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질(mineral)
무기질
무기질의 정의 및 특성
무기질의 분류
다량 무기질(macromineral) :
- 하루 권장섭취량이 100mg 이상인 무기질
- 칼슘(Ca), 인(P), 나트륨(Na), 염소(Cl), 칼륨(K),
마그네슘(Mg), 황(S)
미량 무기질(micromineral)
- 하루 권장 섭취량이 100mg 이하인 무기질
- 철(Fe), 요오드(I), 망간(Mn), 구리(Cu), 아연(Zn),
코발트(Co), 불소(F), 셀레니움(Se) 등
무기질과 비타민의 차이점
비타민
유기물질
식물과 세균 등 유기체가 합성
공기, 빛, 열 등의 여러 가지 처리에 의해 쉽게 파괴
무기질
무기물질
어떠한 생명체도 합성 불가능
일반적인 화학적 방법에 의해 쉽게 파괴되지 않고 안정
무기질의 기능
• 체액에 녹아 이온 형태로 존재하며, 산 또는 알칼리 형성
• 양이온을 형성하는 무기질 : 염기도 증진
-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
- 체액에서 수산기(-OH)와 결합하여 알칼리 형성
• 음이온을 형성하는 무기질 : 산도 증진
- 염소, 황, 인 등
- 체액에서 수소이온(-H+)과 결합하여 산 형성
* 체액의 pH는 7.35-7.45
체내에서 산 또는 알칼리를 형성하는 무기질 및 식품
무기질의 기능
신체의 약 96%는 유기물질, 나머지 4%는 무기질로 구성
칼슘, 인, 불소 :
뼈와 치아와 같은 경조직의 구성성분
아연, 구리, 망간 : 연결조직의 형성에 필수적
즉, 연골, 피부, 뼈 주위 조직의 중요한 구성성분
아연 - 정상적인 상처 회복에 필요
구리 – 부족 시 뼈와 혈관 약화
무기질의 기능
‧ 호르몬, 효소, 비타민 등의 구성성분
요 오 드 - 갑상선 호르몬(티록신) 의 구성성분
황 - 인슐린의 구성성분
철 - 사이토크롬(cytochromes)의 구성성분,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
황 - 티아민, 비오틴의 성분
코 발 트 - 비타민 B12의 성분
염 소 - 위내 염산의 성분
무기질의 기능
③ 삼투압 조절
삼투현상에 의한 체액 구획간 수분이동 조절
- 세포내외로 이동하는 물의 양은 체액에
녹아있는 무기질의 농도에 의해서 결정됨
- 무기질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체액의
축적 또는 탈수 현상을 일으킴
무기질의 기능
④ 대사의 촉매작용 :
효소의 구성성분 또는 보조인자
마그네슘 -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분해, 합성과정에 필요
구리, 칼슘, 망간, 아연 등 - 체내 이화작용(catabolism) 및
동화작용(anabolism)에서 촉매, 또는 효소의 구성성분
구리 - 창자에서 철의 흡수를 도움 , 적혈구 형성에 관여
칼슘 - 비타민 B12 흡수를 도움
나트륨, 마그네슘 - 단당류의 흡수를 도움
무기질의 기능
⑤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관여
칼슘: 근육을 긴장수축, 신경을 흥분시킴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 수축된근육을 이완,
신경을 안정시킴
3. 칼슘
칼슘은 체내 가장 많은 무기질
체중의 약 2%
체중이 60kg인 성인의 칼슘 함량은 900 ~ 1300g임
이 중 99% - 뼈와 치아에 존재,
<1% - 혈액 및 세포내액에 존재
혈청내 정상적인 칼슘 수준 : 9 ~ 11mg/㎗
흡수 및 대사
흡수율: 성인 10~30%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인자
성장기(75%), 임신기(60%), 수유기 등 신체의 요구도가 높을 때
혈액 내 칼슘 이온의 농도가 낮을 때
유당의 섭취량이 충분할 때
단백질 섭취량이 충분할 때/ 라이신, 아르기닌(arginine) 등의 아미노산이 풍부할 때
장내의 산도가 높을 때 (PH가 낮을때)
비타민 D 섭취량이 충분할 때, 칼슘결합단백질의 합성촉진하여
비타민 C 섭취량이 충분할 때
식사 내 칼슘과 인의 비율이 거의 같을 때
흡수 및 대사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는 인자
비타민 D 결핍
과량의 지방 섭취: 장내 유리지방산이 불용성 칼슘염
형성
식이섬유질, 수산, 피틴산의 섭취
장내의 염기도가 높을 때
폐경(에스트로젠의 분비감소)
칼슘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요인
칼슘 항상성이란?
