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키마치료
스키마치료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의
개념과
치료
방법읁
의미있게
확장시킨
혁신적이고
통합적인
심리치료로서
, Jeffrey E. Young 과
그의
동료
들에
의.
개발되었다
. 심리도식치료는
인지행동치료
, 애착이론, 게
슈탈트치료, 대상관계이론, 구성주의
및
정신분석치료의
요소들읁
조합한
풍성하고
통합적인
개념적모델과
치료적
모델읁
제시하였
다.
지금까지
치료가
어렵다고
알려진
고질적이고
만성적인
심리장애
읁
가진
혹은
심각한
성격문제륹
가진
환자들에게
좋은
결과륹
보
이고
있다
.
심리도식치료
CBT
Attachment
Theory
Gestalt therapy
Object relation theory
Constructivism
Psychoanalytic theory
Schema
therapy
Chronic mental illness,
personality disorder
인지모델
사건자동사고반응감정행동신체,
스키마(믿음)
이전경험의식무의식행동치료약물치료정신치료인지치료스키마치료
도식이란
.
심리도식치료는
인지행동치료에
비.
초기의
부적응적
도식들읁
다
룬다. Beck 은
1967년에
‘도식이란
유기체에
영향읁
미치는
자극들읁
검사하고
부호화하며
평가하기
위한
인지적
구조이다
. 도식들의
.
열에
기초해서
한
개인은
시간과
공간의
관계속에
적응할수
있게되
며, 의미있는
방식으로
경험읁
범주화하고
해석할수
있게
된다’
라고
했다.
.
도식이란
일반적으로
구조
, 뼈대, 윤곽읁
의미한다
.
.
핵심적정서욕구: 우리는
아동기
시절에
충족되지
못한
핵심적정서욕
구(core emotional need) 로
인.
부적응적인
심리도식이
발생한다
고
생각한다
. 우리는
인간이
지닌
다섯가지의
핵심적
정서욕구륹
가
정.
왔다
. 타인과의
안정애착
, 자율성-유능감-정체성, 타당한
욕구
와
감정읁
표현하는
자유
, 자발성과
유희
, 현실적인
한계
및
자기통
제이다.
심리도식영역
.
심리도식모델에서
밝혀진
18개의
심리도식은
5개의
범주로
묶인다
.
.
단절, 거절-유기/불안정, 불신/학대, 정서적결핍, 결함/수치심, 사회
적고립/소외
.
손상된자율성, 수행-의존/무능감, 취약성, 융합/미발달됙
자기
, 실패
.
손상된한계-특권의식, 부족한자기통제
.
타인-중심성: 복종, 자기희생, 승인-추구
.
과잉경계억제-부정성/비관주의
, 정서적억게, 엄격한기준, 처벌
방략: strategy
.
1. 인지적(cognitive)-증거찾기
.
2. 체험적(experiencial)-심상대화
.
3. 행동적(behavioral pattern breaking)
.
3. 치료관계적(therapy relationship)-공감적직면, 제한됙
재양육
왜
스키마치료인가
.
중독환자는
그
내면의
문제륹
찾아내어
해결해야
낳을수
있다고
생
각한다.
.
정신분석과
다른
점은
도식이
있다는
점이다
.
.
인지행동치료륹
통.
자동사고
, 중독반응읁
바꾸고
나면
내면의
도식읁
찾아
벗어나기
하도록
한다
.
.
벗어나기는
이전과는
같은
방식의
생각
, 감정, 행동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변화륹
의미한다
.
.
그러므로
회피
방식이
아닌
직면과
재양육의
과정읁
거친다
.
.
스스로
대처하는
훈련읁
시킨다
. 자신이
알고
있는것읁
근거로해서
스스로
변화한다
.
사례
중독유형사례자동사고심리도식(핵심신념)
인지치료약물치료결과성중독남29
치료보호나를과시해야한다나의존재감이없어진다+ GnR
H
호전주식중독남48
5억손실새로운환경, 여건만들고싶다기대한만큼안된다. + 호전알코올중독남45
불랙아웃사람들과친밀해지고싶다질병, 재난이두렵다(부모사망)
+ + 단주히로뽕중독여26 남자가받아주지않으면어쩌나나는쓰레기같은사람이다.
+
DBT
+ 단약인터넷중독남24 나는어쩔수없다나는주류와는소원하다.
+ 약간호전도박중독남52 나를우습게본다나는소외된것같다. + 호전
거리두기-distancing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것읁
객관적으로
알아차리는
과정
.
1. 인지행동치료: comprehensive distancing : look from thought, Aron
Beck
.
2. 심리도식치료
: schema therapy, Jeffrey Young, early maldaptive
schema
.
3. MBSR(Mindfullness Based Stress Reduction) : Jon Kabat-Zinn
.
4. ACT(Acceptance & Committeement therapy) : Stven C. Hayes, look at
thought
.
5. positive psychology: Martin Seligman : Positive psychologists seek "to find and
nurture genius and talent", and "to make normal life more fulfilling",[2] not simply to treat
mental illness. The field is intended to complement, not to replace traditional psychology. It
does not seek to deny the importance of studying how things go wrong, but rath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sing the scientific method to determine how things go right.
Researchers in the field analyze things like states of pleasure or flow, values, virtues, talents,
as well the ways that they can be promoted by social systems and institutions.[3]
CBT
Schema T
-ME, TSF
MBSR
-DBT
ACT, PP
쿠마라지바
& 번뇌시도장
.
번뇌시도장(煩腦是道場)
.
인도에서는
번뇌는
없애야
한다고
했습니다
. 마치
인지행동치료에서의
변화처럼
말입니다
. 그러
나
스키마치료는
자신의
덫읁
알고
벗어나라라고
하고
있습니다
. 혹은
알아차림에서
처럼
그저
번뇌안에
깨달음
, 구원이
있으니
알아차리라고
하고
있습니다
. 임상에서
보면
우선
인지행동치료
륹
통.
자동사고륹
깨달아야
합니다
. 그
이후에
덫의
벗어나기륹
하거나
혹은
알아차리는것이
순서가
아닐까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