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49D46556AC216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E6946556AC218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B4046556AC2192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8AC46556AC21A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78746556AC21B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CA246556AC21E2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18546556AC220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AB645556AC2222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5D745556AC224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1B545556AC226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6DA45556AC229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85845556AC22B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40245556AC22E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9C545556AC231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D6A3D556AC233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DAB3D556AC234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2223D556AC236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2B03D556AC239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CF73D556AC23C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5383D556AC23F3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B803D556AC244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2EC3D556AC247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9283D556AC249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E783D556AC24A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2293D556AC24C3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1C33D556AC24E0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A623D556AC250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4253D556AC2532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9A83E556AC256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BB53E556AC258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5CA3E556AC25A08)
에너지와에너지분쟁에너지와에너지분쟁
강의내용1. 에너지와문명, 석유2. 중동과카스피해3. 남중국해와한국강의내용1. 에너지와문명, 석유2. 중동과카스피해3. 남중국해와한국
에너지위기론이해에너지위기론이해
.
성장위기론
토머스
멜더스
인구론(1798)
-기하급수적
인구증가로
인한
성장한계
-산업기술의
확대재생산으로
극복
, 기하급수적
생산
가능은
석유, 가스, 석탄
1970년대
“성장의
한계
(Limits to Growth)”
논쟁
-성장한계론: 자원고갈과
인구증가에
따른
성장한계
-성장낙관론: 요소대체성
, 기술진보로
극복가능
1980 년대
지속가능한
발전
(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등장(시간개념
)
1992 리우회의: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공식
채책
--생태한계와
지구공동체
문제
.
2차
세계대전
: 석유전쟁
-제국주의
팽창에
대한
연합군의
석유금수조치
(1940,4.1)
-미국, 동인도제도에
의존: 일본
--진주만
공격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유전
(수송선
확보가
관건
: D.Yergin, Prize, Energy Future)
-루마니아
유전에
의존
: 독일
--코카서스, 북아프리카
유전
확보
에너지기본이해에너지기본이해
.
제1, 2 차
석유위기
-20세기
초
개발시작
: 1960년
이후
메이저석유
(엑슨, 모빌, 걸프, 소칼, 텍사코,
더치셀, BP, 프랑스
석유
)에
대항하여
OPEC 결성(현
11개국) .세계석유
수출
89%
-러시아, 멕시코, 이란, 이라크
등에
의해
국유화시작
-석유회사와
계약
(1972)
1973 년
4차
중동전을
계기로
석유무기화
--first oil shock
-이란
회교혁명
(1979) 공급감소
및
비축경쟁
.
second oil shock
.
석유자원전쟁
(문명의
충돌이
아닌
)
-1980 년
소련
아프카니스탄
침공
--카터독트린
“페르시아만
지역
통제하려는
외부세력
시도는
미국공격으로
간주
군사력
사용
선언”
-이데오르기
냉전에서
자원전쟁화
: 러시아, 체첸
전쟁
(카스피해
석유
)
미국
아프카니스탄
, 이라크
전쟁
-석유는
21세기
현대문명의
원동력이자
풍요와
평화를
위협하는
화약고
-세계
에너지분쟁의
가능성은
점증할
것으로
예상
.
루이스
멈포드
, Technics and Civiliztion, 1934 : 문명발전의
에너지기술
복합이론
석유이해석유이해
.
조명
밝히는
등유로
사용
.
결정적
전환점은
처칠
(해군장관
)
-전함
연료를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
(1912)
-속도와
내구성에서
우수
-해외의존
치명적
취약
-페르시안
석유회사가
석유공급
안전보장이란
국가임무
담당
.
전투, 정찰, 병참
등에
석유를
연료로
사용.
1차
대전에
실현
.
2차대전
석유가동
무기에
더욱
의존
-석유
국영회사화
(영국
따름
)
에너지분쟁과유가에너지분쟁과유가
에너지위기요인에너지위기요인
1. 에너지
수급
불균형
-2 조
배럴의
석유
매장
추정
1조
배럴은
매장
확인
62%가
중동에
집중되어
향후
세계의
중동의존도가
증가
예상
-OPEC 은
세계석유
매장량의
78%를
점유
, 영향력
더욱
강화될
전망
.
