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854385552A8F8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080385552A8FB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2F9385552A8FD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5DF385552A8FF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BBD385552A901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83F385552A902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914385552A905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17C385552A907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9CE385552A909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F5E385552A90B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E29385552A90C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E52385552A90E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86B385552A911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81F385552A913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5DA335552A9153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FB7335552A91A3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50E335552A91C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63B335552A91E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E5F335552A9203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425335552A922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7DA335552A924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FD73B5552A926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9DD3B5552A927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2EF3B5552A92A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AAC3B5552A92C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C033B5552A92E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F063B5552A930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D3F3B5552A932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F063A5552A934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8193A5552A937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C0F3A5552A939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1F83A5552A93C0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9833A5552A93E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3593A5552A940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FDE3A5552A941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729345552A943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AC4345552A945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284345552A9470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FBD345552A949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072345552A94A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13E345552A94B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B4B345552A94D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1CC4B5552A950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AE44B5552A951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8A64B5552A9533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0FE4B5552A956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D6F4B5552A959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6744B5552A95B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8164B5552A95D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6864C5552A95F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92D3C5552ABCE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67C3C5552ABD0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04A3C5552ABD2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2653C5552ABD4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EEC3C5552ABD60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E133C5552ABD9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D083C5552ABDB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E09375552ABDC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F45375552ABDE4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C1C375552ABE0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E0C375552ABE1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D84375552ABE3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731375552ABE5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82E375552ABE7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F5A395552ABE9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8EB395552ABEC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681395552ABEF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340395552ABF1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5C1395552ABF3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E11395552ABF5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E58395552ABF8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C3B355552ABFA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20B355552ABFC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067355552ABFE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748355552ABFF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294355552AC01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663B355552AC04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614355552AC072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085365552AC0A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420365552AC0D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984365552AC0E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038365552AC10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93F365552AC11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012365552AC14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ADA365552AC15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913385552AC173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2C6385552AC19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21A385552AC1B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158385552AC1F2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145385552AC22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E87385552AC241C)
목차I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Ⅱ산소의특성Ⅲ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Ⅳ밀폐공간에서의건강장해Ⅴ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Ⅵ보호구의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Ⅶ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목차I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Ⅱ산소의특성Ⅲ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Ⅳ밀폐공간에서의건강장해Ⅴ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Ⅵ보호구의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Ⅶ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밀폐공간
1.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
.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
는
장소
.
출입구의
크기가
제한적이고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공간
.
탱크, 용기, 사일로, 호퍼, 저장용
창고
,
핏트
등이며
근로자가
계속해서
머무를
수
없는
공간
.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에서
정한
장소
1.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1.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
적정한
공기
.
산소농도
: 18% 이상
23.5% 미만
.
탄산가스
: 1.5% 미만
.
황화수소
: 10ppm 미만인
수준의
공기
유해가스
.
밀폐공간에서
탄산가스
,
황화수소
등의
유해물질이
가스상태로
공기
중에
발
생되는
것
1.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1.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
출입허가가
필요한
밀폐공간
.
공간내의
공기가
정상적이지
않은
위험한
공기를
함유
.
출입자를
위험에
빠뜨릴
잠재적인
유해물질이
있음
.
내부의
벽이나
바닥이
경사가
졌고
좁은
통로로
인하여
출입자가
함정에
빠지거나
질실
할
수
있게
된
내부
지형
.
기타의
안전상
위험이
존재하는
공간
출입
허가가
필요하지
않은
밀폐공간
.
사망의
원인
또는
심각한
신체적
장애를
줄
수
있는
잠재
적인
유해
, 위험이
들어있지
않은
밀폐공간
위험공기
1.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
.
근로자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급성질환
, 상해,
자신을
구출할
능력을
상실하거나
무능력해지거나
, 사망
에
빠질
수
있는
환경
또는
공기조건
-가연성농도
하한치
(Lower flammable limit) 10% 를초
과하는
가연성
가스
, 증기
또는
미스트가
함유된
공기
-가연성농도
하한치에
달하거나
초과할
농도에
있는
연
소성
분진
-산소농도가
18% 미만이거나
23.5% 이상인
경우
산소결핍
1. 산소결핍관련용어정리
.
공기중의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상태
산소결핍증
.
산소가
결핍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생기는
증상
.
