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속 소설이란?
주제나 성격묘사보다는 독자의 호기심을 만족시켜 주기 위해 줄거리 위주로 엮어 나가는 데 그 특색이 있다.
문체에 까다로운 점이 없고, 인물이 유형적이며 줄거리나 플롯에도 안이한 점이 드러난다. 그런 뜻에서 통속소설은 대중소설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며 오락소설•중간소설 등이 모두 이 범주에 속한다.
기존 중국 소설과 통속 소설의 차이점
더이상 귀족문학이 아닌 서민문학.
귀족, 명기들 뿐 아니라 다양한 계층 반영.
세밀하고, 생동감 있는 인물묘사, 다양한 인물 구성.
독자층과 작가층이 사대부에서 서민계층으로 옮겨옴.
중국 통속 소설 성행의 배경
상업경제의 발전과 시민계층
의 성장
사상계의 변화와 통속문화의 발전
인쇄술의 발전과 상업출판의 성립
백화소설이란?
백화 즉 구어와 속어체의 문장으로 쓴 소설. 송대 설화인(說話人)들의 설화소설이 그 효시라 할 수 있다. ‘통속문학’으로서 새로운 문학의 개척을 연 소설 장르이다. 원•명 간에 백화소설은 크게 발전하여 중국 장편 소설 가운데 문학적 가치가 높은 것은 대개 백화로 쓰인 것들이다.
우아하고 간결한 문언으로는 담을 수 없는 평민들의 사상과 생활을 표현하는데에 적합하였고 신이한 경험담이나 영웅호걸들의 초인적인 활약상, 재자가인의 달콤한 사랑 등 현실적으로는 경험할 수 없는 평민들의 꿈과 희망을 담기에 적절하였으므로 급속도로 유행하였다.
사대기서인 삼국지연의, 수호지, 서유기, 금병매가 있고 그 외에 홍루몽, 유림외사 등이 있다.
사대기서 (四大奇書)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수호지(水滸誌)》, 오승은(吳承恩)의 《서유기(西遊記)》, 난릉소소생(蘭陵笑笑生)의 《금병매(金甁梅)》의 네 작품을 가리키는 말이다.
명나라에 이르러 점차 발전하게 된 도시상업자본의 사회는 종래의 와시(瓦市:홍행장)에서의 이야기 책 대신, 개인이 집에서 읽을 수 있는 장편소설을 요구하는 추세로 이행하였다. 그와 같은 요구에 따라 작중 인물의 이미지도 명확해지고 주제(主題)도 선명한 일관성을 지니게 되었다. 위에 든 4대 기서는 모두 그와 같은 시기와 요구를 배경으로 하여 나타나게 된 것으로 공통적으로 작중 인물의 행동이나 심리가 재미있게 묘사되어 서민층 사이에서 애독되었다.
三國志演義와 水滸傳
1) 삼국연의 (三國演義)
*작가 : 나관중(羅貫中) / 종류 : 역사소설(歷史小說)
*시대 배경 : 한 영제 중평 원년(184년) ~ 진 무제 태강 원년(280년)
*내용 : 위(魏), 촉(蜀), 오(吳)의 삼국시대 역사를 소설화한 역사소설의 대표작.
*문학적 성과 : 역사소설의 전범, 도원결의(桃園結義), 삼고초려(三顧草廬), 칠종칠금(七縱七擒) 등의 전고(典故).
2) 수호전 (水滸傳)
*작가 : 시내암 (施耐庵) / 종류 : 영웅소설 (英雄小說)
*시대 배경 : 송나라 휘종(徽宗)연간내용 : 수령 송강(宋江)을 중심으로 뭉쳐 의적을 자처하며 산동성 양산 호숫가에 산채를 틀고 양산박(梁山泊)이라고 일컬어 부패한 조정 관료에 반한 108명의 호걸 이야기.
*문학적 성과 : 재야, 민간의 영웅담을 다룬 영웅소설의 대표작. 홍루몽과 함께 중국 양대 장편 명작의 하나.
민간의 욕망과 상상 - 수호전
‘수호전’은 북송 말기에 실제로 존재했던 宋江 등의 무리에 대한 단편적인 기사에서 출발하여, 남송과 원대를 거치며 그 내용과 편폭이 크게 확장된 뒤 대략 원말 명초에 그 대체적인 윤곽이 확정되었다. 송강 등의 전설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다가 남송대에는 문자로 정착되면서 당시 민중들의 중원 회복에 대한 염원과 나약하고 무능한 송나라 조정에 대한 불만이 이야기 속에 스며 들게 된다. 원대에는 직업적인 기예인들에 의해 ‘수호’ 이야기가 잡극의 제재로 채용되면서 문체상으로나 내용상으로나 획기적인 발전을 하게 된다. 오랜 숙성 기간을 거친 ‘수호’ 이야기는 원말명초에 이르러 작가의 손에 의해 장회소설로 정착되었다.
西遊記 와 金甁梅
3) 서유기 (西遊記)
*작가 : 오승은 (吳承恩) / 종류 : 신마소설 (神魔小說)
*시대 배경 : 당대(唐代). 현장법사(玄奬法師)의 인도 여행 당시.
*내용 : 손오공(孫悟空), 사오정(沙悟淨), 저팔계(八戒)세 허구적 인물이 현장삼장법사와 함께 불전을 구하러 서역으로 떠나 도중의 온갖 고난을 이겨내고 목적을 이뤄 부처가 되는 과정.
