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소요법 >:: 저산소혈증(hypoxemia)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완화
< 산소요법 >
1. 목적
1) 저산소혈증(hypoxemia)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완화
2) 폐포내 산소분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호흡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3) 동맥혈 산소분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심근작업량(부담)을 줄이기 위함
* FiO2 : 흡입 산소의 농도를 실제적이면서도 간편하게 표시하는 기준
SpO2 : Hb이 산소와 결합한 비율
2. 적응증
(산소요구에 대한 처방은 ABGA 또는 저산소혈증의 징후를 감시하여 결정함)
1) 동맥혈 가스분석에서 산소분압이 낮을 때
2) 호흡운동량이 증가하였을 때
3) 심근의 부담이 증가됐을 때
(PaO2의 감소, 호흡곤란, 빠른 호흡, 심한 창백함, 청색증, 안절부절 못함, 지남력의 상실, 서맥을 동반한 저혈압, 대수술 후 흉부손상, 늑골골절, 복부팽만, 수술 후의 폐기종, 기흉, 폐수종, 기도폐쇄, 공기전색, 마취시의 호흡곤란, 수술 후의 호흡부전, Shock시, 유독가스 중독, 대사항진시(갑상선 기능 항진증, 체온상승), 울혈성 심부전, 급성 심근경색증, 심폐질환 등)
1) 감염
기구는 멸균 소독해야 함 무균술을 사용한다. (특히 양압 산소기구)
2) 연소(발화)
전기면도기 사용을 금하고, 정전기를 피한다
3) 호흡기 점막의 건조
호흡기 점막의 건조와 자극, 섬모운동의 손상, 분비물의 응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여시 항상 멸균 증류수를 통과시켜 습화한다.
4) 산소독성
증상 : 기도자극과 기침->흉골하 자극, 호흡곤란->폐활량 감소
폐의 병태 생리학적 변화는 24~48시간 후부터 나타나며, 흡입 산소가 60% 이하일 때는 발생하지 않는다.
: FIO2는 증가하는데 산소분압은 감소하고, 일회 호흡량 전달에 필요한 흡기시 기도 압력이 증가됨. 이는 폐의 신장성이 변화된 것. 고농도 산소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폐조직의 구조적 파괴 일어나 간질액 부종, 폐포 모세혈관막의 비후, 폐포내 출혈, 폐포부종, 무기폐, 폐의 섬유화가 발생하며 산소운반도 장애를 받음
치료 및 관리 :
a. 충분한 산화를 유지 : 용적 호흡기를 이용하여 호기말 압력법으로 호흡을 보조해줌으로써
b. 체액 및 전해질 상태를 평가, 동맥혈 가스분석, 산소농도 변화에 따른 흡기산소농도의 분석 및 기록을 통해 독성을 조기 발견.
5) 무기폐
질소가 산소와 대치되어 제거되고, 산소과다로 계면활성제의 생산이 방해받아 표면 장력의 힘이 증가되고 폐포가 허탈된다. 허탈된 폐포에는 혈액으로 차게 되므로 산소를 공급할 수 없으며, 가스교환되지 않은 2% 가량의 혈액은 산화된 혈액과 섞여 좌심방으로 들어와(폐내 측로) 저산소혈증(불안, 빈호흡, 발열, 얕은호흡, 빈맥)이 발생한다.
6) 수정체 후방 섬유증식증
미숙아는 산소농도를 잘 조절하지 못하여 혈중 산소분압이 145-155mmHg정도로 최소 4-5시간 지속되면 망막동맥이 손상을 입고 retrolental fibroplasia되어 빛을 통과시키지 못하게 된다.
성인도 각막과 렌즈에 산소독성으로 눈물, 부종, 시야손상이 초래된다.
7) 산소-유도 무호흡
건강한 사람에게 있어서 호흡은 혈중 CO2 농도의 증가에 자극을 받아 혈중 CO2 농도가 증가하면 뇌의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을 더 빠르고 깊게 하여 CO2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COPD환자의 경우 CO2 농도에 적응이 되어 있어 혈중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호흡을 유발하게 된다. (만성탄산가스정체환자의 호흡자극은 연수와 뇌교안에 있는 중추감수체에서 하지 않고 동맥궁과 목동맥에 있는 말초화학감수체에서 함) 그러므로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경우 호흡을 자극하는 작용이 줄어들게 되어 과소환기와 호흡부전을 유발시킬 수 있다.