공기는
산소가
약
21%, 질소
78%, 그리고
이산화탄소
,
아르곤, 헬륨
등이
약
1%정도로
구성
.
산소농도가
16% 이하로
저하된
공기를
호흡하면
빈맥
및
빈호흡
, 구토,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남
.
10%이하가
되면
의식상실
, 경련, 혈압강하, 서맥을
초래
산소의
성질
2. 산소의특성
.
원소기호 O, 주기율표 6B족에 속하는 산소족 원소
.
원자량 15.999, 원자번호는 8이며, 녹는점 -218.4℃,
끓는점 -182.94℃
.
비중은 액체일 때 1.141(측정온도 -183℃), 고체일 때
1.426(측정온도 -252℃)이며 , 기체의 밀도는 0℃, 1기압
에서 1.4289g/㎥
.
산소는 상온 , 상압에서 무색 , 무미, 무취의 기체이고 물
과 알코올에 녹으며 산소 자체는 가연성이 아니나 다른
물체의 연소를 돕는 원인물질
산소의
용도
2. 산소의특성
.
흑색봄베에
충진
, 산소.아세틸렌
불꽃의
조연제로
금속재
료의
용접
.용단에
이용
.
의료용으로
약
50% 산소에
1∼5%의
탄산가스를
혼합한
것이
산소흡입에
이용
.
고압산소요법으로
100% 순산소의
이용도
행하여
짐
.
산소농도가
상온에서는
6%, 고온일
경우
17% 이하가
되
면
불꽃은
꺼지게
되며
사람은
생명의
위협을
느낌
.
산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물체는
발화가
쉽게
되고
연소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화재가
발생되므로
사고의
위험
성을
방지하기
위해
산소의
농도를
30% 이하로
유지
인체에서의
역할
2. 산소의특성
.
성인은
안정상태에서
0.2∼0.3ℓ/min의
산소
소비
. 뇌는
하루에
약
100ℓ(전신의
약
25% 정도) 정도의
산소
소모
.
산소공급
감소
시
뇌는
활동을
잃게
되며
, 무산소일
경우
순간적으로
뇌의
활동은
정지
, 2분이
경과되면
대뇌피질
세포가
비가역적인
붕괴를
일으켜
6∼8분만에
사망
.
높은
곳에서는
대기압의
저하에
따른
산소분압
저하로
호흡에
의한
산소섭취가
곤란
.
해발
3,000m 이상의
고소지역에서는
호흡
, 순환의
기능
이
왕성하여
혈액
중에
적혈구
, 헤모글로빈이
증가하여
고소거주에
적합하도록
순응이
됨
산소의
분압
및
농도
2. 산소의특성
.
공기
중
산소는
기온에
따른
증기압의
변동에
따라
변함
산소분압(㎜Hg) = 기압(㎜) ×
산소농도
(%)/100
.
산소농도가
같다면
분압은
기압에
비례
【예제】고도
해발
0m, 1 기압(760㎜Hg)일
때
산소농도는
약
21% 이다. 산소분압은?
【답】
159.6㎜Hg = 760×21/100
산소의
분압
및
농도
2. 산소의특성
.
1기압
하에서
산소농도로
눈금을
새긴
산소농도계를
가
압
또는
감압하는
장소에서
사용하면
같은
농도라도
기
압에
비례한
지시를
나타냄
.
산소농도계의
지시
(%)
= 실제의
산소농도
(%) ×
절대기압
(기압)
.
여기서
절대기압은
게이지압력에
1기압을
더한
수치
.
가압
중일
경우
산소농도
(%)
= 산소농도계의
지시
(%)/게이지압+1(기압)
산소의
자연소모
2. 산소의특성
.
저장용
탱크
등
소재의
산화
, 저장이나
운반중인
물질의
산화
및
건성유에
의한
산소소모
.
식물의
호흡작용으로
인한
산소소모
.
미생물의
증식
및
유기물의
부패
.
지하수나
우물물에
용존산소가
부족하여
공기
중
산소가
물속으로
용해되어
산소결핍상태가
됨
.
2. 산소의특성2. 산소의특성
인체의
산소소비
.
신체내의
모든
세포활동은
혈액에
의해
공급되는
포도당
에서
만들어지는
ATP 라는
형태의
에너지
발생원에
지배
되며
그
생성에는
산소를
필요로
함
. 즉
ATP 생성에는
산
소의
공급이
필수적이며
산소소비량은
생체내의
각
조직
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
.
