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netic Code포네틱코드 & 도시,항공사, 공항 코드 & 항공 용어정리
포네틱코드라 함은 서로간의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알파벳을 단어화하여 부르는 것을 말하며 보통 비행기 조종사나, 군대, 무선통신 등등에서 사용한다.
A-ALPHA(알파) B-BRAVO(브라보) C-CHARLIE(찰리)
D-DELTA(델타) E-ECHO(에코) F-FATHER(파더)
G-GOLF(골프) H-HOTEL(호텔) I-INDIA(인디아)
J-JULIET(줄리엣) K-KILO(킬로) L-LIMA(리마)
M-MIKE(마이크) N-NOVEMBER(노우벰버) O-OSCAR(오스카)
P-PAPA(파파) Q-QUEEN(퀸) R-ROMEO(로미오)
S-SMILE(스마일) T-TANGO(탱고) U-UNIFORM(유니폼)
V-VICTORY(빅토리) W-WHISKY(위스키) X-X-RAY(엑스레이)
Y-YANKEE(양키) Z-ZULU(쥬루)
KE KAL 180 KOREAN AIR LINES CO. LTD. 대한항공
OZ AAR 988 ASIANA AIRLINES INC. 아시아나항공
AC ACA 014 AIR CANADA 에어캐나다
AF AFR 057 AIR FRANCE 에어 프랑스
AI AIC 098 AIR-INDIA LIMITED 인도항공
AZ AZA 055 ALITALIA-LINEE AEREE ITALIANE 이탈리아항공
CA CCA 999 AIR CHINA INTERNATIONAL CORPORATION 중국국제항공
CJ CBF 782 CHINA NORTHERN AIRLINES 중국북방항공
CX CPA 160 CATHAY PACIFIC AIRWAYS 케세이페시픽
CZ CSN 784 CHINA SOUTHERN AIRLINES 중국남방항공
GA GIA 126 GARUDA INDONESIA 가루다인도네시아
HU CHH 880 HAINAN AIRLINES COMPANY LTD 중국해남항공
HY UZB 250 UZBEKISTAN AIRWAYS 우주베키스탄항공
HZ SHU 598 SAKHALINSKIE AVIATRASSY SAT 사할린항공
H8 KHB 560 DALAVIA-FAR EAST AIRWAYS KHABAROVSK 하바로브스크항공
JD JAS 234 JAPAN AIR SYSTEM COMPANY 재펜에어시스템
JL JAL 131 JAPAN AIRLINES COMPANY LTD. 일본항공
K2 ELO EUROLOT S.A. 키르키스탄항공
KL KLM 074 KLM ROYAL DUTCH AIRLINES 케이엘엠네델란드항공
LH DLH 220 DEUTSCHE LUFTHANSA AG 루프트한자독일항공
MH MAS 232 MALAYSIA AIRLINE SYSTEM BERHAD 말레이지아항공
MU CES 781 CHINA EASTERN AIRLINES 중국동방항공
NH ANA 205 ALL NIPPON AIRWAYS CO. LTD 전일본공수
NW NWA 012 NORTHWEST AIRLINES INC 노스웨스트항공
OM MGL 289 MIAT - MONGOLIAN AIRLINES 몽골리안항공
PR PAL 079 PHILIPPINE AIRLINES INC 필리핀항공
QF QFA 081 QANTAS AIRWAYS LTD 콴타스호주항공
SQ SIA 618 SINGAPORE AIRLINES 싱가폴항공
SU AFL 555 AEROFLOT RUSSIAN AIRLINES 에어로플로트러시아항공
SZ CXN 785 CHINA SOUTHWEST AIRLINES 중국서남항공
S7 SBI 421 SIBERIA AIRLINES 시베리아항공
TG THA 217 THAI AIRWAYS INTERNATIONAL LTD. 타이항공
TK THY 235 TURKISH AIRLINES INC. 터키항공
