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의 기본요소 인식과 측정
제5절 재무제표의 기본요소 인식과 측정
(1) 기본원칙
역사적 원가주의, 수익인식의 원칙, 완전공시의 원칙
① 역사적 원가주의
취득원가주의로서 자산∙부채는 취득 또는 발생시점의 교환가치에 의하여 인식한다는 기본원칙
장점 |
취득원가는 객관적이고 검증가능하다.(신뢰성) 취득시점의 공정가치를 반영한다. 원가의 측정 및 결정이 용이하다. |
단점 |
과거의 교환가격으로 현행가치를 반영하지 못한다. 현행수익에 과거원가가 대응되어 비합리적인 수익비용의 대응이 이루어진다. 미실현보유손익을 인식하지 않는다. |
② 기간별 비교
기업실체의 전체 존속기간을 일정한 회계기간 단위로 분할하여 각 회계기간별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
③ 수익의 인식기준(실현주의)
수익은 실현주의에 의하여 인식한다는 원칙으로, 실현요건과 가득요건이 동시에 충족되는 것
실현요건 |
수익이 실현되었거나 실현가능하여야 한다. |
가득요건 |
수익획득과정이 완료되어야 한다. |
④ 비용의 인식기준(대응원칙)
일정기간 동안 인식된 수익과 수익을 획득하기 위하여 발생한 비용을 대응시켜 일정기간의 순손익을 산정한다는 기본원칙으로 비용인식의 원칙이다.
a 직접대응(인과관계의 의한 인식) : 수익과 직접 관련하여 발생한 비용은 동일한 거래나 사건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인식할 때 대응하여 인식한다.
b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기간배분(기간대응) : 수익과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명확히 할 수 없지만, 기간수익 창출에 기여한 비용은 기간별로 배분하여 인식한다.
c 발생즉시 인식 : 발생된 지출액에 대한 미래 경제적 효익이 불확실하거나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발생즉시 비용으로 인식한다.
⑤ 완전공시의 원칙(full disclosure principle)
회계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회계정보는 모두 공시하여야 한다는 원칙
⑥ 보수주의(conservatism)
회계처리과정에서 선택가능한 회계방법이 둘 이상 존재할 경우 기업실체의 재무적 기초를 견고히 하는 회계방법을 선택한다는 회계관습. 즉, 선택가능한 회계방법이 존재할 경우 기간이익이 적게, 기간이익이 동일하다면 늦게 인식하는 회계방법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장점 |
재무적 안정성 유지 |
단점 |
① 논리적 일관성이 없음 ② 이익조작 가능성 ③ 기간별 비교가능성 저하 ④ 표현의 충실성 및 중립성에 위배 |
※ 보수적인 회계처리방법
① 재고자산단가 결정 ··················· |
후입선출법(물가상승시), 선입선출법(물가하락시) |
② 자산평가방법 ······························ |
저가법 |
③ 공사수익 인식 ···························· |
완성기준 |
④ 취득 이후 발생된 지출액 ····· |
수익적 지출 처리 |
⑤ 감가상각방법 ······························ |
가속상각법 |
⑥ 재고자산수량 결정 ·················· |
실지재고조사법(물가상승시), 계속기록법(물가하락시) |
⑦ 사채할인발행차금상각 ··········· |
정액법 |
⑧ 사채할증발행차금환입 ··········· |
유효이자율법 |
'시리즈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회계의 개념 (0) | 2014.03.07 |
---|---|
회계주체이론(지분이론) (0) | 2014.03.01 |
재무제표의 기본요소 (0) | 2014.02.26 |
재무제표의 기본과정 (0) | 2014.02.21 |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Qualitative Characteristics) (0) | 201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