각
조직의
산소
소비량
구분2. 산소의특성
산소소비량
(㎖/min/g of tissue)
정
지
시
활
동
시
뇌(깨어있을
때
) 0.96 8.0
뇌(마취
중에
있을
때
) 1.39 -
분비선
0.03 0.1
골격근(신경제거) 0.006 0.02~0.08
골격근(긴장시의
근육
) 0.007 0.02~0.08
심장근육
0.007 0.05~0.08
평활근
0.004 0.007
인체의
산소소비
2. 산소의특성
.
근육에는
헤모글로빈과
비슷한
마이오글로빈이
있어
혈
액에서
산소를
빼앗아
저장하는
성질이
있음
.
.
예로써
폐포공기의
산소분압이
40㎜Hg로
저하됐을
때
,
혈액
중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도
(결합도)는
66%밖에
되지
않으나
근육의
마이오글로빈은
헤모글로빈이
가지
고
있는
부족한
산소를
빼앗아
94%까지도
포화돼
버림
.
.
산소결핍의
경우
근육을
많이
사용할
때
산소결핍증은
중증화되기
쉽고
, 뇌는
활동을
정지하고
있어도
심장이
계속
움직이는
것은
마이오글로빈
때문
.
2. 산소의
특성
각종
활동
시의
산소소비량
(68㎏
성인남자의
예
)
조
건
에너지소비량
(㎈/min)
호흡량산소
(ℓ/min)
소비량
(ℓ/min)
누워있을
때
1.15 6 0.24
앉아있을
때
1.44 7 0.30
서
있을
때
1.72 8 0.36
천천히
걷고
있을
때
(3㎞/hr) 3.13 14 0.65
걷고
있을
때
(6㎞/hr) 5.76 26 1.20
달리고
있을
때
9.60 43 2.00
최대활용
14~20 85~90 3~4
물질의
산화작용
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
.
저장용
탱크
등
소재의
산화
.
철재의
보일러
, 탱크, 방응탑, 압력용기, 가스
홀더
, 반응
기, 추출기, 분리기, 열
교환기
, 선창, 선박의
이중저
등
의
내부
.
저장
또는
운반
물질의
산화
.
탱크, 호퍼, 사일로, 유개화차
등의
내부
.
건성유의
산패
.
건성유를
사용하여
도장한
환기가
불량한
장소
, 식물성
기름저장탱크
등의
내부
미생물의
호흡작용
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
.
미생물의
산소
소비량을
비교하여
보면
생체
1㎏(수분제
외)이
섭씨
30도
부근에서
1시간에
소비하는
소비량은
사람의
몇
배로부터
최고
6000배까지
산소를
소모시키
는
것도
있음
.
.
이런
점을
이용하여
발효식품
, 의약품(페니실린. 스트렙
토마이신)의
제조와
폐기물처리
(하수, 분뇨, 매립)를하
고
있음
.
미생물의산소소비량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생체소비량사람200 ㎖원생동물(Paramecium) 500 ㎖사상균(lusarium) 10,000 ㎖조류(Chlorella) 40,000 ㎖세균(Azotobacter) 1,200,000㎖미생물의산소소비량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생체소비량사람200 ㎖원생동물(Paramecium) 500 ㎖사상균(lusarium) 10,000 ㎖조류(Chlorella) 40,000 ㎖세균(Azotobacter) 1,200,000㎖
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
미생물의
증식
.
탱크, 선창, 조, 관, 암거, 맨홀, 하수구
또는
핏트
.
세균의
증식에
따른
산소의
소비로
이산화탄소
, 메탄, 황
화수소
등의
발생을
동반함
.
유기물의
부패
.
케이블, 가스관용의
또는
우수
, 유수
등이
체류했던
암거
, 맨홀
또는
핏트의
내부
.
.
신설맨홀에서는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산소
결핍, 유해가스
발생이
비교적
단시간에
일어나며
형틀
을
떼어내기
위해
들어간
근로가
위험에
빠질
수
있음
.
미생물의
발효
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
.
탱크, 항온실, 또는
양조조
(간장, 식초)의
내부
절임식품, 야채, 곡물
등의
호흡작용
.
