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조공과 책봉 외교 형식
조공과 책봉
동아시아, 대립과 전쟁 거듭 다양한 외교 활동 전개→조공과 책봉 대표적
주대 시작, 한대 이후 중국과 주변국 제도화
황제 주변 군주들에게 도장 수여, 지역 국왕 임명(책), 영토 공인하는(봉) 대신 정기적인 조공 의무.
조공 : 제후가 왕에게 정기적 예물(특산물) 납부
책봉 : 왕(천자) →제후 관작 수여, 영토 지배 인정
주의 영역 내 왕과 제후 사이 체결 상하 관계→중국 왕조와 주변국 사이 적용 국제 관계의 형식 아님.
조공.책봉 체제의 성립
한대 : 중원 왕조와 주변국과 외교 관계 체결 시작
한 고조
강력한 군사력의 흉노 패배→ 화친 정책 (형제 관계 체결 → 다량의 공물 제공 조건, 평화 유지
강력한 군사력 보유 흉노족에게 경제적 지원 댓가 우호관계 유지
한 무제 이후
화이관이 정착하면서 주변 약소국과 조공.책봉 관계 체결
왕소군과 한•흉노 외교
한 원제에게 왕소군이라는 궁녀가 있었다. 대부분의 궁녀가 화가에게 뇌물을 주고 예쁜 초상화를 그려달라고 부탁하였으나 소군은 그러지 않았다. 마침 흉노에게 보낼 왕실 여인이 필요해지자, 원제는 궁녀들의 초상화를 보며 제일 못생긴 여인을 지명하였다. 바로 소군이었다.
소군이 흉노 땅으로 떠나는 날, 처음으로 소군의 실제 모습을 본 원제는 그제야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였다. 그녀가 너무도 아름답고 정숙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회란 아무리 빨라도 늦는 법, 그녀는 약속대로 흉노 땅으로 떠났고, 그곳에서 대를 이어 두 선우(왕)의 연지(왕비)로서 일생을 마쳤다. 그녀가 살아 있는 동안 한과 흉노 사이에는 평화가 유지되었다.
한•흉노의 화친 약조와 외교
한의 공주를 흉노 선우에게 의무적으로 출가시킨다.
한은 매년 술, 비단, 곡물을 포함한 일정량의 공물을 흉노에게 바친다.
한과 흉노는 형제의 맹약을 맺는다.
만리장성을 경계로 양국이 서로 상대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는다.
한무제 이후 외교 관계
무제 이후 한=동아시아 강대국 성장
유교적 통치 이념과 화이관, 한의 지배층 저변 확대
주변 국가와 외교관계 체결 조공.책봉 형식 적용 시작
조공과 책봉
한, 직접 지배나 실제 간섭 아닌 형식적 외교의 틀
주변 국가 : 한과 문화, 경제적 교류 통로 적극 활용
일반적 책봉과 조공 체결→ 교역 목적 조공 경우도 있음.
각국 대내외 상황 의거 일정 기간 중단 경우 발생
흉노와 서역 나라 : 책봉 없이 교역 목적 필요 사절 파견
한, 외교 형식<군사적 우위 바탕 직접 통치 선호
고조선 멸망 한4군 설치, 직접 통치 시도
북부 베트남 점령 지배(9개 군현)~응오, 대구월 왕조
조공과 책봉의 실제 내용
한 주변 국가 책봉 : 정치적•군사적 직접 통치능력 부족 결과→ 상대국 존재 현실적 인정
조공.책봉 체제의 실제 내용
한반도, 일본 열도-문화.기술.제도 등 주로 교류
유목 국가-물자교화(유목민과의 전쟁 억제 목적)
의미
종주국과 속국의 상하 관계가 아니라 형식적인 외교의 틀에 불과
주변 국가는 중원 왕조와 문화적.경제적으로 교류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
2. 다원적 외교의 전개
한 멸망 이후 동아시아 국가 새로운 정세 등장
중국, 5호 16국 시대 이후 분열, 동아시아의 주도권 상실