UA UAL 016 UNITED AIRLINES INC. 유나이티드항공
VN HVN 738 VIETNAM AIRLINES CORP 베트남항공
WH CNW 783 CHINA NORTHWEST AIRLINES 중국서북항공
XF VLK 277 VLADIVOSTOK AIR 블라디보스톡항공
3Q CYH 592 CHINA YUNNAN AIRLINES 중국운남항공
7B KJC 499 KRASNOYARSK AIRLINES 크라스노야르스크항공
9Y KZK 452 AIR KAZAKSTAN 에어카자흐스탄
FV PLK 195 PULKOVO AVIATION ENTERPRISE 풀코보항공
5J CEB 203 CEBU PACIFIC AIR 세부퍼시픽
OX 578 ORIENT THAI AIRLINES 오리엔트타이항공
국내
SEL(서울)(GMP(김포) ICN(인천)),
CJU(제주), PUS(부산), MPK(목포), TAE(대구), YNY(양양,강릉)
유럽
AMS(네델란드 암스텔담), ATH(그리스 아테네), CAI(이집트 카이로),
PAR(프랑스 파리)(CDG(샤를르 드 드골 공항) ORY(오를리 공항)),
LON(영국 런던)(LHR(히드로우 공항) LGW(게트윅 공항)),
ROM(이탈리아 로마)(FCO(레오나르도 다빈치)), MOW((러시아 모스크바)(SVO(모스크바)),
FRA(독일 프랑크프르트), LED(러시아 페테르브르그), ZRH(스위스 쮜리히)
남태평양
AKL(뉴질랜드 오클랜드), CHC(뉴질랜드 크라이스트쳐치),
BNE(호주 브리스베인), CNS(호주 케언즈), SYD(호주 시드니), MEL(호주 멜버른),
GUM(괌), SPN(북마리아나제도 사이판)
동남아
BKK(태국 방콕), CEB(필리핀 세부), DEL(인도 델리), DPS(인도네시아 덴파사 발리),
HKG(중국 홍콩), HKT(태국 푸켓), SIN(싱가폴), JKT(인도네시아 자카르타),
KUL(말레이지아 쿠알라룸프르), LGK(말레이지아 랑카위), MNL(필리핀 마닐라),
TPE(대만), SGN(베트남 호치민시티), HAN(베트남 하노이)
미주
ANC(앵커리지), ATL(애틀란타), BOS(보스톤), BWI(볼티모어)), DEN(덴버),
CHI(시카고)(ORD(오하라국제공항)), WAS(워싱턴DC)(DCA(로날드레이건) IAD(덜루스)),
NYC(뉴욕)(EWR(뉴왁) JFK(존F케네디) LGA(라과디아)), HNL(호놀룰루), HOU(휴스턴),
LAX(로스엔젤리스), LAS(라스베가스), MIA(마이애미), ORL(올랜도), PDX(포틀랜드),
PHL(필라델피아), SEA(씨에틀), SFO(샌프란시스코),
YMQ(캐나다 몬트리올), YTO(토론토)(YYZ(토론토)), YVR(밴쿠버), YYC(캘거리),
(캐나다의 시작도시는 모두 Y로 시작한다.)
BUE(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SAO(브라질 상파울로), LIM(페루 리마), MEX(멕시코 멕시코시티),
중국 및 일본
BJS(북경)(PEK(북경)), CGQ(장춘), DLC(대련), HRB(하얼빈), SHE(심양), SIA(시안), SYK(하이난), YNJ(연길), CKG(중경), CTU(성도)
CAN(광조우,광주), KMG(쿤밍,곤명), KWL(구이린,계림), SHA(상하이,상해), YNT(엔타이,연대), NKG(난징,남경), TAO(칭따오,청도), TSN(텐진,천진)
TYO(동경)(NRT(나리타) HNC(하네다)), OSA(오사카)(KIX(간사이) ITM(이따미)), AOJ(아오모리), SPK(삿포로)(CTS(치토세공항)), FKS(후쿠시마), FUK(후꾸오카), HIJ(히로시마), KIJ(니가카), KMI(미야자키), NGO(나고야), NGS(나가사키), SDJ(센다이)
A
AD : Agent Discount 항공이나 여행 산업에 특별히 관련된 회사나, 협회 등에 제공되는 특별할인 티켓 (AD) (비교 : ID, SD...)