-석유, 천연가스의
매장분포의
지역편중은
국제
시장이
독과점적
성격
-중국의
원유
수요
, 수입
급증은
에너지
수급상황을
악화
석유가격의
아시안
프리미엄을
심화시키는
요인
-셀가스(미국, 캐나다) 개발로
완충역할
기대
2. 정치적
불안정
, 군사적
분쟁의
우발적
요인
-전쟁, 내전으로
인한
에너지공급시설의
고의적
파괴
가능성
.
가격
상승
-산유국
전쟁
또는
원유수송로에
인접해
있는
국가간의
전쟁
, 천재지변
등
-수송로
문제
3. 국제적
환경규제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성장
원동력
화석연료
제한
)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요구
: 그린에너지
시장지배력
상승
예상
석유분쟁결정요인석유분쟁결정요인
석유분쟁의
강도
, 전쟁의
빈도와
특성은
1. 석유안보의
정치적
, 전략적
환경
-미래
가장
위협을
줄
수
있는
국가나
지역의
이킬레스건
-경제재
이상의
국가흥망
차원에서의
작용과
반작용
-에너지
안보가
동맹의
재편
, 나아가
패권경쟁을
결정
2. 세계
에너지
수급구조의
역학관계
-수요
형태
:
20세기
연료와
원료로서
석유의
독보적
위치
(39%)
21세기
2020 까지
주요
에너지
(30% 이상)
아시아와
남미
개도국의
급속한
소비
증가
-세계
공급방정식
: 석유부족
문제의
심각성은
시간문제
(정점이론
참조
)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으나
세계
석유
흐름에
방해가
되는
어떤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해
최후수단으로
무력을
사용해야
하는
엄청난
압력을
받을
것임
3. 생산과
소비의
지리적
불균형
-석유의
지리적
분포
, 주요
생산지와
운송로
지역의
정치
환경과
밀접한
관계
-5 개국이
2/3 보유, 인종, 종교, 정치적
분열
지역
전략적
삼가지역에
집중
: 페르시아만
, 카스피해
, 남중국해
연료로
쓰이는
세계
에너지
소비량
, 1990-2030 ( 단위
천
조
Btu)
연료형태
석유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기타
현재
예상치
연평균
변화율
1990 2005 2006 2010 2015 2020 2025 2030 2006-2030
136.4 170.4 172.4 174.7 183.3 194.2 204.6 215.7 0.9
75.3 107.1 108.1 118.5 131.0 141.7 151.3 158.0 1.6
89.2 121.7 127.5 140.6 150.7 161.7 175.2 190.2 1.7
20.4 27.5 27.8 29.0 31.9 35.4 38.1 40.2 1.6
26.3 35.5 36.8 45.6 54.6 62.8 68.1 74.1 3.0
347.7 462.1 472.4 508.3 551.5 595.7 637.3 678.3 1.5
계
출처
: 미
에너지부
, l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09
지역별
세계
석유
소비와
예측
, 1990-2030 ( 단위는
하루
, 100 만배럴)
지역/국가
과거
예상치
평균변화율
1990 2005 2006 2010 2015 2020 2025 2030 2006-2030
OECD
OECD 북아메리카,계
20.5 25.2 25.1 23.5 24.1 24.4 25.2 26.2 0.2
미국
17.0 20.8 20.7 19.6 20.2 20.2 20.8 21.7 0.2
캐나다
1.7 2.3 2.3 2.3 2.3 2.3 2.4 2.5 0.3
멕시코
1.8 2.1 2.1 1.5 1.7 1.9 2.0 2.1 0.0
OECD 유럽
13.7 15.7 15.7 14.5 14.5 14.9 15.0 15.0 -0.2
OECD 아시아
7.2 8.6 8.5 8.4 8.6 8.8 8.8 8.7 0.1
일본