강대국 중심 외교 형식 조공•책봉 관계→ 각국 상호 우호 관계 확인 목적으로 현실적, 다원적 외교 관계 성격 변화
한반도의 삼국 외교 관계
고구려 : 남 북조와 조공.책봉관계 수립, 왜와 우호 관계
백제 : 고구려에 맞서 남조의 제.양과 조공.책봉 관계 체결→왜와 밀접 관계 유지(불교, 학문, 벽돌 등 다양한 문화 전래)
신라 : 백제의 중개로 남조와 조공.책봉 관계 체결→당 제도와 문물 적극 수용, 당과의 관계 바탕 삼국 통일 달성
왜의 외교 관계
중원 왕조의 책봉을 받음(정치 권력의 정당성을 인정받고자 함), 신라.백제와 사절 교환
2. 다원적 외교의 전개
6세기 초 북방 지역 돌궐 성장
북조 : 고구려, 돌궐과 우호 관계 체결 목적 여러 차례 사절 파견
대립 관계 북주와 북제 → 돌궐 공주, 왕후 맞이 경쟁
대내외적 정권의 정통성 확인 및 정치적 입지 확보 목적 조공•책봉 관계 활용
수.당도 초기에는 돌궐에 신하 입장, 조공 사절 파견
남조와 북조 서로 사절 교관
동아시아 국가 체결 조공과 책봉 관계 의미
정치적 상하 관계 의미 아님 → 우호 상징 의례
정치적 필요 따라 여러 나라와 동시 조공•책봉 관계 성립 가능
위진남북조시대 연표
수의 영토
5~6세기경의 동아시아
(3) 당 대의 동아시아
(3) 당 대의 동아시아
(4) 동아시아 국가 사이 외교 관계
고구려
강한 국력 바탕 자신을 천하의 중심으로 인식
독자적 연호(영락) 사용 → 백제와 신라에 조공 요구
백제
마한 일부 남만 호칭 사용, 탐라로부터 조공을 받음(동성왕, 공납과 조세 미납, 탐라 공격 목적 무진주 진주 → 탐라 사신 파견 사죄 중지
일본
7세기 후반 덴무.지토 왕, 일본 국명과 천황 칭호 사용 →조공국의 필요성 대두, 신라와 발해 조공국 간주 외교적 마찰
발해
주변의 말갈 부족(흑수말갈)에게 복속 강요
고구려가 남제로 부터 받은 관직
금 인장
고구려의 남북조 외교
7세기경의 동아시아
당의 영토
흑수말갈
말갈 7부의 하나. 속말말갈 등 다른 6부는 발해 건국 당시 발해와 합류 혹은 포섭되었지만 흑수말갈은 오랫동안 복속되지 않았다.
당이 흑수말갈을 이용하여 배후에서 발해를 공격하고자 획책(이이제이)하는 가운데, 726년 흑수말갈은 발해에는 아무런 통고도 하지 않고 당에 사신을 파견하여 보호를 요청했다. 당은 흑수국을 흑수주로 개칭하고 관리를 파견하고 당의 기미주로 삼았다.
발해 무왕은 당의 배신적인 행위에 분개하여 당을 칠 것을 결심, 먼저 당과 동맹을 맺은 흑수말갈을 쳐 이를 완전히 굴복시켰으며 앞으로 당과 협력하지 않을 것을 다짐받았다(726년).
양직공도
당의 왕희도가 그린 각국 사신
예 빈 도
유교적 세계관과 조공∙책봉의 외교 형식
한 대에는 유교가 가장 중심적인 통치 이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런데 유교에는 하늘[天]이 덕 있는 자를 군주로 삼아 천하를 다스리게 한다는 관념이 있다. 아울러 한 대에는 중국을 문명의 중심지, 즉‘ 중화(中華)’로 보고, 주변의 국가와 민족을 열등한‘오랑캐[夷]’로 보아 주변 국가와 민족을 차별하는 화이관(중화사상)도 체계화되었다.
유교적 세계관과 화이관은 한의 지배층으로 하여금 한의 천자가 한에서뿐만 아니라 한 이외의 지역에 대해서도 통치권을 가지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게 하였다.
세계는 하나의 나라이고, 중국 왕과 주변국 왕의 관계는 나라 안에서의 왕과 제후의 관계와 같다고 여긴 것이다. 그리하여 한은 주변국 왕으로 하여금 예를 갖추어 천자를 뵙게 하는 형식의 국제 관계, 즉 조공•책봉의 외교 관계를 구상하였다.