노인의 경우 폐에서 배출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체내에 CO2가 쌓이게 된다. 이때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게 되면 체내 산소농도가 올라가고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다시 CO2 농도를 올려 CO2 중독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1, 고유량장치
: 장비내의 가스유량과 reservior 용량이 환자의 흡식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환자는 기계가 제공하는 가스만으로 호흡하게 된다. 일정한 FIO2유지, 흡기의 완전한 조절(습도, 온도) 및 산소분석기로 쉽게 FIO2를 분석할 수 있고 고농도에서 저농도까지의 산소공급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venturi 기구, T-piece 등)
2. 저유량장치
장치내 가스유량이 총흡식 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호흡용적의 일부가 대기로 보충되어야 하는 것으로 매우 광범위한 농도의 산소 즉 21~90%의 산소를 투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산소농도가 정확하지 못한 것이 단점이나 사용에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환자가 편안하게 느끼고 쉽게 구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강캐뉼라, 안면마스크, 저장백을 가진 안면마스크)
1) Nasal catheter
*장점 - 활동이 자유로우며 안전하게 산소 공급 가능
불안정한 환자에게 사용해도 좋다.
*단점 - 45% 이상의 산소농도를 공급할 수 없다.
6L/min 이상을 초과시 두통을 초래할 수 있다.
비강과 점막을 건조시킨다.
후두궤양을 초래할 수 있다.
(catheter를 삽입하는 비공을 8시간마다 바꾸어 예방)
카테터의 구멍이 분비물로 막힐 수 있다
쉽게 꼬이며 캐뉼라보다 불편하다
후두개 반사가 결여된 환자는 고유량 공급시 복부팽만이 올 수 있다(비위관 삽입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 비고 - 카테터는 8시간마다 교환하고 비공도 바꿔준다.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반창고로 인한 피부자극을 점검한다
단기요법시 사용한다
젤리로 코를 촉촉하게 한다
혼수상태나 상태가 나쁜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한다
2) Nasal cannula
*장점 : 안전하고 간편하며 활동이 자유롭고 값이 싸다.
낮은 산소농도를 요구하는 환자에게 유용하다. (COPD)
얼굴에 맞출 수 있다
*단점 : 환자의 의식이 명료하고 협조적이어야 한다.
비강 폐쇄 환자에게 사용할 수 없다. (점막부종, 폴립)
6L/min 이상을 초과시 두통이나 점막 건조를 초래 할 수 있다.
쉽게 cannula가 빠질 수 있다.
40% 이상의 산소농도는 공급할 수 없다.
* 비고 : 캐뉼라는 8시간마다 깨끗하게 닦는다
환자가 안절부절 못하면 반창고로 캐뉼라를 고정한다
코 아래와 귀 뒤의 눌리는 부위를 점검한다
필요시 가아제를 대 준다.
젤리로 입술과 코를 촉촉하게 하되, 캐뉼라가 막히지 않게 한다.
3) Facial of Mask
① simple of mask
*장점 : 고농도의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한다.
가습의 효과가 커서 코, 입의 점막을 건조시키지 않는다.
*단점 : 후끈거리고 가두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를 자극한다.
높은 농도의 산소가 필요할 때 꽉 조이게 되어 불편감을 유발한다.
식사와 대화에 방해를 받는다.
장기 요법시에는 비실용적이다.
COPD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CO2 retension)
40% 이하의 산소농도는 공급할 수 없다.
환자의 호흡조절에 따라 FiO2 가 변화한다.
* 비고 : COPD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마스크와 뼈가 돌출된 얼굴 사이에 패드를 댄다
손가락으로 얼굴을 마사지한다
2시간 마다 얼굴을 씻고 건조시킨다
5L/분으로 용량을 유지한다.
끈을 너무 조이지 않는다
마스크는 8시간 마다 닦아준다
② Partial rebreathing mask( low-flow system )
*장점 : reservoir bag은 산소농도가 높은 환자의 호기시 공기를 재호흡 하게
하여 FiO2 를 증가시킨다.
안전밸브는 산소가 떨어졌을 때 공기를 들여보낸다.
높은 산소농도(35-60%)를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산소를 쉽게 습하게 하며 점막을 건조시키지 않는다.
reservoir bag위에 고무테두리를 대 non-rebreathing mask로 전환가능
*단점 : 정확한 산소농도를 주기 위해 꽉 조이면 불편감을 준다.
