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저장장치 구조(Tertiary Storage Structure)
14. 제3의 저장장치 구조(Tertiary Storage Structure)
14.1 제3의 저장장치(Tertiary-Storage Devices)
▶ 제3의 저장장치의 특성
- 저렴
- 제거 가능
ex) 플로피 디스크, CD-ROM 등
14.1.1 제거 가능한 디스크(Removable Disks)
▶ 판독기록 디스크: 반복된 쓰기, 읽기 가능
① 제거 가능한 자기 디스크
ex) 플로피 디스크
- 플라스틱 케이스로 보호
- 용량: 1Mbyte - 1Gbyte 이상
- 하드디스크만큼 빠르게 동작
- 표면의 긁힘에 의한 손상 가능
② 자기 광 디스크
- 자기 광 헤드는 자기 디스크 헤드보다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짐
- 플라스틱이나 유리에 의한 자기 물질 보호
- 헤드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다 안전
- 레이저빔이 주사된 좁은 지점(비트)은 가열되어 자기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샵(shop)을 형성
- 레이저 빛의 Kerr효과에 의한 한 비트를 판독
→ 레이저빔이 자기 지점에서 반사될 때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이용
③ 광 디스크
→ 자기장을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빛에 의해 상대적으로 밝거나 어두운 점으로 변경하는 기술
1) 단계 변화(phase-change) 디스크
- 레이저 빛의 강도를 조절하여 결정체나 비결정체로 상태를 변화시킴
- 두 상태는 레이저 빛을 서로 다른 강도로 반사함
2) 염료 중합체(dye-polymer) 디스크
- 디스크는 레이저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한 플라스틱으로 입혀짐
- 레이저는 작은 점을 가열하여 융기(bump)를 만들어냄
- 레이저 빛의 강도를 조절하여 부드러운 상태나 원래의 상태로 변화시킴
▶ WORM 디스크: 단 한번만 쓰고 여러 번 판독
ex) CD-ROM, DVD
- 두 장의 유리나 플라스틱 판 사이에 알루미늄 필름을 넣음
- 레이저 빛으로 알루미늄 필름을 통과시켜 작은 구멍을 냄
- 영구적이고 신뢰성이 높음
14.1.2 테이프(Tapes)
▶ 특성
- 저렴하고 방대한 자료 저장 가능
- 전송 속도는 디스크와 유사하나, 임의 접근 속도는 훨씬 느림
→ 빨리 감기나 되감기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
- 디스크 자료의 백업 복사용으로 많이 사용됨
▶ 로보틱 테이프 교환기: 테이프 구동기와 테이프 저장고의 저장 슬롯 사이에 테이프를 옮김
- 스태커(stacker): 소수의 테이프를 가지고 있는 저장고
- 사일로(silo): 많은 수의 테이프를 가지고 있는 저장고
→ 니어라인(near-line) 저장장치로도 불림
14.1.3 향후 기술
▶ 예: 입체 사진의 저장 - 현재는 비용이 많이 들어 사용되지 않고 있음
14.2 운영체제 작업(Operating-System Jobs)
14.2.1 응용 인터페이스(Application Interface)
▶ 제거 가능한 디스크: 고정된 디스크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
→ 새로운 카트리지가 구동기에 들어오면, 포맷된 후 공백의 파일 시스템이 만들어짐
▶ 테이프: 하드디스크와 다르게 관리
- 운영체제는 테이프를 가공하지 않은 저장 매체로서 표현함
- 응용은 테이프에 있는 파일을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테이프 구동기를 개방함
- 독점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여러 응용에서 인터리빙(interleaving)될 경우 스레딩 발생 가능
- 운영체제의 도움 없이, 응용이 블록의 배열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결정함
→ 테이프는 해당 응용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음
- 테이프 구동기의 기본 명령: read, write, locate(디스크의 seek 대신 사용)
- 테이프 구동기는 다양한 블록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각 블록의 크기는 블록이 저장될 때 결정됨
- read position 명령: 테이프 헤드가 위치한 논리적 블록 숫자를 반환
- space 명령: ex) space-2: 두 개의 논리적 블록 뒤에 위치시킴
- 테이프 구동기는 추가 전용 장치임: 기록된 블록 뒤에 테이프 끝(EOT; end-of-tape) 표시를 함
→ 테이프의 중간에서 블록을 변경시키면 그 블록 뒤의 모든 것을 지움
14.2.2 파일 네이밍(File Naming)
▶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운영체제는 제거 가능한 매체에 대한 이름 공간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남겨 놓고 있으며, 자료에 접근하고 해석하는 문제는 응용과 사용자에게 남겨 놓고 있음
ex) 표준화된 예: CD
14.2.3 계층적 저장장치 관리(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 주크박스(jukebox): 제3의 저장장치의 카트리지를 자동적으로 교체하는 장치
▶ 계층적 저장장치 시스템: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제3의 저장장치
→ 파일 시스템의 확장: 원하는 파일이 보조기억장치에 없으면 제3의 저장장치로부터 보조기억장치로 가져올 때까지 open() 시스템 호출이 자동적으로 연기됨
14.3 성능 문제(Performance Issue)
14.3.1 속도(Speed)
▶ 대역폭(bandwidth): 초당 전송되는 바이트 수
- 지속 대역폭(sustained bandwidth): 전송 시간 동안의 전송률 ← 통상적으로 이를 언급
- 유효 대역폭(effective bandwidth): 전체 I/O 시간 동안의 전송률
→ seek나 locate 명령 실행 시간, 쥬크박스의 카트리지 교환 시간 등을 포함
▶ 접근 지연(access latency): 테이프가 디스크에 비해 훨씬 느림
→ 주크박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느림
14.3.2 신뢰성(Reliability)
▶ 고정 디스크에 대한 상대적 비교
- 제거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먼지, 온도, 습기, 휨 등에 노출되어 신뢰도가 낮음
- 광 디스크: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층 사이에 보호되므로 신뢰도가 높음
- 자기 테이프: 헤드가 테이프와 접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헤드의 마모가 심해 신뢰도가 낮음
14.3.3 비용(Cost)
▶ 메가바이트당 비용의 추세
- DRAM 메모리: [그림 14.1]
- 자기 하드디스크: [그림 14.2]
- 테이프 구동기: [그림 14.3]
▶ 결론
- 주기억장치는 디스크 저장장치보다 훨씬 비쌈
- 하드디스크의 가격이 급속히 떨어져서 테이프 구동기와 경쟁이 가능함
- 가장 저렴한 테이프 구동기와 디스크 구동기는 해당 년도에 동일한 용량을 가짐
→ 테이프가 디스크의 백업용으로 사용되기 때문
-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는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비쌈
'시리즈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산 시스템 구조(Distributed System Structures) -네트워크 운영체제(Network Operating Systems) (0) | 2014.09.06 |
---|---|
5 부 분산 시스템(Distributed Systems) -15. 네트워크 구조(Network Structures) (0) | 2014.08.24 |
13.1 디스크 구조(Disk Structure) - 보조저장장치 구조(Secondary Storage Structures) (0) | 2014.08.15 |
12. 입출력 시스템(I/O Systems) (0) | 2014.08.12 |
11.1 파일 시스템 구조(File-System Structure) (0) | 2014.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