중국인의 천하관
일본의 남조 조공 책봉 사례
왜의 조공에 관한 것은 『송서』 이외에 『진서』 『남제서』 『양서』에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에 讚․珍․濟․興․武의 5왕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33년, 동진에 왜왕 찬이 조공을 보냄.
송의 순제는 무를 使持節(사지절)都督(도독)倭新羅任那加羅秦韓慕韓(왜.신라.임나.가라.진한.모한)六國諸軍事(6국제군사)安東大將軍(안동대장군)倭王(왜왕)에 제수함.
백제의 남조 조공 책봉의 사례
425년 송 문제는 백제 19대 왕 구이신왕에게 使持節(사지절)都督(도독)百濟諸軍事(백제제군사)鎭東大將軍(진동대장군)百濟王(백제왕)이라고 관직을 제수함.
화 번 공 주
각국의 수도
조공 무역
조선시대에 명나라는 조공 형식 이외에는 모든 외국 무역을 허락하지 않았으며, 그것도 3년에 한 회로 제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더 많은 명나라의 문물을 얻기 위해 1년 3회를 하겠다 하여 하정사(정월 초하루)•성절사(황제의 생일)•천추사(황태자의 생일)에 동지사 추가하였고, 다시 수시로 사은사•주청사•진하사•진위 사•진향사 등의 사신편에 조공품을 보내고 답례품을 받아왔다.
1. 조공과
책봉
외교
형.
.
조공과
책봉
.
동아시아, 대립과
전쟁
거듭
다양한
외교
활동
전
개→조공과
책봉
대표적
.
주대
시작
, 한대
이후
중국과
주변국
제도화
.
황제
주벾
군주들에게
도장
수여
, 지역
국왕
임명
(
책), 영토
공인하는
(봉) 대신
정기적인
조곴
의무
.
.
조곴
: 제후가
왕에게
정기적
예물
(특산물) 납부
.
책봉
: 왕(천자) →제후
관작
수여
, 영토
지배
인정
.
주의
영역
내
왕과
제후
사이
체결
상하
관계→
중국
왕조와
주변국
사이
적용
국제
관계의
형
.
아님
.
조공.책봉 체제의 성립
.
한대 : 중원 왕조와 주변국과 외교 관계 체
결 시작
.
한 고조
.
강력한 군사력의 흉노 패배→ 화친 정책 (형제
관계체결→ 다량의공물제공 조건, 평화 유지
.
강력한 군사력 보유 흉노족에게 경제적 지원 댓
가 우호관계 유지
.
한 무제 이후
.
화이관이 정착하면서 주변 약소국과 조공 .책봉
관계 체결
왕소군과
한·흉노
외교
.
한
원제에게
왕소군이라는
궁녀가
있었다
. 대부분의
궁녀가
화가에게
뇌물읁
주고
예쁜
초상화륹
그려달
라고
부탁하였으나
소군은
그러지
않았다
. 마침
흉노
에게
보낼
왕실
여인이
필요해지자
, 원제는
궁녀들의
초상화륹
보며
제읹
못생긴
여인읁
지명하였다
. 바로
소군이었다.
.
소군이
흉노
땅으로
떠나는
날
, 처음으로
소군의
실
제
모습읁
본
원제는
그제야
자신의
결정읁
후회하.
다. 그녀가
너무도
아름답고
정숙했기
때문이다
. .
러나
후회란
아무리
빨라도
늦는
법
, 그녀는
약속대
로
흉노
땅으로
떠났고
, 그곳에서
대륹
이어
두
선욪
(
왕)의
연지
(왕비)로서
일생읁
마쳤다
. 그녀가
살아
있
는
동안
한과
흉노
사이에는
평화가
유지되었다
.
한·흉노의 화친 약조와 외교
.
한의 공주를 흉노 선우에게 의무적으로 출가시
킨다.
.
한은 매년 술 , 비단, 곡물을 포함한 일정량의 공
물을 흉노에게 바친다 .
.
한과 흉노는 형제의 맹약을 맺는다 .
.
만리장성을 경계로 양국이 서로 상대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는다 .
