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휘론 - 방언(方言)
방언(方言)
국어 어휘론
목차
1. 방언의 개념
방언이란?
방언의 종류
표준어와 방언
2. 방언의 사용
3. 방언 연구의 의의
4. 참고문헌
1. 방언의 개념
(1) 방언이란?
일정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지역적, 또는 사회적인 언어의 종류로 일정한 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
한 언어가 내적•외적 요인에 의하여 지역적•사회적으로 분화되었을 때, 그 지역이나 사회의 언어 전체를 가리킴
(2) 방언의 종류
지역적 방언 : 산맥, 강 등의 지리적•자연적 여건에 의하여 생기는 지역 간 언어의 차이 예) 전라도 방언, 경상도 방언 등
사회적 방언: 사회•문화적 요인, 계층이나 세대 차이 등에 의하여 생기는 사회 집단 간의 언어의 차이 예) 수라, 용안, 지밀 등 – 궁중에서의 사회적 방언
(3) 표준어와 방언
모든 언어는 방언으로 구성됨
일반적으로 표준말=서울말이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서울말은 서울 지역의 방언일 뿐. 사투리=방언이라는 인식도 잘못된 것
한 언어의 표준어는 단일한 의사소통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표준어도 그 언어의 방언의 한 종류
2. 방언의 사용
경상도 문디와 전라도 깽꺵이
경상도 – 보리 문디
전라도 – 깽깽이
충청도 – 핫바지
강원도 – 감자 바우
서울 – 뺀질이
지역별 사투리 사례 – (1) 제주도
(1) 경상도 – 보리 문디
- ‘보리 먹고 사는 문디’ 를 줄여서.
- 보리 문디는 지역적 특성+ 인상적인 언어적 특성
- ‘보리’는 ‘보리를 먹고 사는 사람’으로
가난한 시골 사람의 뜻.
- ‘문디’는 ‘나병으로 얼굴이 문드러진 사람’으로
못생긴 사람, 인간 이하의 사람이라는 뜻.
- 비하적 말이 관습적으로 굳어져 보통말로
쓰이고 있음
(2) 전라도 - 깽깽이
- 전라도 말의 언어적 특성에서 비롯됨.
- 전라도 말은 말끝이 ‘-당께’,’-께라우’와 같은 특이한 씨끝이 많다.
- 이러한 씨끝중에서 인상적인 ‘-께’가 자주 반복된다는 뜻에서 ‘깽깽이’로 불리고 있다.
(3) 충청도 - 핫바지
- 원래 겨울에 입는 ‘솜을 둔 바지’에서 유래함
- 바지에 솜을 두면 모양이 나지 않을 뿐더러 입었을 때 어딘가 둔해 보이고 답답해 보인다. 이처럼 핫바지는 핫바지 같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촌스러운 사람’, ’시골 사람’, ’무식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 핫바지는 충청도 사람들이 시골 사람으로 행동이 세련되지 못함을 빗대어 표현한 말.
(4) 강원도 – 감자 바우
- 원래 ‘감자 바위’의 경상도식 발음에서 유래한 것.
- 강원도는 산이 많아 감자를 주로 재배하고 감자를 주식으로 하는 특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
- ‘감자바우’에서 ‘바우’는 흔히 특정 지역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임.
- 즉, ‘감자 바우’는 ‘감자 먹고 자란 사람’에서 나온 말로 시골 사람이라는 뜻.
(5) 서울 – 뺀질이
- 사람을 ‘뺀질이’나 ‘깍쟁이’로 부르는 이유는, 그 사람들의 성격적 특성에서 유래한 것.
- ‘서울 내기 다마내기’로 놀려대던 시절에는 다마내기(양파)가 뺀질이를 뜻한다.
- ‘양파처럼 뺀질거린다’는 뜻에서 ‘뺀질이’가 나온 것인지 뺀질이가 양파의 모습으로 비유된 것인지는 알 수 없음
뺀질이는 자기 일만 챙기고 다른 일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 이기적인 사람이란 뜻에서 생긴 말이다.
사투리의 특성
- 지역별 차이의 이유는 뭘까?
- 경상도 지역은 높낮이를 주로 사용하는 언어이고, 전라도는 높낮이 대신에 길이를 사용하는 언어라는 특이성이 두 지역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인.
- 높낮이는 투박하게 들리지만 경제적이고 길이는 부드럽게 들리지만 가볍게 여겨지는 것이 보통.
-보통 전라도 사람은 서울에 살면 쉽게 서울말로 바꾸는 간사한 점이 있고 경상도 사람은 융통성 없이 자기 말을 지킨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언어의 본질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사람의 편견이다.
사투리의 특성
- 우리말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동편은 높낮이, 서편은 길이가 주로 언어를 구별하는데 쓰임. 동편은 산간 지방이라 말소리가 크고 끊고 맺음이 확실해야 그 말이 멀리까지 잘 전달되며, 서편은 넓은 평야가 많아 힘들여 끊어 발음할 필요가 없어 말이 길어지게 된다.