단무지와
오이지
저장조
, 야채
항온실
, 사일로, 창고, 선
창의
내부
목재의
호흡작용
.
선창, 호퍼
등의
내부
각종
탱크나
밀폐된
방
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
.
냉장, 냉동, 항온실, 탱크, 보일러, 압력용기, 반응탑
등
지하수의
산소소모
.
상수도의
지하
집수지
, 수력발전소의
취수구
, 용수가
풍
부한
지하터널이나
맨홀
등의
내부
우물
.
산소용해, 미생물의
호흡
, 지질에
따른
산소흡수
, 토사층
으로부터의
산소결핍공기의
유입
등
복잡한
원인에
의한
산소결핍이
발생
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
치환용
가스의
사용
.
화재.폭발예방을
위한
질소
등의
봉입
-질소치환을
실시하는
반응탑
, 배관
등에서
화재
.폭발
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질소
등으로
공기를
치환하는
대
책을
실시
.
산화, 흡착, 재
용해의
방지
-입자상의
화학제품이나
산소를
흡수하는
식물성
기름
과
같은
물질은
산화에
의한
변질이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공간에
질소를
봉입하거나
용수에
녹아있는
산소를
제거하고
산소의
재
용해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를
봉입
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3. 산소결핍발생원인과장소
냉각제의
사용
.
액체질소, Dry ice 를
사용하는
냉동고
, 컨테이너
등
.
저온을
유지하기
위해
냉동고
내에
Dry ice 를
넣거나
액
체질소를
직접
살포
가스의
분출
, 돌출
.
터널공사, 탄광
내에
대량의
메탄이나
이산화탄소가
돌
출하여
산소결핍사고가
일어남
.
메탄, 이산화탄소를
용출하는
광산
, 탄광, 지층의
수직갱
, 핏트
등의
내부
, 이산화탄소, 프레온
등의
소화설비를
갖춘
지하실
, 지하주차장, 선실, 탱크, 핏트
등의
내부
4. 밀폐공간의건강장해산소부족과생체반응산소농도(%) 영향과증상(정상기압)
15~19
열성적인업무능력감소, 신체기능조절손상및심장, 폐,
순환기장해자초기증상유발12~14 호흡수증가, 맥박증가. 기능조절, 지각, 판단력의손상10~12 호흡이더욱빠르고깊어지며판단력저하, 청색입술8~10
정신혼미, 어지럼증, 의식상실, 안면창백, 청색입술, 욕지기와구토6~8
8분내100%치명적. 6 분내50%치명적. 4~5분내치료로회복가능4~6 40초내에혼수상태, 경련, 호흡정지, 사망4. 밀폐공간의건강장해산소부족과생체반응산소농도(%) 영향과증상(정상기압)
15~19
열성적인업무능력감소, 신체기능조절손상및심장, 폐,
순환기장해자초기증상유발12~14 호흡수증가, 맥박증가. 기능조절, 지각, 판단력의손상10~12 호흡이더욱빠르고깊어지며판단력저하, 청색입술8~10
정신혼미, 어지럼증, 의식상실, 안면창백, 청색입술, 욕지기와구토6~8
8분내100%치명적. 6 분내50%치명적. 4~5분내치료로회복가능4~6 40초내에혼수상태, 경련, 호흡정지, 사망
4. 밀폐공간의
건강장해
산소결핍에
대한
사람의
반응
4. 밀폐공간의건강장해4. 밀폐공간의건강장해
무산소공기
1회
호흡의
위험성
.
무산소
공기
호흡
시
호흡중추
를
자극
, 흉부확장으로
호기가
불가능해짐.
.
폐
중
산소는
무산소
공기로
점차
희석되어
폐
내의
산소분
압이
떨어지고
저하된
혈중
산소분압은
그대로
뇌로
이송
.
뇌의
활동저하
또는
정지로
이
어짐.
.
이런
반응은
무산소
공기를
흡
입한
후
2초
이내에
일어남
.
호흡정지시간과소생률과의관계
1009892725025001020304050607080901000123456소생률(%)
호흡정지시간(분)
대뇌피질세포활동회복가능한계시간4. 밀폐공간의건강장해
.호흡정지시간이6분이상되면소생가망없음.