Add-On(Fare) : “덧붙인다”는 뜻으로 항공요금 계산 시 주 운임에 부가적으로 붙게 되는 요금으로서 보통 국제구간 외 국내운송수단의 운임을 말한다. (부가운임)
Address : 승객의 모든 예약기록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 (또는 PNR 이라고도 함) (예약기록)
Adult Fare : 항공운송요금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12세 이상의 성인요금(Adult Fare), 2세 이상 12세 미만까지의 아동요금(Child Fare), 2세 미만의 유아요금(Infant Fare)
Aircraft type : 항공기 제작회사에 따라 항공기에 특징 지어진 항공기 종류 (기종)
Airport Tax : 보통 출국 승객에게 공항시설 이용 명목으로 정부에서 주관하는 세금 (공항세)
Aisle Side : 통로석 (비교 : Windows Side, 창가쪽)
Arrival : Arrival Flight 예약 업무 시 승객의 일정 지점까지의 이용 항공편을 체크할 때 쓰는 용어 (도착항공편)
ATC(Air Traffic Control, A.T.C.) :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서 지상에서 항공기의 운항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항공교통관제)
ATC(Air Transport Committee) : 항공운송위원회
B
Baggage Tag : 수하물에 부착되는 꼬리표로서 승객의 목적지, 항공편, Baggage Claim 의 번호 등이 적혀 있다. (짐표)
Blocked Seats : 특정 이유로 인하여 판매를 보류, 제한 시켜 놓은 좌석. (주로 항공사에서 여행사에 주기 위해서 할당해 놓은 좌석)
Boarding Gate : (탑승구)
Boarding pass : 승객의 탑승을 허용하는 카드로서 탑승구, 탑승시간, 좌석번호 등이 명시되어 있다. (탑승권)
Boarding time : 승무원과 기내상태가 승객을 탑승 시킬 준비가 완료되고 예정된 시간에 항공기가 이륙할 수 있도록 승객이 탑승을 시작해야 하는 시간 (탑승시간)
BSP : bank settlement plan 여행사와 항공사간에 직접 송금방식을 피하고 중간에 은행을 통한 표준관리 제도로서 양측의 업무 간소화와 인력운용의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는 제도
C
Charter Flight : 상업적인 목적으로 정규편 외에 특별히 증편하여 운항하는 일시적인 항공편 (전세기) (비교 : Joint Venture)
Check-in : (탑승수속)
Configuration : 항공기 내부의 좌석 등급별 좌석 수 및 배치 방법(좌석 배열)
Confirmed Booking : 좌석 예약이 확정된 예약상태
Critical Flight : 일부의 승객이 탑승거부를 당할 여지가 있을 만큼 초과예약이 심한 상태의 항공편
D
Delay : (연발, 연착)
Denied boarding : 예약이 확정된 티켓 소지자가 예약 포화 상태 등의 이유로 탑승이 거부되는 상태. (탑승거부)
Departure Lounge : 승객이 탑승 전에 대기하는 장소.(출국장)
Direct Flight : 중간 기착지는 있으나 항공기가 교체되지 않고 목적지까지 같은 항공기로 운항되는 항공편으로 중간기착지의 횟수는 제한이 없다. (비교 : non-stop flight)
Document check : 탑승수속 시 항공사 측에서 승객의 여권, 비자 등 필요한 서류를 확인하는 일
Dupe : Duplication 주로 예약상황에서 동일인의 중복되어 예약되어 있는 경우를 말함 (중복예약)
E
Endorsement : 한 항공사로 여행하도록 발권된 항공권이 또 다른 항공사로 여행할 수 있도록 양도를 허용하는 행위.(양도 허용)
Entry visa : 정부 공인 입국 사증 (입국 사증)
ETA : Estimated time of flightꡑs arrival (항공기 도착 예정시간)
ETD : Estimated time of flightꡑs Departure (항공기 출발 예정시간)
Excess baggage : Excess baggage waiver 항공권에 표기된 허용 수하물 중량 외에 초과된 수하물에 대해 추가비용 없이 탑승수속을 인정하는 것
F
Final Destination : (최종 목적지) (비교 : Port of Origin)
First class lounge : 일등석이나 비즈니스석 승객들의 탑승전 휴식을 위해 제공되는 항공사 귀빈실 (귀빈실)
FIT : Free Independence Traveler : 개인 혹은 그룹 적용 인원에 미달되는 여행객의 총칭 (비교 : GIT)
Flight Coupon : 항공권의 개별 낱장을 일컫는 말, 한 구간의 여행에 한장씩 사용.
