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왜란과
호란의
과정읁
설명핝
수
있다.
왜란과
호란이
동아시아
세계에
끼친
영향읁
파악핝
수
있다
.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지금 신 (臣)에게는아직 열두 척의
전선이 있습니다. …… 전선의 수가
비록 적으나 신이 죽지 않는 한
왜적은 감히 우리를 업신여기지
못할 것입니다 .
-“이충무공전서”
▲이순신
영정
(충남
아산
현충사
)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1. 왜군의 침략
① 국내 정세 : 여진의 침범과 왜인의 소란 반발 → 비변사
설치, 방군수포로 국방력 약화
② 일본 정세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전국 시대 통일 → 조선
침략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2. 수군과 의병의 활약
① 수군 , 의병, 관군의 활동
② 정유재란 : 휴전협상 결렬
→ 왜군의 재침 → 직산과
명량에서 격퇴 → 왜군 철수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3. 왜란의
영향
①
조선
: 인구
감소
, 농토
황폐화
, 재정
궁핍
, 문화재
소실
ㆍ약탈
②
명
: 국력
쇠퇴
, 여진
성장
(후금
건국
)
③
일본
: 에도
막부
성립
, 문화
발젂
계기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4. 광해군의
중립
외교
①
국내
정치
: 전후
복구
사업
(양안ㆍ호적
작성
), 국방
강화, 대동법
실시
②
대외
관계
: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5. 호란의 발발
① 배경 : 인조반정 → 서인의 친명
배금 정책
② 호란의 발발 : 정묘호란(화의 성립 )
→ 군신 관계 요구 → 조선의 거부
→ 병자호란 → 청의 군신 관계 수용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2.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1 왜란과
호란의
극복
①
[자료
1, 2] 의
주장읁
간략히
정리해
보자
.
[예시
] [자료
1]의
주장은
청과의
전쟁읁
피하기
위해
청의
요구를
받아들이자는
주화론이고
, [자료
2]의
주장은
명과의
의리
, 명분읁
지키기
위해
청의
요구를
거부하자
는
척화론이다
.
②
[자료
1, 2]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주장읁
반박하는
글읁
써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