5.3 5.3 5.2 4.6 4.8 5.0 4.8 4.7 -0.4
한국
1.0 2.2 2.2 2.8 2.7 2.6 2.7 2.8 1.0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0.8 1.1 1.1 1.0 1.1 1.2 1.2 1.3 0.6
OECD 계
41.4 49.5 49.2 46.3 47.2 48.1 48.9 50.0 0.1
Non-OECD
Non-OECD 유럽과
유라시아
9.4 4.9 5.0 5.1 5.2 5.4 5.4 5.5 0.4
러시아
5.4 2.8 2.8 2.7 2.8 2.9 2.8 2.7 -0.1
기타
3.9 2.1 2.1 2.4 2.4 2.5 2.6 2.7 1.0
Non-OECD 아시아
6.6 15.3 16.0 17.8 20.6 24.2 27.3 30.2 2.7
중국
2.3 6.7 7.2 8.5 10.0 12.1 13.8 15.3 3.2
인도
1.2 2.5 2.7 2.4 3.1 3.9 4.3 4.7 2.4
세계
석유
매장량
및
생산량
(2008 년
계산치
)
생산국
(매장량
순
)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베네수엘라
아랍에미리트
연합
러시아
리비아
나이지리아
미국
중국
멕시코
노르웨이
계
추정매장량
(bbl)
264.1
137.6
115.0
101.5
99.4
97.8
79.0
43.7
36.2
30.5
15.5
11.9
39.8
1071.9
세계
매장량과의
비율
21
10.9
9.1
8.1
7.9
7.8
6.3
3.5
2.9
2.4
1.2
0.9
0.6
82.6
2008 년생산량(mbd)
10.8
4.3
2.4
2.7
2.5
2.9
9.8
1.8
2.1
6.7
3.7
3.1
2.4
22.9
출처
: BP Amoco. Sta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8
bbl = 10 억배럴
mbd= 1 일
100만
배럴
캠벨의산유량변화곡선총매장량2,100 기가배럴(심해, 극지방포함)의절반인2008년에최대생산량도달, 석유생산량감소시대돌입. 이미1980년부터석유발견량< 석유추가소비량: 석유대차의적자시대시작캠벨의산유량변화곡선총매장량2,100 기가배럴(심해, 극지방포함)의절반인2008년에최대생산량도달, 석유생산량감소시대돌입. 이미1980년부터석유발견량< 석유추가소비량: 석유대차의적자시대시작
사우디아라비아
유전
빠르게
고갈되고
있어
세계원유생산량세계원유생산량
1960년대
이후
대형
유전은
발견되거나
개발되지
않고
, 소규모
유전만
개발됨
.
석유미래 석유미래
1. “석유생산의 정점은 빠르게 닥아오고 있으며 2006년쯤이 될 것이다”
-캠벨,< 다가오는 석유위기 >
-약 9,440 억 배럴 소비 , 7,640 억 배럴 매장 추정 , 1,420 억 배럴 추가발견 (미검증 )
-정점 후 매넌 2-3% 씩 하락
2. BP 등 낙관론
-2,000~9,000 억 배럴 미검증 매장 , 총 1조 2,500 억~1조 9,500 억 배럴 매장
-60년 정도 소비충족 가능
-IEA: 2013 년-2037 년 정점 , 최근 IEA는 정점을 인정
3. 2010 년대 분쟁의 본격화
-2020 년경에 석유종말을 둘러싼 갈등이 극에 달할 것임
에너지안보론에너지안보론
.
한반도는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이
교차하는
지역
-주변국가
관계
안보환경에
많은
영향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4대
강국
상당한
영향
.
4대국은
다양한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한
각축심화
,
향후
국제질서는
에너지
확보를
둘러싸고
거대한
변화가
예상됨
.
중동지역의
정치적
불안정성이
심화되면서
제
2의
자원공급지
러시아
급부상.
세계
제
1의
천연가스
매장량
보유국
, 생산국인
러시아
막대한
힘
예상
.