식사나 대화에 지장을 준다.
후끈거리고 가두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를 자극한다.
bag이 돌아가거나 꼬일 수 있다.
장기 요법에는 비실용적이다.
* 비고 : 흡기 동안에는 백의 공기를 모두 빼지 않는다. : 필요시 유량을 증가시킴
백을 비틀지 않는다
실내공기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를 가지런히 놓는다.
처음에 백을 부풀리려면 환자가 호기시 마스크를 씌운다.
③ Non-rebreathing mask ( low-flow system )
*장점 : 가능한 높은 산소농도를 줄 수 있다.(60-90%)
Intubation과 mechanical ventilation하기 직전, 단기간 치료에 효과적.
점막을 건조시키지 않는다.
필요하다면 pratial rebreathing mask로 변경할 수 있다.
*단점 : 정확한 산소농도를 주기위해 꽉 조이면 불편감을 준다.
장기요법에는 비실용적이다.
④ Venturi-mask ( High-flow system )
*장점 : 일정한 FiO2를 공급한다.
환자의 호흡양상에 상관없이 정확한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점막이 건조하지 않다. 가습 또는 분무요법이 가능하다.
처방된 산소보다 더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단점 : 덥고 가두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에 자극을 준다.
mask가 맞지 않거나 tube가 꼬였거나 oxygen port가 막혔거나 원하는 liter flow보다 낮게 투여되면 FiO2 level은 변할 수 있다.
식사나 대화시 지장을 준다.
가습기를 사용하면 물기가 생긴다.
4) Oxygen hood ( Low or High flow system )
*장점 : 간편하다.
isolette 보다 더 정확한 산소농도를 제공한다.
ventury 장치에 연결될 때 고유량 장치로 기능한다.
높은 습도를 제공한다.
*단점 : 피부를 자극한다.
네뷸라이저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둘러싸고 꽉 찬 느낌이 있다.
활동적인 아이는 후두를 제거할 수 있다.
* 비고 : 접축부위에 수건이나 스폰지를 댄다.
머리 주위의 침상을 건조하게 유지한다.
가열된 네뷸라이저를 사용할 때는 후두의 온도를 4시간 마다 점검하여 34.4~35.6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5) croupette
*장점 : 대개 소아에게 사용된다.
높은 습도와 분무요법을 제공한다.
환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덥개는 일회용이다.
*단점 : 일단 텐트를 열고 나면 산소농도가 요구되는데 15~20분이 소요된다.
물이나 얼음을 채우는 곳은 6~8시간마다 채워야 한다.
높은 습도가 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환아를 격리시킨다.
* 비고 : 4시간마다 온도와 산소농도를 점검한다.
매트리스를 통해 산소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린넨 아래에 고무포를 깐다.
과도한 습기를 흡수하기 위해 시트위에 목욕용 담요를 깐다. : 린넨과 가운을 2시간 마다 갈아준다.
환아가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 텐트는 청각장애를 주지 않는다.
6) T-piece
T자 모양의 산소 투여 장치로 ventilator weaning할 때나 E-tube, 기관절개술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고 가습을 위해 사용한다.
7) Ventilator
환자의 환기 기능 저하로 환자의 호흡만으로 폐혈액가스 교환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할 때 기계 장치를 동원하여 인위적인 호흡을 시켜주는 것이다.
*적응증 :
ABGA상 PaCO2가 50mmHg이하이거나 50mmHg이상이어도 pH가 7.25 이하인 acidosis 고정
Vital capacity(폐활량)가 Tidal volume의 2배 이하일 때
호흡수가 35회 이상이거나 respiration shallow or hold
폐수종, 심부전, 폐기종, 경추손상, 마취시, 천식, 후두부종, coma등
*가습(Humidification)
호흡기 점막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흡입가스의 가습 및 가온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절은 정상적으로 상부기도에서 이루어지며 수분함량이 너무 적은 흡입가스가 상부기도를 거치지 않고 환자에게 가면 하부기도에서 습기를 공급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점막 분비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점막 섬모 작용에 장애가 발생한다. 흡식 상기도를 지나면서 100% 가습 및 가온(37')된다.
*가습이 안돼 발생되는 합병증 : 기도 점막의섬모 운동 저하, 정맥의 이동 장애, 점막 상피의 염증 및 괴사, 분비물의 점도 증가 및 축적, 점막에 세균 침착, 무기폐, 폐렴 등..