Flight Number : 각 항공사에서 여정에 따라 부여된 고유한 항공편명 (항공편명)
Form of payment : 항공권이나 항공사의 상품에 대한 지불 방법, 현금, 신용카드 등(지불방법)
G
GIT : group inclusive tour 단체여행 승객
Go-show : 사전에 예약을 하지 않거나 대기자 명단에 있는 승객이 항공기 탑승을 위해 공항에 나타난 승객 (비교 : No-Show)
GSA : General sales agent 항공사 대신 권한을 위임 받아 그 항공사의 판매를 대행하여 주는 총대리점(총대리점)
I
IATA :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국제항공운송협회
ID : Industry Discount 항공산업에 종사하는 직원이 항공권을 구입할 때 적용되는 특별할인.
Interline passenger : 현시점에서 승객의 여정이 다른 항공사로부터의 여정으로 연결되어 진행되고 있는 승객
(예 : 홍길동씨는 인터라인 패신저로서 SQ를 이용하여 밴쿠버를 출발 현재 CX411편으로 홍콩까지 예약되어 있는 승객이다.)
Involuntary stopover : 승객의 의사와 상관없이 항공기의 연결 때문에 발생하는 여행의 중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항공사에 의해 사전에 승객이 인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Itinerary : (일정표, 여정)
J
Joint venture : 어떤 특별한 노선에 대하여 두개의 항공사가 공동개발 판매하는 것으로 주로 한 항공사의 장비, 지원 등을 쓰면서 서로의 계약에 의해 이윤과 비용 등을 분배하는 제도이다.
L
Late cancel : 항공기 출발 전에 판매를 위해 적절하게 사용 가능한 최소한의 시간 이후에 이루어진 예약의 취소
Local passenger : 1) 내국인 승객 2) 예약업무상 현 지점에서 직접 연락, 연결이 가능한 승객, 3) 판매업무상 현 지점에서 항공권을 구입하여야 하는 승객
Lost and found : 수하물의 분실물 처리와 찾은 짐을 승객에게 연결시켜 주는 일.
M
MAAS : meet and assist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지상 직원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요구하는 예약상의 코드
MCO : miscellaneous charges order 항공권, 초과화물비용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항공여행 관련 경비를 대신할 수 있도록 발행되는 유가 서류
Minimum stay waiver : 최소 체류기간의 제약이 있는 요금형태에서 그 제약을 지키지 않아도 요금형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허용해 주는 것
N
Name option : 특히 그룹예약의 경우 승객의 명단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좌석확보를 위하여 명단 없이 예약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예약의 신빙성과 좌석이용률을 위하여 일정 기일을 두고 확정명단을 통보 받기 위해 시행하는 제약 조건
Non-stop flight : 중간 기착지 없이 출발지에서 목적지 까지 운항하는 항공편
Nosub : 좌석상태와 상관없이 예약이 가능한 Id/Ad/Contra 항공권 (비교 : Sublo)
No-show : 연결여행의 비고의성 실패(Misconnection)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 사전에 예약이 확정된 승객이 예약 취소 없이 공항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
NRC : No record 예약된 항공권을 승객이 제시하였으나 탑승지에서 예약에 관한 어떤 기록도 없는 상태
O
Off-line : 해당 항공사가 직접 취항하지 않는 곳에서 예약, 판매 등의 서비스를 하는 것.