에너지
소비국들이
에너지
확보를
둘러싸고
새로운
에너지
동맹관계를
형성
-미국은
중동지역의
불안정성
, 북해
유전의
고갈에
따른
석유시장의
리스크
보완을
위해
러시아와의
에너지동맹을
가속화
, 카스피해는
갈등
심화
예상
-사우디를
견제하기
위해
이라크의
석유
개발
및
증산을
도모
.
-세계
2위의
소비국
중국은
석유
공급
불안감을
느끼면서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대내외적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
분쟁지역
(페르시안
지역
)
1. 중요성-세계석유매장량의2/3, 천연가스매장량의1/3이집중-세계전체미발견석유매장량의40% 존재향후비중은더욱증가예상(2000년51%에서2020년68% )
-이라크는사우디에이어세계2위(총원유매장량의10.7%) 매자량증가예상-원유품질이뛰어나고석유개발비저렴하여향후미국, 영국, 러시아, 중국등의각축지속2. 미국전략-대외정책이냉전시대와는달리경제적국가이익의구현이주요기조, 고갈대비역량집중-9.11테러이후사활적국익을중동및동북아지역에걸고에너지안보정책을강력히추진-에너지확보를국가안보와직결-위임전략, 사막폭풍작전, 이중봉쇄정책(정치, 군사력영향억제)
3. 3 가지분쟁시나리오-유전지대대공세: 이라크무력화-호르무즈해협봉쇄와걸프지역석유수송위협: 아부무사섬등이란통제, 잠재군사력-사우디왕족에대한내부폭동: 지하드성전-바레인, 쿠웨이트등걸프지역국가의반정부집단, 집권세력내다툼사이에강해짐페르시안만분쟁1. 중요성-세계석유매장량의2/3, 천연가스매장량의1/3이집중-세계전체미발견석유매장량의40% 존재향후비중은더욱증가예상(2000년51%에서2020년68% )
-이라크는사우디에이어세계2위(총원유매장량의10.7%) 매자량증가예상-원유품질이뛰어나고석유개발비저렴하여향후미국, 영국, 러시아, 중국등의각축지속2. 미국전략-대외정책이냉전시대와는달리경제적국가이익의구현이주요기조, 고갈대비역량집중-9.11테러이후사활적국익을중동및동북아지역에걸고에너지안보정책을강력히추진-에너지확보를국가안보와직결-위임전략, 사막폭풍작전, 이중봉쇄정책(정치, 군사력영향억제)
3. 3 가지분쟁시나리오-유전지대대공세: 이라크무력화-호르무즈해협봉쇄와걸프지역석유수송위협: 아부무사섬등이란통제, 잠재군사력-사우디왕족에대한내부폭동: 지하드성전-바레인, 쿠웨이트등걸프지역국가의반정부집단, 집권세력내다툼사이에강해짐페르시안만분쟁
분쟁지역
(카스피해
유역
)
1. 중요성
-두 번째로 큰 석유매장지대 , 막대한 양의 천연가스 추정
-영토분쟁, 권위주의 정권 만연 , 심각한 빈부격차 , 인종, 종교적 분쟁
-경쟁하는 연안국가들 (소유권 법적 체제 없음 ), 정부군과 이슬람 반군
-‘97 110만 배럴 /일에서 2010년 400만 배럴 … 급증
2. 미국과 러시아의 경쟁
-19 세기 대영제국과 제정 러시아의 위대한 게임이 재현 : 위대한 석유게임
-러시아: 현존 파이프라인을 통해 생산량을 흑해와 유럽으로 이동 . 관세 수익 , 통제권
-미국: 대안적 공급처 , 러시아와 이란을 거치지 않고 공급받는 것
-러시아 군대 주둔과 커져가는 미국 영향력
3. 파이프라인 수송의 불안정성
-이란 통과 라인 (부시르)이 경제적 그러나 미국 정책과 부조화
-옛 소련라인 (노보로시스크): 중앙의 체첸과 갈등
-흑해(수푸사)라인: 큰 분쟁지역통과 , 미국은 터키 통과 라인 선호 (쿠르드족 문제 )
-파키스탄 라인 (탈레반 문제 ), 중국 동부라인 (4천 km)( 신장문제)