1. 목적
1) 저산소혈증(hypoxemia)을 치료하기 위함이다.
2) 호흡노력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3) 심장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이다.
FiO2 : 흡입산소의농도를 실제적이면서도 간편하게 표시하는 기준
SpO2 : Hb이 산소와 결합한 비율
2. 적응증
1) PaO2의 감소, 호흡곤란, 빠른호흡, 심한 창백함, 청색증
2) 안절부절 못함, 지남력의 상실, 서맥을 동반한 저혈압
3) 울혈성 심부전, 급성 심근경색증, 심폐질환
4) Shock, 대수술 후 흉부손상, 늑골골절
5) 유독가스 중독, 대사항진시(갑상선 기능 항진증, 체온상승)
6) 마취시의 호흡곤란, 수술후의 호흡부전
7) 복부팽만, 수술후의 폐기종, 기흉, 공기전색
3. 주의해야 할 환자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경우 미숙아, COPD환자, 노인의 경우 주의요함
1) 미숙아
산소농도를 잘 조절하지 못하여 PaO2가 쉽게 100mmHg 이상으로 올라가며 이것은 망막동맥에 손상을 가져오고 retrolental fibroplasia의 원인이 된다. PaO2가 145-155mmHg정도로 최소 4-5시간 지속되면 망막동맥이 손상을 입고 실명을 초래하게 된다.
2) COPD환자
건강한 사람에게 있어서 호흡은 혈중 CO2 농도의 증가에 자극을 받아 이루어지는데 혈중 CO2 농도가 증가하면 뇌의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을 더 빠르고 깊게 하여 CO2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COPD환자의 경우 CO2 농도에 적응이 되어 있어 혈중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호흡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경우 호흡을 자극하는 작용이 줄어들게 된다.(고농도 산소투여시 CO2 증가)
3) 노인
폐에서를 배출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체내에 CO2가 쌓이게 된다. 이때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게 되면 체내 산소농도가 올라가고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다시 CO2 농도를 올려 CO2 중독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4. 종류
1) Nasal catheter
*장점 - 활동이 자유로우며 안전하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불안정한 환자에게 사용해도 좋다.
*단점 - 45% 이상의 산소농도를 공급할 수 없다.
6L/min 이상을 초과하면 두통을 초래할 수 있다.
비강과 점막을 건조시킨다.
후두궤양을 초래할 수 있다.(catheter를 삽입하는 비공을 8시간마다 바꾸어 예방)
위장 팽만이 발생할 수 있다.(비위관 삽입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수행
① catheter 길이를 측정한다 --> 환자의 코끝에서 외이 길이까지 결정된다.
② catheter끝을 회전시켜 코를 통해 구강인두로 삽입한다.
③ 환자의 혀를 설압자로 누르고 손전등으로 비추어 카테터 끝이 목젖(uvulla) 위에서 보여야 한다.(Gag reflex를 자극하거나 식도로 들어가지 않도록함)
④ 환자의 뺨에 테이프로 catheter를 고정한다. 혹은 catheter가 빠지지 않도록 환자의 옷이나 베개에 tape또는 핀으로 고정한다.
⑤ 구강간호를 한다.
⑥ catheter는 8시간마다 교환한다. --> 교환시 반대편 비강에 하는 것이 좋다.
* 습윤병
① 벽에 설치된 습윤병에 증류수를 water level까지 채운다.
② 부족한 증류수를 채울때는 산소의 흡입을 중단하고 남은 증류수는 버리고 새로이 채운다.
③ 습윤병에 물방울이 생기면 catheter 끝을 손바닥에 대어보면 산소가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④ 산소량은 정확히 ball의 중앙에 맞춘다.
⑤ 가습하지 않으면 산소가 조직을 건조시키므로 반드시 증류수를 습윤병에 채운다.
*어린이 : 8-10Fr
* 성인여자 : 10-12Fr
*성인남자 : 12-14Fr
2) Nasal cannula
*장점 : 안전하고 간편하다.
낮은 산소농도를 요구하는 환자에게 유용하다. (COPD)
*단점 : 환자의 의식이 명료하고 협조적이어야 한다.
비강 폐쇄환자에게 사용할 수 없다. (점막주종, 폴립)
6/lmin 이상을 초과시 두통이나 점막 건조를 초래 할 수 있다.
쉽게 cannula가 빠질 수 있다.
