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스곡선과 거시경제
38. 필립스곡선과 거시경제
1) 개념
필립스곡선은 필립스(A. W, Phillips)가 임금 혹은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이 역관계를 띤다는 것을 실증조사한 그래프이다.
2) 필립스곡선의 의의
⑴ <그림1>처럼 K의 AD정책이 물가와 실업을 잡는 정책으로서 타당하다는 것을 증명
<그림1> 케인즈학파 경제논리와 필립스곡선
(2) 물가와 실업률의 역관계가 확실하지 않다는 주장도 나옴(고전학파)
그러면 고전학파 필립스곡선의 형태는? 고전학파의 AS선은 수직선이므로 필립스곡선도 수직선이어서 물가와 실업률은 하등의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3) K의 AD정책은 물가와 실업을 동시에 잡는 정책이 되지 못하는 것도 반증
그러면 물가와 실업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정책은? 이론적으로 <그림2>처럼 AS선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필립스곡선을 원점으로 자체 이동시키는 소득정책, 인력정책, 구조개선정책, 기술개발정책 등이다.
<그림 2> AS선의 이동과 필립스곡선
39. 학파간 경기변동이론 비교
| 사상 | 경기변동원인 | 지속성설명 | 비고 | |
새고전학파 (균형경기 변동이론) | (총수요=총공급) 균형수준 자체의 변화 ↓ 자연적 현상 ↓ 정부 비개입 | 화폐적 균형경기 변동이론 | 예상하지 못한 통화량 충격 | 잘 설명 못함 | 실물적요인 무시 |
실물적 균형경기 변동이론 | 기술변화, 노동시장상황변화, 자원상황변화, 자연상황변화 등 모든 생산성변화충격 | 노동공급의 기간간 대체, 건설기간 | 화폐적 요인 무시, 총수요측요인 무시 | ||
새케인즈학파 (불균형경기 변동이론) | (총수요<총공급) 불균형 상태에서 총수요의 변동 ↓ 시장실패 ↓ 정부정책개입필요 | 모든 총수요 변화요인 | 각종가격변수의 경직성 | 총공급측요인 무시 |
40. 내생적 성장이론(신성장론)-80대 Romer, Lucas 등
⑴ solow 이론에 대한 부분적 비판 아래 탄생
① 솔로우이론에서 기술진보가 성장의 주된 요인이라고 시사는 했다.
② 그러나 기술진보, 저축률(s), 인구증가율(n) 등을 외생변수로 취급했다.
그러면 솔로우이론에 의하면 각국의 성장률은 비슷해야 하고 또 후진국의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더 높으므로 후진국의성장률이 선진국보다 더 높아 결국 선후진국간 소득격차가 해소된다는 것이다.(수렴이론 = 따라잡기 효과)
③ 하지만 현실은 각국의 성장률은 상당히 달랐고 또 선후진국간의 소득격차는 더욱 벌어졌는데 이 같은 사실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아래 탄생한 것이 내생적 성장이론이다.
* 내생적 성장이론의 생산함수의 특징
장기생산법칙: 규모에 대한 수확체증(규모의 경제)
단기생산법칙: 수확불변(
) 혹은 수확체증(
)(기술진보의 내생화)
41. 리카도의 비교생산비설
1) 유형Ⅰ-생산비 정보일 때
1단위생산비 | 한국 | 미국 |
X재 | 8명 | 12명 |
Y재 | 9명 | 10명 |
⑴ 비교우위 파악방법
적은 쪽인 한국은 분자재인 X에, 큰 쪽인 미국은 분모재인 Y에 비교우위를 가진다.
⑵ 두 나라 모두 이익이 발생해서 무역이 이루어질 교역조건의 범위는 두 재화의 상대가격비 사이이다.
2) 유형 Ⅱ-생산량 정보일 때
생산량 | 한국 | 미국 |
X재 | 10개 | 10개 |
Y재 | 5개 | 10개 |
⑴ 비교우위파악 :
이므로 한국은 분자재인 X재에, 미국은 분모재인 Y재
에 비교우위가 있다. 생산량 정보일 때는 상대가격비를 구성할 때 두 재화의 생산량 숫자를 역으로 활용한다.
⑵ 쌍방 이익되어 무역이 이루어질 교역조건 범위 :
42. 교역조건 파악
1) 수식으로 파악
수입량지수 수출가격지수 PX
수출량지수 수입가격지수 PY
(총교역조건) (상품교역조건)
2) 교역조건이 유리해지는 구체적 예들
⑴ 수출재의 국제가격 상승
⑵ 수입재의 국제가격 하락
⑶ 수출재의 국내선호 증가
⑷ 수입재의 국내선호 감소
⑸ 수입관세 부과(수입대국일 경우) 등
3) 교역조건이 불리해지는 구체적 예들
⑴ 위와 역의 현상
⑵ 환율상승(수출재가격 하락, 수입재가격 상승)
⑶ 경제성장, 국민소득 증가 → 수입선호 증가 등
43. 환율결정 메커니즘
변동환율제도하 → 외화수급균형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온갖 형태의 외화유출과 중앙은행의 외화매입은 외화의 수요에 해당하고 온갖 형태의 외화유입과 중앙은행의 외화매각은 외화의 공급에 해당한다.
외화의 수요가 증가하면 환율은 상승(평가절하)하고 외화의 공급이 증가하면 환율은 하락(평가절상)한다.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용-전기제어공학공식 (0) | 2014.06.07 |
---|---|
카프카의 <변신>::실존주의 문학.줄거리 (0) | 2014.04.20 |
장학- 개념. 발달과정 (0) | 2014.04.13 |
대기오염 (0) | 2014.03.27 |
토양생태계와 농업 (0) | 201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