흉노와 한의 편지 교환
.하늘이 세워준 흉노 대선우가 삼가 (한의) 황제에게 무고하
신가 묻소 . ……
.황제는 삼가 흉노 대선우에게 무고하신가 묻소 . ……
한무제
이후
외교
관계
.
무제
이후
한
=동아시아
강대국
성장
.
유교적
통츶
이념과
화이관
, 한의
지배층
저벾
확대
.
주벾
국가와
외교관계
체결
조곴
.책봉
형.
적용
시작
.
조공과
책봉
.
한, 직.
지배나
실제
간섭
아닌
형식적
외교의
틀
.
주벾
국가
: 한과
문화
, 경제적
교류
통로
적.
활용
.
일반적
책봉과
조곴
체결→
교역
목적
조곴
경우도
있음
.
.
각국
대내외
상황
의거
일정
기간
중단
경욪
발생
.
흉노와
서역
나라
: 책봉
없이
교역
목적
필요
사젅
파견
.
한, 외교
형.
<군사적
우위
바탕
직.
통츶
선호
.
고조선
멸망
한
4군
설츶
, 직.
통츶
시도
.
북부
베트남
점령
지배
(9개
군현
)~응오, 대구웑
왕조
조공과 책봉의 실제 내용
.
한 주변 국가 책봉 : 정치적·군사적 직접 통치능
력 부족 결과→ 상대국 존재 현실적 인정
.
조공.책봉 체제의 실제 내용
.
한반도, 일본 열도 -문화.기술.제도등 주로교류
.
유목 국가 -물자교화(유목민과의 전쟁 억제 목적 )
.
의미
.
종주국과 속국의 상하 관계가 아니라 형식적인
외교의 틀에 불과
.
주변 국가는 중원 왕조와 문화적 .경제적으로 교
류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
2. 다원적
외교의
전개
.
한
멸망
이후
동아시아
국가
새로ㅘ
정세
등장
.
중국, 5호
16국
시대
이후
분엱
, 동아시아의
주도권
상실
.
강대국
중심
외교
형.
조공·책봉
관계→
각국
상호
우호
관계
확인
목적으로
현실적
, 다원적
외교
관계
성격
변화
.
한반도의
삼국
외교
관계
.
고구려
: 남
북조와
조곴
.책봉관계
수립
, 왜와
우호
관계
.
백제
: 고구려에
맞서
남조의
제
.양과
조곴
.책봉
관계
체결
→왜와밀.
관계유지
(불교, 학문, 벽돌
등
다양한
문화
전래)
.
신라
: 백제의
중개로
남조와
조곴
.책봉
관계
체결→당
제
도와
문물
적.
수용
, 당과의
관계
바탕
삼국
통읹
달성
.
왜의
외교
관계
.
중원
왕조의
책봉읁
받음
(정츶
권력의
정당성읁
인정받고
자함
), 신라.백제와
사젅
교환
2. 다원적 외교의 전개
.
6세기초북방지역 돌궐성장
.
북조 : 고구려, 돌궐과 우호 관계 체결 목적 여러 차례
사절 파견
.
대립관계 북주와 북제→돌궐공주 , 왕후 맞이 경쟁
.
대내외적 정권의 정통성 확인 및 정치적 입지 확보 목적
조공·책봉 관계 활용
.
수.당도 초기에는 돌궐에 신하 입장 , 조공 사절 파견
.
남조와 북조 서로 사절 교관
.
동아시아 국가 체결 조공과 책봉 관계 의미
.
정치적상하관계의미아님→ 우호상징의례
.
정치적 필요 따라 여러 나라와 동시 조공·책봉 관계 성
립 가능
위진남북조시대 연표
북위(386-534) 동위(534-550) → 북제 (550-577)
서위(534-556) → 북주 (577-581) →수
송(420-479)→제 (479-502)→양 (502-557)→진 (557-589)
→수의 통일 (589~612)
수의
영토
5~6 세기경의
동아시아
(3) 당
대의
동아시아
.
정세
.
7세기(동아시아
안정→당은
주벾
국가에
자국
중심의
조공.책봉관계
요구),
.
8세기(이후
당의
이상
악화
→토번과
위구르
등
강성
)
.
당
대의
동아시아
외교
관계
.
북방
및
서부
지역
(돌궐, 위구르, 토번)
.