40% 이상의산소농도는 공급할 수 없다.
*수행
① cannula를 환자의 코에 넣은 후 양쪽귀에 tube를 건다. --> 귀에 닿는 부분에 pad를 대어 sore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② cannula가 잘 고정되도록 platic slide를 조인다. --> tube가 너무 느슨하면 cannula가 빠질 수 있고 너무 조이면 코 주위의 피부에 자극을 준다.
③ 입으로 호흡하면 효과가 없으므로 코로 호흡하도록 한다.
④ cannula는 매일 교환하며 비강간호를 제공한다.
⑤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⑥ 6l 이상이 되면 산소농도가 증가되어지지 않는다.
3) Facial of Mask
simple of mask
*장점 : 고농도의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한다.
가습의 효과가 커서 코, 입의 점막을 건조시키지 않는다.
*단점 : 후끈거리고 가두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를 자극한다.
높은 농도의 산소가 필요할 때 꽉 조이게 되어 불편감을 유발한다.
식사와 대화에 방해를 받는다.
장기 요법시에는 비실용적이다.
COPD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CO2 retension)
40% 이하의 산소농도는 공급할 수 없다.
환자의 호흡조절에 따라 FiO2 가 변화한다.
*수행
① 보호자와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한다.
② 마스크를 환자의 코와 입에 대고 잘 맞도록 끈을 조절한다.
③ 산소흐름이 잘 되는지 본다.
④ 산소 사용에 대한 위험에 대해 주지시킨다.
⑤ 마스크는 매일 교환한다.
⑥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Partial rebreathing mask( low-flow system )
*장점 : reservoir bag언 산소농도가 높은 환자의 호기시 공기를 재 호흡하게 하여 FiO2 를 증가시킨다.
안전밸브는 산소가 떨어졌을 때 공기를 들여보낸다.
높은 산소농도(35-60%)를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산소를 쉽게 습하게 하며 점막을 건조시키지 않는다.
reservoir bag위에 고무테두리를 삽입하면 non-rebreathing mask로 전환할 수 있다.
*단점 : 정확한 산소농도를 주기 위해 꽉 조이면 불편감을 준다.
식사나 대화에 지장을 준다.
후끈거리고 가두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를 자극한다.
bag이 돌아가거나 꼬일 수 있다.
장기 요법에는 비실용적이다.
*수행
① mask를 사용하기 전에 백에 산소가 먼저 차도록 한 후 대어준다.(호기시에 마스크를 대어준다)
② 수행 후 흡기 동안에는 절대로 bag의 공기를 모두 빼지 않고 필요시에 유량을 증가시킨다.
③ bag을 비틀지 않는다.
④ 실내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 mask를 꼭 맞게 씌운다.
Non-rebreathing mask ( Low-flow system )
*장점 : 가능한 높은 산소농도를 줄 수 있다.(60-90%)
Intubation과 mechanical ventilation하기 직전, 단기간 치료에 효과적이다.
점막을 건조시키지 않는다.
필요하다면 pratial rebreathing mask로 변경할 수 있다.
*단점 : 정확한 산소농도를 주기위해 꽉 조이면 불편감을 준다.
장기요법에는 비실용적이다.
*수행
① 고무테두리(rubber flap) 위치를 제대로 맞춘다.
② mask를 환자에게 씌우기 전에 reservoir bag에 산소가 차도록 한다.
③ Reservoir bag이 움직이지 않거나 산소가 새는 느낌이 없는지 확인한다.
④ 피부상태를 자주 관찰하고 얼굴 마사지를 자주 해준다.
Venturi-mask ( High-flow system )
*장점 : 일정한 FiO2를 공급한다.
환자의 호흡양상에 상관없이 정확한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점막이 건조하지 않다.
가습 또는 분무요법이 가능하다.
처방된 산소보다 더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단점 : 덥고 가두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에 자극을 준다.
mask가 맞지 않거나 tube가 꼬였거나 oxygen port가 막혔거나 원하는 liter flow보다 낮게 투여가 되면 FiO2 level은 변할 수 있다.
식사나 대화시 지장을 준다.
가습기를 사용하면 불기가 생긴다.
*수행
① 산소농도에 맞는 적절한 adapter를 준비한다.
② flow meter에 O2 line과 adapter, venturi-mask를 연결한다.
③ venturi mask 옆에 뚫린 구명으로 공기가 새어 나오는 것을 확인한다.