혈액 중 칼슘의 농도가 일정하게 (9~11mg/100ml) 유지되는 현상
조절인자 :
- 칼슘섭취량 , 흡수량 및 대변을 통한 배설량
- 신장에서의 재흡수량과 뇨 배설량
- 뼈 축적량과 뼈로부터 용출량
★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물질 :
부갑상선 호르몬(PTH), 비타민 D (1,25(OH)2Vit D3: calcitriol),
칼시토닌(calcitonin)
PTH와 calcitonin의 생리작용
PTH(부갑상선호르몬) : 혈액의 칼슘농도가 정상 이하로 떨어지면 부갑상선에서 분비, 혈중 칼슘이온의 수준을 높인다.
- 신장에서 1,25(OH)2Vit D3 (Calcitriol)생성↑ 소 장에서 칼슘 흡수 ↑
- 신장에서 Ca++의 재흡수 촉진
- 골격세포에서 칼슘 용출 혈중 Ca++ 수준↑
Calcitonin : 혈액의 칼슘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갑상선에서 분비, 혈중 칼슘이온의 수준을 낮춘다.
- 골격에서 칼슘용출 억제
- 신장에서 1,25(OH)2Vit D3 생성 ↓
칼슘의 생리적 기능
① 골격과 치아조직의 형성 :
두 조직 모두 유기물 기질(콜라겐과 점질 다당류)에 무기염(수산화인회석 및 인산칼슘염)이 침착되어 생성
골격 형성에 관여하는 세포
조골세포(osteoblasts) :
새로운 뼈의 기질(bone matrix) 형성
기질에 인산칼슘이 축적되어 뼈의 결정(bone crystal) 생성
* 뼈의 기질 : 콜라겐 섬유와 점질 다당류로 구성,
이 기질이 석회화됨
* 뼈의 무기질 : 결정상과 비결정상으로 분류
비결정상 : 인산칼슘염
결정상 :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 골격이 성숙되면서 비결정상 ↓ , 결정상 ↑
■ 파골세포(osteoclast) :
골격 조직을 파괴 골흡수가 일어나게 함
칼슘의 생리적 기능
② 신경전달작용
신경의 자극
→ 신경과 근육의 연접점(junction)에 도달시
→ 신경전달물질 방출
→ 신경자극이 근육으로 전달됨
* 칼슘은 신경 전달물질의 방출을 촉진
칼슘의 생리적 기능
③ 근육의 수축 및 이완작용
골격근의 구조
근원섬유 – 근섬유 – 근속- 골격근 구조
* 근원섬유는 섬유형 단백질인 마이오신(myosin)과 액틴(actin)으로 구성
신경자극으로 근육흥분 :
근육 세포안의 칼슘 방출(유리 칼슘이온 상태)
→ 마이오신과 액틴 사이의 화학반응
→ 액토마이오신 형성 → 근육 수축
방출된 칼슘이온이 세포내 저장고로 돌아가면 마이오신과 액틴이 분리되어 근육이완
칼슘의 생리적 기능
④ 세포막의 투과성 조절
세포막의 투과성을 조절하여 세포막을 통한 영양소의
이동에 관여
세포외액에 존재하는 칼슘 농도 :
세포막의 투과성(pore permeability) 조절
칼슘의 생리적 기능
⑤ 혈액응고 과정에 칼슘 관여 :
출혈시
* Ca++ 존재하에 thromboplastin 등 혈액응고인자 방출
* Ca++ 존재하에 thromboplastin 은
prothrombin thrombin(활성형)으로 전환시킴
* thrombin은
fibrinogen(soluble)을 fibrin(불용성)으로 전환시켜
혈액응고
혈액의 응고과정
칼슘의 결핍증
① 구루병(rickets)
원인 : 성장기 칼슘섭취 부족
증세 : 성장 지연, 불충분한 석회화로 잦은 골절, 휜 다리, 관절부위 확대, 앞가슴 뻐 돌출 등
골격 기형
섭취 실태와 영양섭취기준
섭취 실태 (2008년)
한국인 1인 1일 섭취량의 평균은 남 527mg, 여 423mg
권장섭취량의 76.3% 수준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 : 성인 남녀(19~29세)
평균필요량 남 620mg 여 530mg
권장섭취량 750mg 650mg
상한섭취량 2,500mg 2,500mg
4. 인 (P)
인의 흡수 및 대사
생리적 기능
인의 결핍증
인의 과잉증
인의 영양섭취기준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 :
성인 남녀(19~29세)
평균필요량 남 580mg 여 580mg
권장섭취량 700mg 700mg
상한섭취량 3,500mg 3,500mg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 역사 개관 (0) | 2017.09.17 |
---|---|
미국경찰의 시대별 흐름 (0) | 2017.09.06 |
정치과정과 시민참여 -선거의 의미와 제도 (0) | 2017.08.11 |
New Biz Model - 이발업 예시 (0) | 2017.08.01 |
포맷 스트링 (0) | 2017.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