OK status : 보통 항공사에서 승객에게 확정된 예약을 알릴 때 쓰는 표현.
On-line : Off line 의 반대
On-time departure : 예정된 시각에 정시 출발하는 것 (보통 15분 정도의 오차는 정시 출발로 인정함)
Overbooking : 판매 가능한 좌석수 보다 많은 수가 예약되어 있는 상태.
P
PAX : passenger 의 약자
Piece system : 승객의 탑승수속 시 수하물의 계산을 짐의 개수로 기준 하는 제도로서 주로 태평양 횡단 노선에서 적용 (비교 : Weight system)
PNR : passenger name record CRT 를 통해 예약된 모든 예약기록으로 승객의 이름, 여정, 연락처 등이 기록된다.
PNR Number : 각각의 예약기록에 붙여지는 고유 기호 (address 와 같은 의미)
Port of origin : 승객의 여정이 시작되는 지점
Pre-boarding announcement : 일반적인 탑승이 시작되기 전에 특별히 주의가 요망되는 승객, 예를 들어 노인, 장애인, 어린이 등에게 먼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사전 안내
Pre-flight check : 예약의 중복이나 기타 모든 기록상의 잘못된 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항공기 출발 일정시간 전에 시스템 체크를 실시하는 내부의 업무과정.
Priority : 1) 예약 대기자의 우선순위 2) 티켓상에 기록되는 standby 순위
R
Request : 흔히 예약의 현 상태를 설명할 때 대기상태 혹은 좌석 요청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
S
Stand-by : 1) 예약 후 예약확인 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 2) 예약확인 되지 않은 항공권으로 탑승수속을 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상태
Security check : 항공기 탑승 전 승객의 소지품, 수하물 등에 대한 안전검사
Stopover : 중간기착지의 의미로서 보통 24시간 이상 체류할 경우를 말함.
Sublo : Subject to load 좌석예약 상태 및 승객 수에 따라 탑승여부가 결정되는 승객
T
TCP : total complete party 예약에 있어서 단체 또는 일행의 총인원(총인원)
Ticket holder : 이미 항공권을 소지한 자 (항공권 소지자)
Ticket issue : 항공권을 발권하는 일 (발권)
Ticket Time limit : 확인된 예약에 대하여 좌석 이용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일정기간 내에 발권을 하도록 제한하는 조치.
Ticket Validity : 항공권 유효기간
Transit : 1) 항공기를 갈아타는 일에 파생되는 포괄적인 용어 2) 공항 밖으로 나가지 않고 면세구역 내에서 항공기를 갈아타기 위해 대기하는 통과여객
Transfer passenger : 다른 항공기로 갈아타야 하는 승객
U
UC : Unable to Confirm 예약 대기 상태에서 도저히 Confirm 할 수 없는 상태.
UM : Unaccompanied minor 6-12세의 어린이 승객으로 보호자나 동반자가 없을 때
W
Waiting close : 예약업무에 있어서 대기자 예약도 받을 수 없을 만큼 좌석 상태가 심각 하에 포화 되어 있을 때 더 이상의 예약을 받을 수 없음을 나타내는 말.
Weight system : 승객의 수하물을 무게로 계산하는 제도.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자산의 의의와 분류 (0) | 2013.07.26 |
---|---|
< 산소요법 >:: 저산소혈증(hypoxemia)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완화 (0) | 2013.07.23 |
Inshoring to Germany::도이치뱅크연구소 (0) | 2013.07.18 |
화폐의 역사 (4):::지폐의 탄생,미국 화폐의 역사,신용카드의 탄생 과정 (0) | 2013.07.11 |
화폐의 역사 (3) -중세 유럽의 화폐 제도- (0) | 201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