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치게 장시간 말하거나 노래하지 말 것
넓고 시끄러운 곳에서 큰소리로 말하지 말고 마이크를 사용할 것
공기 나쁜 곳에서 말하지 말 것
: 먼지, 매연, 담배 연기
속삭이는 소리를 내지 말 것
헛기침하거나 목청 가다듬지 말 것
목이 쉬거나, 피곤할 때는 음성 사용을 자제할 것
목에 힘을 주고 말하지 말 것
고함치거나 흥분해서 소리치지 말 것
극단적인 고음이나 저음을 내지말 것
이상한 남의 목소리를 흉내내지 말 것.
점잖은 음성 ?
확실하게 천천히 이야기 할 것.
카페인 음료나 탄산 음료
유제품 섭취를 삼가기
흡연 및 간접 흡연: 점액 분비의 건조
음주:
1. 탈수 유발
2. 음역의 변화
고음역: falsetto가 먼저 안 나온다
저음역: 반음정도 낮아진다.
3. 호흡지속시간의 변화
호기시간의 단축
4. 성대의 변화: 습윤도의 감소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것 : 수면시
물을 충분히 마시도록 할 것
규칙적인 식사시간과 식사량
과식
취침전 2시간 반 ~ 3 시간의 공복
Troche : 살균제 (소독제+항생제), 소염제, 진해제, 흥분제, 진정제, 진통제
무거운 물건을 옮기거나 힘이 많이 들어가는 일을 하지 말 것
습포법을 자주 시행할 것: 1회 3, 4분 정도로 최소 1일 1회 이상 실시하도록
베개를 높이 벨 것: 상체가 높아지도록
호흡
1일 연습량: 평균 30분, 휴식 10분
남자보다 여자가 더 쉽게 피로
1일 3시간 이상, 경력 5년 이하
음성피로:
1) 성대근육의 작업능력 저하
- 질병, 전신적 신경쇠약
2) 발성기관의 기계적 장애
3) 발성법의 결함*
발성법의 결함:
과도한 발성
음성 혹사
성역 외음의 발성
잘못된 호흡법
후두의 위치
입술과 턱의 위치
여성과 생리
1주전부터 성대출혈 가능
모든 질환은 치료보다 예방이 더욱 중요합니다. 따라서 성대질환은 위의 방법으로 목소리를 아낌으로써 대부분 예방이 가능합니다. 결국 올바른 음성습관을 갖는 것이 아름다운 목소리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1. 음성학의 응용
2. 성대의 구조를 그림으로 표시하고 각 구조의 기능을 설명
3. 발성의 원리를 성대 진동의 측면에서 설명
4. 공명강의 구조
5. 구음시 중요한 구조물
6. 객관적 음성검사법을 열거
7. 복식호흡에 대하여 약술
8. 음성의 남용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성대질환
9. 고운 음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피해야 할 사항과 지켜야 할 사항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재산권 (0) | 2016.07.07 |
---|---|
식물의 잎 색소 - 엽록소의 크로마토그래피 (1) | 2016.07.01 |
건강한 다이어트 (0) | 2016.06.24 |
동기부여의 개념-내용이론.과정이론 (0) | 2016.06.20 |
근대 사회의 전개-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0) | 2016.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