당과
경제적
교류륹
위한
조곴
관계만
맺으려
함
. 당
은
이들
나라에
정치적
영향력읁
행사하지
못함
.
8세기
(안사의
난
) 이후
: 당은
국력이
약해지자
적.
적
화친
추진
(화번공주
파견
)
.
화번
공주
: 중국
정치적
목적
이민족의
군주
출가.
킨
황족의
부녀자
. 토번의
문성
공주
, 돌궐의
의성
공주, 위구르의
함안
공주
등
있음
.
(3) 당 대의 동아시아
.
신라와 발해 , 당 중심 조공ㆍ책봉 관계 수용
.
내부 세력 통합 유지와 주변국 군사적 위협 대처 , 당의 선진
문물 수용 필요 → 이해 관계에 따른 불안정
.
발해
.
초기 (무왕): 당 산둥 반도 공격 , 요서 지역 주도권 다툼
.
문왕 이후 : 당 중심 조공 .책봉 관계 수용→실제적 자국 이
익 가장 우선시 , 독자적 연호 사용
.
일본
.
견수사.견당사 파견 , 당 문화 (당풍)유행, 백제 부흥 운동 지
원군 파견
.
견당사 : 야마토 정권이 당의 발전된 문물을 수용하기 위해
파견한 사신
.
9세기 말 외래 문화와의 접촉 중단 →독자적인 전통 문화 (
국풍)를 만들어감 (헤이안 시대 )
(4) 동아시아 국가 사이 외교 관계
.
고구려
.
강한 국력 바탕 자신을 천하의 중심으로 인식
.
독자적 연호 (영락) 사용 → 백제와 신라에 조공 요구
.
백제
.
마한 일부 남만 호칭 사용 , 탐라로부터 조공을 받음 (동성
왕, 공납과 조세 미납 , 탐라 공격 목적 무진주 진주 → 탐
라 사신 파견 사죄 중지
.
일본
.
7세기 후반 덴무 .지토 왕 , 일본 국명과 천황 칭호 사용 →
조공국의 필요성 대두 , 신라와 발해 조공국 간주 외교적
마찰
.
발해
.
주변의 말갈 부족 (흑수말갈)에게 복속 강요
고구려가
남제로
부터
받은
관직
.고구려는
남조인
남제로부터‘사지절산기
상시도
독영평이주제군사
정동대장군
고려왕
낙랑곴
(使指
節散騎常侍都督營平二州諸軍事征東大將軍高麗王樂
浪公)’이라는
긴
칭호륹
받았다
.
.여기에는
최고
사법권
(사지절)과
고위
문관직
(산
기상시), 영주(요서)와
평주
(요동)에
대한
최고
군
사권(도독
……
제군사
), 고위
무관직
(정동대장군
),
최고
작위
(공)륹
고구려
왕에게
내리고
그의
고구
려
통치권읁
인정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
.남제가
자신의
지배
영역도
아닌
요서
, 요동
땅읁
고구려에
책봉핮
주는
것읁
통핮
, 책봉이라는
것이
상징적인
행위에
불과하였음읁
알
수
있다
.
금
인장
1784년, 후쿠오카에서
한
농부가
발견한
금
도장이다
.
후한의
광무제가
왜의
노국왕에게
내려
준
것으로
보고
있다.
고구려의
남북조
외교
481 년, 고구려가
사신읁
보내
(남제에
) 공물읁
바
쳤다. 북위에도
사신읁
보냈다
. 그러나
(고구려의
)
세력이
강성하여
통제
받지
않았다
. 북위는
사신
의
숙소륹
만들
때
남제
사신의
숙소륹
제읹
크게
만들고
고구려는
.
다음
크기로
하였다
.
489 년, 남제의
사신이
북위에
갔읁
때
고구려의
사신과
나란히
앉게
되었다
. 남제의
사신이“고구
려는
우리
조정에
신하로
따르고
있는데
오늕
감
히
우리와
나란히
설
수
있는가?”라고
항의하.
다.
“남제서”
7세기경의
동아시아
당의
영토
흑수말갈
.
말갈
7부의
하나
. 속말말갈
등
다른
6부는
발핮
건국
당.