*문학적 성과 : 이야기의 재미를 깊이 추구한 오락성의 한 모범. 신마소설의 대표작.
4) 금병매 (金甁梅)
*작가 : 소소생 (笑笑生)
*종류 : 세정소설 (世情小說), 인정소설 (人情小說)
*시대 배경 : 표면상으로는 북송(北宋). 내용상은 명대후기(明代後期).
*내용 : 무송(武松)의 형수 반금련(潘金蓮)이 서문경(西門慶)과 몰래 정을 통하고 남편을 살해했다가 나중에 서문경과 함께 무송에게 살해당한다는 내용.
*문학적 성과 : 현실사회의 문제를 생생하게 형상화하고 혼탁한 시대상을 자유롭게 그려내어 설화의 단계를 벗어나 창작의 단계로 접어든 중국 소설사의 한 기점.
민간의 욕망과 상상 - 서유기
통치계급에서 종교를 제창했는데, 특히 삼교합일사상을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명대사상의 해방운동을 들 수 있다. 특히 환상세계에 대한 세인들의 강한 호기심과 변화막측하고 상상을 초월한 엄청난 과장수법을 사용하는 신마소설의 창작기법은 ‘怪力亂神’을 말하지 않는다는 정통유가문예관을 강력하게 흔들어 놓았다. 불‧도 양교가 성행하는 명대사회에서 낭만주의사조의 발흥과 시민계층의 신화에 대한 관심 등의 여러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여 신마와 괴이를 제재로 하는 소설의 대량 창작을 촉진시켰다.
민간의 욕망과 상상 - 금병매
정치. 경제적 측면 : 명대는 통치계급 내부의 다툼이 격렬하여 관직에 있는 사람은 아침과 저녁의 운명을 보장받지 못할 정도로 화를 입을까 두려워하는 분위기였다. 경제적으로 명대에 상품경제가 발달하므로써 시민경제가 활발해지면서 시민의식이 고개를 들기시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重商, 重利, 重財하려는 사회의 일반 심리는 사치풍조와 퇴폐풍조를 성행시켰으며, 봉건예의 질서와 인간 고유의 도덕 관념이 모순 충돌되기에 이르렀다.
철학적 측면 : 명중엽에서 만명까지의 시기는 명대에 상업이 번영하고 정주의 관방 이학에 도전하는 주정적(主情的) 자유인성론이 대두한 계몽주의의 시대이다. 정치와 경제의 급격한 변화는 직접 간접으로 의식 형태의 영역에까지 파급되었는데, 사상가들은 이러한 변동을 민감하게 자각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흐름은 왕양명 좌파라는 흐름이다. 그것은 인간의 가치를 강조하고 개선존중을 요구하며, 인정과 인욕을 긍정하자는 것이었다.
儒林外事와 紅樓夢
1) 유림외사 (儒林外史)
*작가 : 오경재 (吳敬梓) /
*종류 : 풍자소설 (諷刺小說)
*시대 배경 : 청대(淸代)당시.
*내용 : 당대 지식층들의 뒷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가문의 명예를 위하여 일부러 과부가 된 딸을 자결시켜 열녀문을 세우는 등 유림(儒林 : 유학자 집단)의 비리를 묘사.
*문학적 성과 : 날카로운 풍자에 해학을 섞어 당시 사대부 사회의 이면을 생생히 그려냄. 짧은 이야기들이 파노라마식으로 연결되는 독특한 구성 방식. 청대 풍자 소설의 대표작.
2) 홍루몽 (紅樓夢)
*작가 : 조설근 (曺雪芹)
*종류 : 인정소설 (人情小說)
*시대 배경 : 시대 및 지리적 배경은 드러나지 않음.
*내용 : 가(賈)씨 집안의 흥망성쇠와 함께 가보옥(賈寶玉), 설보채(薛寶釵), 임대옥(林黛玉)세 젊은 남녀와 사랑과 이별, 결혼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음.
*문학적 성과 : 중국 소설의 대표작. 중국 전통의 모든 문학 장르를 하나의 소설 문체 속에 용해해 냄. 중국 봉건 사회의 실상을 풍부한 기교와 다양한 이야기 구조의 결합을 통해 깊이있게 묘사하였으며, 이러한 특질로 인해 많은 해석이 존재.
민간의 욕망과 상상 – 유림외사와 홍루몽
‘유림외사’는 풍자소설의 대표답게 명대의 과거제도를 통렬하게 공격하고 있는데, 사실은 청대의 과거제도를 가리킨 것이다. ‘유림외사’의 작중인물은 대부분 실존했던 모델이다.
청왕조는 ‘康乾盛世’를 맞이하여 사회적으로 번영의 국면을 달린다. 그러나 성세의 이면에서 비록 표면화되지는 않았으나 통치집단 내부의 갈등, 계층간의 갈등, 사상간의 갈등이 점차 심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에 창작된 ‘홍루몽’은 명말청초에 발달한 인정소설의 기반 위에 지어진 거대한 누각이라고 할 수 있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대기서와 당대 전기 소설 (0) | 2017.06.13 |
---|---|
사회적 합의에 기초한 인터넷 자율규제 시스템 도입 필요성 (0) | 2017.06.05 |
Argentina 아르헨티나 - 나라조사 (0) | 2017.05.14 |
투명성 퀴즈 (0) | 2017.05.07 |
중학교 - 힘과 운동 (0) | 2017.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