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 광합성: 식물의 엽록체에서 빛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와 물을 원료로 포도당과 산소를 만드는 과정
(2)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
1. 엽록체: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로 엽록소가 많아서 녹색을 띔
2. 엽록소: 엽록체 안에 있는 녹색의 색소로 빛에너지를 흡수
(3) 광합성 장소 확인: 검정말을 에탄올에 넣어 가열하여 잎을 탈색시킨 후 탈색된 검정말 잎에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을 떨어뜨리면 엽록체가 청람색으로 변함-녹말 확인
(4) 엽록체 분포: 식물의 잎에 많이 있고, 식물의 어린 줄기나 뿌리의 표면에 엽록체가 형성되기도 함
• 빛의 세기: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지만, 어느 한계 일어나지만, 어느 한계 이상의 빛의 세기(광포화점)가 되면 광합성량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안고 일정해진다.
• 온도: 온도가 높을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지만 최적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광합성량이 급격히 떨어진다.
• 이산화 탄소의 농도: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광합성량은 증가하지만, 일정한 농도 이상에서는 더 이상 광합성량이 증가하지 않는다.
3. 광합성 원료
• 광합성 원료
• 이산화 탄소 : 잎의 기공을 통해 공기나 물속에서 공급된다.
• 물: 뿌리를 통해 흙에서 흡수되어 물관을 통해 운반된다.
(2) 광합성 산물
• 포도당: 이산화 탄소와 물보다 에너지를 더 많이 가지고 있어서 광합성 과정에서 에너지를 흡수해서 생성된다.
• 산소: 식물 자신과 다른 생물의 호흡에 이용된다.
산소 확인 방법: 광합성 결과 생성된 기체를 모은 시험관에 향의 불씨를 넣으면 향이 확 타오른다. 이것으로 기체가 산소임을 알 수 있다.
1. 광합성 양분의 이동과 저장
• 광합성 양분의 형태: 광합성 결과 생성된 포도당은 일시적으로 녹말로 전환되어 잎에 저장된 후 저녁에 녹말이 설탕으로 바뀌어 체관을 통해 운반된다
• 양분의 이용: 생장, 호흡, 저장
• 광합성의 의의: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양분은 사람이나 다른 동식물의 먹이로 사용되어 생태계가 구성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물질대사이다.
• 엽록체 분포: 식물의 잎에 많이 있으며, 식물의 어린 줄기나 뿌리나 뿌리의 표면에 형성되기도 한다.
2. 식물의 호흡
• 호흡: 생물이 산소를 이용해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산소가 소비되고 이산화 탄소가 발생된다.
• 식물의 기체 교환
• 낮: 광합성량이 호흡량보다 크기 때문에 이산화 탄소를 공기 중에서 받아들이고, 산소를 내보낸다.
• 밤: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고 호흡만 일어나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 탄소를 내보낸다.
• 아침, 저녁: 광합성량과 호흡량이 같은 시기가 있으며, 이 시기에는 외관상 기체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3. 광합성과 호흡
• 광합성과 호흡의 의미: 지구의 에너지원인 빛에너지를 생물체가 이용할 수 있는 생활 에너지(화학 에너지)로 바꾸기 위한 과정이다.
• 광합성과 호흡 비교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시 유급 병가법 (0) | 2016.10.11 |
---|---|
C프로그램을 이루는 기본 구성요소 (0) | 2016.10.07 |
관용 암호 방식 -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0) | 2016.09.30 |
나라조사 - UAE, 유통시장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6.09.26 |
다산 정약용의 답연아[答淵兒]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6.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