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E FOR ALL

블로그 이미지

MSNU

페미니즘 이론들 : 여성주의(Feminism)

myPPT 2018. 8. 27. 14:43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1. 여성억압의 원인

 사적소유 체제(자본주의 체제의 모순)

 2. 여성 억압의 규명

 노동, 역사, 계급의 관점에서 규명

 1) 노동: 여성 억압이 노동을 둘러싸고 일어난다고 봄

 (가사노동, 성별에 따른 임금 차별 등)

 2) 역사: 여성억압은 특정 시대의 산물

 3) 계급 : 여성억압은 계급구조 발생(자본가-무산자간의 지배-피지배)과 함께 사적소유제가 이루어지면서 발생

 특히 사적 소유제의 모순남녀간의 지배-피지배 관계로 나타나고, 이러한 모순의 매개체는 성별분업, 가족제도 등이다.


 마르크 페미니즘의 여성해방 조건


 -사적 소유제 폐지

 -자본주의 붕괴

 --사회주의 하에서는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여자들은 남자들로부터 경제적으로 자유롭고 그리하여 그들과 동등하게 될 것으로 간주. 

 -여성의 경제적 독립

 -가사노동과 자녀 양육의 사회화


 이론적 공헌

 -여성문제를 역사적,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했음


 이론적인 문제점

 -여성억압의 근원을 지나치게 단일 대상(노동)에 한정시킴

 -실제 여성 억압의 기제가 다양하다는 것을 간과


급진적 페미니즘

 1. 여성억압의 핵심

 -출산, 성애, 젠더 등 여성으로서의 특징에서 찾고 있음

 -가부장제 폐단(가부장체제는 권력, 지배, 계급 제도와 경쟁의 특징을 보이며, 개선될 수는 없고 다만 뿌리와 가지를 송두리째 뽑아낼 수있을 뿐인 체계이다. 전복되어야 하는 것은 단순히 가부장제의 법적, 정치적 구조 뿐만이 아니다. 그 사회적, 문화적 제도들도 함께 소멸되어야 한다고 봄)

 -사회 : 성적으로 계급화된 억압구조로 간주


 급진주의 보는 여성문제란?

 여성들이 어머니이기를 강요당하다는 점, 남성의 성적 노예라는 점, 그리고 여성의 육체가 남성에 의해서 통제당한다는 점


 급진주의가 생각하는 페미니즘 혁명이란?

 -생물학적 혁명'이라고 말할 수 있음

 -이것을 극복하는 것이 여성을 열등하게 만드는 것으로 규정되었던 천성적인 차이를 오히려 여성들을 더 우월하게 만든다고 주장.

 -출산과 성을 여성 스스로 통제

 -과학기술 혁명을 통해 출산을 여성으로부터 분리

 -이성애거부-동성애 강조, 여성 공동체 형성 강조


 이론적 공헌

 법적인 제도나 노동보다는 출산, 성애, 성별 등과 연관되는 사적인 세계나 여성의 육체에 관심을 두면서 이를 정치적 지배 관계의 영역에 포함시켰으며, 여성 억압에 작용하는 심리적 기제를 규명하려 한 점에서도 의의가 있음



사회주의 페미니즘

 1. 여성문제의 본질

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모순(계급과 성의 관계에서 여성문제를 찾고자 함)가부장제와 자본주의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성차별적 사회를 만든다고 주장


 -가부장제의 기반: 성별분업(남:생산영역, 여: 소비영역)에서 찾으며, 이것이 경제구조의 변화속에서 변형된 모습을 띠고 여성 예속을 강화


 여성해방의 대안

 -자본주의사회주의화(여성해방에 도움)

 -가부장제 철폐

 -성별 노동분업의 철폐

 -성별 자체의 철폐


 이론적 의의

 생산영역 내에서 성별분업체계 검토

 여성의 재생산활동 중요성 강조


실존주의 페미니즘

 1. 여성억압의 근본 원인

 -여성의 타자성(the other)

 -왜 여성은 타자성을 띠는가?

 -계급적이고 자본제적 가부장 사회에서 여성들은 남성들과 관계에서 권력이 없고, 물리적, 심리적 특권이 없기 때문에 항상 그 의미가 남성들에 의해 규정되고 결정된다는 것이다.

 -특히, 물리적 조건이 한 계급이 다른 한 계급을 지배하고 억압하는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


 2. 여성해방 조건


 -현실 사회구조 안에서 여성의 타자성 인정

 -타자성을 규정짓는 것들로부터 초월

 -여성들이 직업을 가져야 된다는 것(경제적인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고, 직업과 노동을 통해 자신의 지위를 확인해야만 한다)

 -지적인 존재가 되어야 한다(여성을 위한 변화의 선봉이 되어야 한다는 것)

 -여성해방의 조건으로 사회주의적 사회로의 변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무계급, 무착취, 무소유 사회가 여성해방 지름길)

포스트 모던 페미니즘

 1. 포스트 모던 페미니즘의 핵심

 남성성과 여성성의 동일화를 거부

 여성성 그 자체로도 만족스럽고 자랑스러운 인성의 한 면을 구성한다는 시각

 부드럽다거나 감성적이라는 인성은 그 나름대로 바람직한 인격의 한 면이기 때문에 근엄하고 딱딱한 남성을 모델로 한다든지, 남성처럼 행동하고 인식해야 성공한다든지, 남성들이 구축한 경쟁의 방법을 그대로 답습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


 남성성과 마찬가지로 여성성 그 자체도 매우 중요한 인격을 간주

 따라서 인위적으로 고치거나 바꾸어 남성화되는 것은 모더니즘의 폐해를 다시 한번 반복한다는 것이다. 


 이러한 포스트 모더니즘의 실존적 특성은 ?

 건축, 도시공학, 문학, 심리학 등에서 먼저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중심과 주변의 동질성"이라는 명제 이외에 또 다른 절대진리를 구축하지 않으려 한다는 점에서 남성중심도 여성중심도 아닌, 성 평등사조로 발전되어 왔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중독(특히 게임)을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  (0) 2018.09.03
양식 테이블 세팅 - 여름  (0) 2018.08.30
여러 가지 액체가 얼었다가 녹는 속도의 차이  (0) 2018.08.15
시련(The Crucible) 과 아서 밀러 Arthur Miller(미국작가)에 대해서  (0) 2018.03.11
독도는 왜 우리땅인가?  (0) 2018.03.05
Posted by MSNU






favicon

MADE FOR ALL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609)
    • 러시아어 (16)
    • myPPT (414)
    • 시리즈 (166)
      • OS (14)
      • 회계 (57)
      • 경제 (22)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