- 판소리의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 하는 노래의 특성도 동서의 지역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 동해안으로 길게 늘어진 높낮이 때문에 경상도나 강원도, 함경도 사람들은 높낮이로 언어를 구별하는 일종의 동류인식을 가짐.
- 전라도 평야 지역을 중심으로, 충청도 , 경기도 등의 지역은 길이가 주로 쓰이기 때문에 서로간의 언어를 배우기 쉽다.
(경상도 사람이 서울말을 배우는 것은 높낮이를 길이로 바꾸는 힘든 일이지만 전라도 사람이 서울말을 배우는 것은 길이를 조금 변화하는 일이므로 그리 힘들지 않다. )
‘어머나’의 사투리 개사
어머나, 어머나, 이러지 마세요./ 여자의 마음은 갈대랍니다./ 안 돼요, 왜이래요, 묻지 말아요 / 더 이상 내게 물으시면 안 돼요 / 오늘 처음 만난 당신이지만 내 사랑인걸요. / 헤어지면 남이 되어 모른 척 하겠지만 / 좋아해요. 사랑해요. 거짓말처럼 당신을 사랑해요 / 소설 속의 영화 속의 멋진 주인공은 아니지만 괜찮아요 / 말해 봐요 당신 위해서라면 다 줄게요
‘어머나’의 사투리 개사
워메에~ 워메에~ 이라지 말랑께 / 가시나 맴은 갈대랑께 / 안 되는디 왜 이러는디 잡찌 말랑켕께~ / 더 이상 내게 기대믄 골란하당께 / 오늘 처음 만난 당신이지만 내 사랑인디요 / 헤어지믄 남이 되어 모른척 할라고야 / 좋아부요 사랑한디 허벌나게 당신을 사랑한당께요 / 소설맹키로 영화맹키로 멋진 주인공은 아닌디요 괜찮당께 말혀보씨요 나를 위해서라믄 다준당께요
‘어머나’의 사투리 개사
아유~ 아유~ 이러지 마셔유 / 기집애 맘은 갈대라쟈뉴 / 안된다자뉴 왜이랴~ 잡지 말랬자뉴 / 위찌되던지간에 나한테 더 물으시면 안 돼유~ / 오늘 첨 만난 당신이지만 내 사랑이구만유. / 갈라지면 남이 되어 모른 척 해뻔지겠지만 / 좋아햐~ 사랑햐~ 꽁갈처럼 당신을 사랑해유 / 소설 속에 영화 속에 멋진 주인공은 아닐티지만 괜찮아유 / 얼릉 말해 봐유/ 당신 위해서라면 까징거 다 줄꺼구만유
‘어머나’의 사투리 개사
와 와 이라지 말라카이 / 가스나 마음은 갈대라카이 / 안된다안하나 와이카노 잡지 말라카이~ / 더 이상 내한테 물으시며는 안댄다카이 / 오늘 첨으로 만난 니지만 내 사랑이라 안하나 / 헤아지면 남이 되어 모른척 해불끼지만 / 좋아한다 내캉살자 거짓말처럼 니 사랑한다안카나 / 소설속에 영화속에 멋째이 주인공은 아이지만서도 / 게안타카이 / 말해보거래이 니가 잘 된다카믄 내는 다 주께!
*참고- (경상도) “가”의 의미
3. 방언 연구의 의의
19세기 후반에 들어와 고대어-현대어 간의 역사 연구에 대한 관심 증가
→현대의 과학적 방언 연구 시작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교통•통신 발달→지역 간 방언의 차이가 점점 사라져감→언어의 지리적 차이가 언어학적으로 의미가 없다는 회의적 관점 등장
하지만 최근 다시 방언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됨
- 방언은 옛 고유어의 형태가 보존되고 있는 경우가 많음→다양한 어휘의 어원 추정 가능
- 고유의 독자적 체계를 가지고 있음
▶방언 그 자체로 독자적인 존재 가치 인정
현대 국어의 전통적 방언은 약 10년 후에 대부분 소멸될 단계에 있음
산업화 시작된 1970년대 이후 인구의 도시 집중→방언 전수의 토대가 되던 대가족제도 붕괴→전통적 방언의 전수 중단
방언은 전통적 어휘와 표현을 담은 자연어로서의 현대 국어
국어의 어휘론, 음운론, 형태론 등 광범위한 연구를 위한 실증적 자료
▶방언 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문화를 보존함과 동시에 국어 연구의 실증적 자료 수집에도 기여할 수 있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공과 책봉 외교 (0) | 2019.02.25 |
---|---|
友谊的巅峰是25岁......成年人需要新朋友 (0) | 2019.02.25 |
유아 교육 개념 (0) | 2019.01.26 |
나라 조사 - 베트남(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0) | 2019.01.22 |
세계(정치)경제사 - 2차 대전 이후부터 그리스 위기까지 (0) | 201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