이웃과의 갈등심화로 위협을 느끼면 외부세력과 신무기 도입 경쟁 -분쟁심화 예상
러시아
-에너지 개발과 협력을 경제적 관점 이상의 중요한 전략적 문제로 인 (예, 수입의존 다양화 )
-국가 안보 차원에서 에너지에 대한 정부 통제권을 강화 정책
-서시베리아(석유 78%, 가스 87% 산출)에서 동시베리아 및 극동 지역 석유 , 가스 개발 추진
카스피해 분쟁
1. 중요성
-두 번째로 큰 석유매장지대 , 막대한 양의 천연가스 추정
-영토분쟁, 권위주의 정권 만연 , 심각한 빈부격차 , 인종, 종교적 분쟁
-경쟁하는 연안국가들 (소유권 법적 체제 없음 ), 정부군과 이슬람 반군
-‘97 110만 배럴 /일에서 2010년 400만 배럴 … 급증
2. 미국과 러시아의 경쟁
-19 세기 대영제국과 제정 러시아의 위대한 게임이 재현 : 위대한 석유게임
-러시아: 현존 파이프라인을 통해 생산량을 흑해와 유럽으로 이동 . 관세 수익 , 통제권
-미국: 대안적 공급처 , 러시아와 이란을 거치지 않고 공급받는 것
-러시아 군대 주둔과 커져가는 미국 영향력
3. 파이프라인 수송의 불안정성
-이란 통과 라인 (부시르)이 경제적 그러나 미국 정책과 부조화
-옛 소련라인 (노보로시스크): 중앙의 체첸과 갈등
-흑해(수푸사)라인: 큰 분쟁지역통과 , 미국은 터키 통과 라인 선호 (쿠르드족 문제 )
-파키스탄 라인 (탈레반 문제 ), 중국 동부라인 (4천 km)( 신장문제)
이웃과의 갈등심화로 위협을 느끼면 외부세력과 신무기 도입 경쟁 -분쟁심화 예상
러시아
-에너지 개발과 협력을 경제적 관점 이상의 중요한 전략적 문제로 인 (예, 수입의존 다양화 )
-국가 안보 차원에서 에너지에 대한 정부 통제권을 강화 정책
-서시베리아(석유 78%, 가스 87% 산출)에서 동시베리아 및 극동 지역 석유 , 가스 개발 추진
카스피해 분쟁
분쟁지역
(남중국해
지역
)
1. 중요성-해저자원매장량에대한권리가불명확-해상분쟁시자국이익방어를위해무력행사가준비2. 에너지수요-중국, 인도등으로인한에너지소비증가율은3.7%/ 년(세계에너지소비34% 예상)
-수입의존도줄이기우해해저자원개발에박차를가할것임-일본, 한국등에너지수송은남중국해통과해야함3. 영토분쟁-타이만, 나투나섬, 통킹만, 보르네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스프래틀리군도(남사)
핵심은모든분쟁을무색케하는중국의전스프래틀리군도에대한소유권주장(군사전초기지, 해군기동연습, 국제석유회사들에개발탐사권부여)
베트남과해전점령(1988)
-산호도사건중국군사시설설치(1995), 필리핀접근금지, 미국및ASEAN 국가들의압력계속되고있으나계속점령4. 전망-중국의해군력(원양함대), 공군력의지속적증가-미국, 일본은해상자유에대한위협으로간주(동맹조약활용)
-조어대(센카쿠) 군도분쟁심화-위험과관련된모든요소들이집중되어있음(중국의미국함대저지는전면전형태발전가능)
남중국해분쟁1. 중요성-해저자원매장량에대한권리가불명확-해상분쟁시자국이익방어를위해무력행사가준비2. 에너지수요-중국, 인도등으로인한에너지소비증가율은3.7%/ 년(세계에너지소비34% 예상)
-수입의존도줄이기우해해저자원개발에박차를가할것임-일본, 한국등에너지수송은남중국해통과해야함3. 영토분쟁-타이만, 나투나섬, 통킹만, 보르네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스프래틀리군도(남사)