④ 환자의 코와 입 위로 mask를 씌우고 잘 고정시킨다.
4) Oxygen hood ( Low or High flow system )
*장점 : 간편하다.
ventury 장치에 연결될 때 고유량 장치로 기능한다.
높은 습도를 제공한다.
*단점 : 피부를 자극한다.
둘러싸고 꽉 찬 느낌이 있다.
활동적인 아이는 후두를 제거할 수 있다.
*수행
① 접촉 부위에 수건이나 스폰지를 댄다.
② 머리 주위의 침상을 건조하게 유지한다.
③ 2시간마다 tube안의 물기를 제거한다.
5) T-piece
T자 모양의 산소 투여 장치로 ventilator weaning할 때나 E-tube, T-stomy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고 가습을 위해 사용한다.
6) Ventilator
환자의 환기 기능 저하로 환자의 호흡만으로 폐혈액가스 교환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할 때 기계 장치를 동원하여 인위적인 호흡을 시켜주는 것이다.
*적응증 : ABGA상 PaCO2가 50mmHg이하이거나 50mmHg이상이어도 pH가 7.25 이하인 acidosis 고정
Vital capacity(폐활량)가 Tidal volume의 2배 이하일 때
호흡수가 35회 이상이거나 respiration shallow or hold
폐수종, 심부전, 폐기종, 경추손상, 마취시, 천식, 후두부종, coma등
*가습(Humidification)
호흡기 점막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흡입가스의 가습 및 가온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절은 정상적으로 상부기도에서 이루어지며 수분함량이 너무 적은 흡입가스가 상부기도를 거치지 않고 환자에게 가면 하부기도에서 습기를 공급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점막 분비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점막 섬모 작용에 장애가 발생한다. 흡식 상기도를 지나면서 100% 가습 및 가온(37')된다.
*가습이 안돼 발생되는 합병증 : 기도 점막의섬모 운동 저하, 정맥의 이동 장애, 점막 상피의 염증 및 괴사, 분비물의 점도 증가 및 축적, 점막에 세균 침착, 무기폐, 폐렴 등..
산소투여 방법 및 산소농도
method | 100% O2 flow rate | FiO2 |
Nasal cannula | 1 2 3 4 5 6 | 0.24 0.28 0.32 0.36 0.40 0.44 |
Oxygen mask | 5-6 6-7 7-8 | 0.40 0.50 0.60 |
Reservior bag | 6 7 8 9 10 | 0.60 0.70 0.80 0.80+ 0.80+ |
Venturi-mask | 4 4-6 6-8 8-10 10-12 12 | 0.24 0.28 0.31 0.35 0.40 0.50 |
Ventilator | 0.21 - 1.0 |
예상 PaO2 (mmHg) = FiO2 (%) * 5
예문) FiO2를 0.3으로 하여 산소를 투여할 때 예상되는 PaO2는?
예상 PaO2 = 30 * 5 = 150mmHg
만일 이 환자에서 실제로 측정한 PaO2가 150mmHg이하일 경우에 산소를 투여하지 않고 대기중에 그대로 방치해두면 저산소혈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여야 한다.
PaO2 간편하게 추정하는 방법
정상성인은 80-100mmHg 정도이나 폐실질의 노화현상으로 폐조직의 탄력성이 감퇴하여 폐쇄량(closing volume, CV)이 증가하며 또한 연령의 증가에 의해서 기능적 잔기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FRC)이 변화하지는 않아도 FRC-CV의 차이가 적어져 결국에는 폐에서 동맥혈액으로 확산하는 산소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PaO2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PaO2(mmHg) = 105.6 - 0.55 * 나이
예문) 대기중에서 80세 노인의 PaO2는 대략 어느정도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는가?
예상 PaO2(mmHg) = 105 - 나이/2 = 105 - 80/2 = 65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uberculosis,TB결핵結核::미국인 과학자 셀맨 왁스만이 개발한 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 (0) | 2013.08.02 |
---|---|
금융자산의 의의와 분류 (0) | 2013.07.26 |
Phonetic Code포네틱코드 & 도시,항공사, 공항 코드 & 항공 용어정리 (2) | 2013.07.19 |
Inshoring to Germany::도이치뱅크연구소 (0) | 2013.07.18 |
화폐의 역사 (4):::지폐의 탄생,미국 화폐의 역사,신용카드의 탄생 과정 (0) | 201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