발해와
합류
혹은
포섭되었지만
흑수말갈은
오
랫동안
복속되지
않았다
.
.
당이
흑수말갈읁
이용하여
배후에서
발해륹
공격하
고자
획책
(이이제이)하는
가운데
, 726 년
흑수말갈은
발해에는
아무런
통고도
하지
않고
당에
사신읁
파
견하여
보호륹
요청했다
. 당은
흑수국읁
흑수주로
개칭하고
관리륹
파견하고
당의
기미주로
삼았다
.
.
발핮
무왕은
당의
배신적인
행위에
분개하여
당읁
칠
것읁
결심
, 먼저
당과
동맹읁
맺은
흑수말갈읁
쳐
이륹
완전히
굴복시켰으며
앞으로
당과
협력하지
않
읁
것읁
다짐받았다
(726 년).
양직공도
직공도
(職貢圖)는
중국
양나
라
원제에게
조공읁
바치럊
온
외국의
사신들읁
그리고
.
나라의
풍속
등읁
간략히
적은
그림읁
말한다
. 기록읁
보면, 백제에
대핮
마한에서
시작됙
나라이며
, 중국의
요
서
지방읁
차지핮
다스렸다
.
고구려와
말씨
및
옷차림이
비슷하며
, 백제
무령왕은
고
구려륹
크게
격파했다는
사실
읁
알려온
적이
있다”는
등
의
내용이
담겨
있다
.
당의
왕희도가
그린
각국
사신
예빈도
유교적
세계관과
조곴
.책봉의
외교
형.
.
한
대에는
유교가
가장
중심적인
통츶
이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 그런데
유교에는
하늕
[天]이
덕
있는
자
륹
군주로
삼아
천하륹
다스리게
한다는
관념이
있다
.
아울럊
한
대에는
중국읁
문명의
중심지
, 즉‘
중화
(中
華)’로
보고
, 주변의
국가와
민족읁
열등한‘오랑캐
[
夷]’로
보아
주벾
국가와
민족읁
차별하는
화이관
(중
화사상)도
체계화되었다
.
.
유교적
세계관과
화이관은
한의
지배층으로
하여금
한
의
천자가
한에서뿐만
아니라
한
이외의
지역에
대핮
서도
통치권읁
가지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게
하였다.
.
세계는
하나의
나라이고
, 중국
왕과
주변국
왕의
관계
는
나라
안에서의
왕과
제후의
관계와
같다고
여긴
것
이다. 그리하여
한은
주변국
왕으로
하여금
예륹
갖추
어
천자륹
뵙게
하는
형식의
국제
관계
, 즉
조공·책봉
의
외교
관계륹
구상하였다
.
중국인의천하관지도
중국인의
천하관
일본의
남조
조곴
책봉
사례
.
왜의
조공에
관한
것은
『송서』
이외에
『진서』『남제서』『양서』에
나타나
고
있으며
일본에
讚.珍.濟.興.武의
5왕
이
있었다는
것읁
알
수
있다
.
.
433년, 동진에
왜왕
찬이
조공읁
보낽
.
.
송의
순제는
무륹
使持節
(사지젅
)都督(도
독)倭新羅任那加羅秦韓慕韓
(왜.신라.임나
.가라.진한.모한)六國諸軍事(6 국제군사
)
安東大將軍
(안동대장군
)倭王(왜왕)에제
수함.
백제의
남조
조곴
책봉의
사례
.
425년
송
문제는
백제
19대
왕
구이신왕에게
使持節(사지절)都督(도독)百濟諸軍事
(백제제
군사)鎭東大將軍
(진동대장군)百濟王(백제왕)
이라고
관직읁
제수함
.
화번공주
각국의
수도
조곴
무역
.
조선시대에
명나라는
조곴
형.
이외에는
모
든
외국
무역읁
허락하지
않았으며
, 그것도
3
년에
한
회로
제한하였다
.
.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더
많은
명나라의
문물읁
얻기
위핮
1년
3회륹
하겠다
하여
하
정사(정웑
초하루)·성절사
(황제의
생일)·천
추사(황태자의
생읹
)에
동지사
추가하였고
,
다.
수시로
사은사·주청사·진하사·진위
사·진향사
등의
사신편에
조공품읁
보내고
답례품읁
받아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