핵심은모든분쟁을무색케하는중국의전스프래틀리군도에대한소유권주장(군사전초기지, 해군기동연습, 국제석유회사들에개발탐사권부여)
베트남과해전점령(1988)
-산호도사건중국군사시설설치(1995), 필리핀접근금지, 미국및ASEAN 국가들의압력계속되고있으나계속점령4. 전망-중국의해군력(원양함대), 공군력의지속적증가-미국, 일본은해상자유에대한위협으로간주(동맹조약활용)
-조어대(센카쿠) 군도분쟁심화-위험과관련된모든요소들이집중되어있음(중국의미국함대저지는전면전형태발전가능)
남중국해분쟁
3. 중국-세계제5위석유생산국, 제20위천연가스생산국이나수입국-1990 년대중반부터중국석유천연가스총공사(CNPC) 베네수엘라및페루, 수단, 카자흐스탄최근러시아, 이란등지에서유전탐사및개발-2003 년호주에서향후25년간210억달러규모의액화천연가스도입계약체결-유전탐사와개발을위해약1조5,000 억원을투자-1990 대중반부터이란과자원협력관계강화, 이라크및오만에진출-2004 년아프리카31개국에대한31억달러의부채탕감, 가봉, 이집트진출-에너지정책은중국영향력의확대와병행되어추진됨.
4. 일본-세계제2위석유수입국, 높은해외, 중동의존도-석유비축, 비상시의에너지네트워크, 아시아석유시장공동개발-오일쇼크이후국가주도의에너지다변화추진석유비중을76%에서49%로감소, 중동의존도는60%까지감소,
이란으로관심(예, 이란아자데간유전채굴권20억달러에확보)
-중앙아시아지역석유자원확보를추진, 동시베리아석유도입루트확보노력-석유확보위해아프리카국가10억달러상당의무상원조와30억달러부채포기에너지안보주요국입장3. 중국-세계제5위석유생산국, 제20위천연가스생산국이나수입국-1990 년대중반부터중국석유천연가스총공사(CNPC) 베네수엘라및페루, 수단, 카자흐스탄최근러시아, 이란등지에서유전탐사및개발-2003 년호주에서향후25년간210억달러규모의액화천연가스도입계약체결-유전탐사와개발을위해약1조5,000 억원을투자-1990 대중반부터이란과자원협력관계강화, 이라크및오만에진출-2004 년아프리카31개국에대한31억달러의부채탕감, 가봉, 이집트진출-에너지정책은중국영향력의확대와병행되어추진됨.
4. 일본-세계제2위석유수입국, 높은해외, 중동의존도-석유비축, 비상시의에너지네트워크, 아시아석유시장공동개발-오일쇼크이후국가주도의에너지다변화추진석유비중을76%에서49%로감소, 중동의존도는60%까지감소,
이란으로관심(예, 이란아자데간유전채굴권20억달러에확보)
-중앙아시아지역석유자원확보를추진, 동시베리아석유도입루트확보노력-석유확보위해아프리카국가10억달러상당의무상원조와30억달러부채포기에너지안보주요국입장
에너지분쟁전망에너지분쟁전망
1. 미국의정치군사적접근-아프카니스탄과이라크전쟁을통해중앙아시아,
중동, 카스피해지역직간접통제권확보-경제안보와군사안보가융합된개념2. 에너지분쟁과반이전략연대-중국-러시아전략연대: 동북아에너지협력이중국과러시아연대가강화될수록반미동맹색체를강화되어한국딜레마빠질위험-인도미래: 중국-러시아, 미-일동맹형태에서인도는전자, 호주는후자에접근중이란과러시아와협력강화
정책방향-값싼에너지의안정적공급, 에너지공급설비의중앙집중식대규모화, 산업보호를위한정책-에너지설비의입지확보의어려움, 남·북통일에대비하는에너지수급체계에대한준비등이주요에너지안보정책과제로대두될전망-OPEC 국가의영향력강화, 기후변화협약등으로인한청정연료의선호에따른천연가스의확보문제들이안보관련문제로부각될예상-자원공급지역의정치적상황및주도권변화, 거대에너지소비국들의확보경쟁심화등의세계에너지질서변화에대비필요1. 복합적인에너지안보개념-수급안보차원의물량위기를넘어서가격위기, 나아가국가안보상의총체적위기차원으로확대-복합개념필요(경제안보, 국가안보개념등포괄)
