 2014.03.23 |
제조간접비 실제배부 (0) | 2014.03.19 |
제조간접비 실제배부 (0) | 201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