2. 에너지환경구조개선-세계10위의경제대국인데동력핵심에너지자급률이불과3%-에너지위기에노출-산업구조개편및탈석유화-신재생에너지개발및보급확대에너지분쟁의한국시사점정책방향-값싼에너지의안정적공급, 에너지공급설비의중앙집중식대규모화, 산업보호를위한정책-에너지설비의입지확보의어려움, 남·북통일에대비하는에너지수급체계에대한준비등이주요에너지안보정책과제로대두될전망-OPEC 국가의영향력강화, 기후변화협약등으로인한청정연료의선호에따른천연가스의확보문제들이안보관련문제로부각될예상-자원공급지역의정치적상황및주도권변화, 거대에너지소비국들의확보경쟁심화등의세계에너지질서변화에대비필요1. 복합적인에너지안보개념-수급안보차원의물량위기를넘어서가격위기, 나아가국가안보상의총체적위기차원으로확대-복합개념필요(경제안보, 국가안보개념등포괄)
2. 에너지환경구조개선-세계10위의경제대국인데동력핵심에너지자급률이불과3%-에너지위기에노출-산업구조개편및탈석유화-신재생에너지개발및보급확대에너지분쟁의한국시사점
중국, 일본, 한국, 인도의
에너지
소비
예측
지역/연료형태
과거
예상치
연평균
변화율
1990 2005 2006 2010 2015 2020 2025 2030 2006-2030
중국
석유
2.3 6.7 7.2 8.5 10.7 13.2 15.3 17.1 3.7
천연가스
0.5 1.7 2.0 2.6 3.8 4.9 5.9 6.8 5.2
석탄
20.3 46.9 52.0 62.9 70.5 79.7 90.2 98.5 2.7
일본
석유
5.3 5.3 5.2 4.6 5.1 5.4 5.3 5.2 0.0
천연가스
2.0 3.1 3.2 3.4 3.6 3.7 3.7 3.7 0.5
석탄
2.7 4.6 4.6 4.5 4.5 4.3 4.2 4.0 -0.6
한국
석유
1.0 2.2 2.2 2.8 2.9 2.9 3.0 3.1 1.5
천연가스
0.1 1.1 1.1 1.3 1.5 1.6 1.7 1.8 1.8
석탄
인도
석유
1.2 2.5 2.7 2.4 3.3 4.2 4.7 5.2 2.9
천연가스
0.4 1.3 1.4 1.8 2.4 3.0 3.4 3.7 4.2
석탄
4.2 8.6 9.4 10.3 11.3 12.1 12.9 14.2 1.7
출처: 미에너지부l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09
mbd=1 일10억배럴tcf = 1 조입방피트Quadrillion Btu= 1000 만조Btu
큰
흐름
(I)
1. “오염산업연대”와“온난화방지연대”
-후자승리시작(부시변화)
-비용조건의역전(고유가, 배출권구매비용/ 환경기술, 신재생에너지기술은배출권판매수익, 세제혜택, 소비자선호)
-거대시장으로부각됨에따른세계유동성의집중시작(지구온난화펀드,
탄소펀드등)
큰
흐름
(II)
2. 생물다양성협약회의의중요성부각-기후변화에따른생물다양성급감이이슈(환경적이슈)
ecological footprint 3배증가(1961-2003),
생물다양성은31% 급감(1970-2003) , 매년4만종-생물자원은국부의원천, BT 는IT능가하는신성장동력(경제적이슈)
(종자전쟁, 영국“노아의방주”계획)
-UN 생물다양성조약체결국(188 개국) COP 회의를통해2010 , 2012 년회의에서행동의큰틀이이루어질전망3. 한국-Eco-wave 는이미시작(기회)
-신재생에너지와BT가주요메커니즘(선진국, 후진국의다리역할)
-그린르네상스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