.구조된경우에도언어장해,
운동장해, 시야협착, 마취, 환각, 건망증, 성격이상및노이로제등의후유증이남게되므로사후관리가필요.
.후유증은10~20% 의저산소공기에장기간노출된경우에도잔존할가능성이있음.
호흡정지시간과소생률과의관계
1009892725025001020304050607080901000123456소생률(%)
호흡정지시간(분)
대뇌피질세포활동회복가능한계시간4. 밀폐공간의건강장해
.호흡정지시간이6분이상되면소생가망없음.
.구조된경우에도언어장해,
운동장해, 시야협착, 마취, 환각, 건망증, 성격이상및노이로제등의후유증이남게되므로사후관리가필요.
.후유증은10~20% 의저산소공기에장기간노출된경우에도잔존할가능성이있음.
질식성
가스의
유해성
4. 밀폐공간의건강장해
.
질식
-생체
또는
조직에
산소결핍이나
탄산가스의
과잉
으로
일어나는
상태
.
질식제
-조직내의
산화작용을
방해하는
화학물질
.
단순
질식제
-가스
자체는
독성이
없으나
공기
중에
많이
존재하면
산소분압을
저하시켜
조직에
필요한
산소공급의
부족
을
초래하는
물질
-H2, N2, He, CH4, C2H6, CO2 등
질식성
가스의
유해성
4. 밀폐공간의건강장해
.
화학적
질식제
-혈액중의
혈색소와
결합하여
산소운반능력을
방해
, 조
직중의
산화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질식작용
▶
혈액중의
산소운반능력을
방해하는
가스
-CO, 아닐린, 니트로소아민, 아비산(AsH3) 등
▶
조직으로
산소배분을
저해하는
화학물질
-황화수소(H2S), 오존(O3),염소(Cl2). 포스겐(COCl2)
4. 밀폐공간의건강장해4. 밀폐공간의건강장해
질소(Nitrogen, N2)
.
무색, 무취의
불활성
가스
.
공기보다
약간
가벼움
아르곤(Argon, Ar)
.
무색, 무취의
불활성
가스
.
공기보다
무거움
4. 밀폐공간의
건강장해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₂)
.
무색, 무취의
비연소성
가스
.
공기보다
무거움
.
보통
고체이고
가압
시
액체형태
.
탄산염화작용, 불활성
.
유기물
부패
(하수구, 저장창고, 우물)
.
발효(침지, 당밀핏트, 맥주
통
)
.
TWA=5,000ppm, STEL=30,000ppm
.
LEL=none
4. 밀폐공간의건강장해4. 밀폐공간의건강장해
메탄(Methane, CH₄)
.천연, 습지, 늪
가스
.무색, 무취의
가연성
가스
.공기보다
가벼움
4. 밀폐공간의
건강장해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CO)
.
무색, 무취의
가스
.
공기보다
가벼움
.
화학적
질식제
.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
.
내연기관
.
TWA=25ppm
.
BEI < 3.5% .
COHb:20ppm(잔기)
.
LEL=12.5% .
UEL=74.2%
4. 밀폐공간의건강장해CO 농도별인체에미치는영향퍼센트증상0~10 몹시숨이차다10~20 앞머리가당기는것같고약간의두통20~30 머리를두드리는것같은두통30~40 심한두통, 구역질, 구토, 허탈에빠짐40~50 모든증상이증가됨, 맥박이빠르고호흡증가50~70 혼수, 간헐적인호흡, 사망4. 밀폐공간의건강장해CO 농도별인체에미치는영향퍼센트증상0~10 몹시숨이차다10~20 앞머리가당기는것같고약간의두통20~30 머리를두드리는것같은두통30~40 심한두통, 구역질, 구토, 허탈에빠짐40~50 모든증상이증가됨, 맥박이빠르고호흡증가50~70 혼수, 간헐적인호흡, 사망
4. 밀폐공간의
건강장해
CO-Hb 농도
별
인체에
미치는
영향
퍼센트
ppm 영
향
0.02 200
400
800
1,600
3,200
6,400
12,800
두통, 2~3 시간
내
미약한
전두통
(前頭痛)
두통, 1~2 시간
내
전
두통
및
구역질
, 2.5~3.5 시간
후
후두부
통증
두통, 45 분내
현기증
및
구역질
, 2 시간
내
허탈과
의식상실
발생
두통, 20 분
이내
현기와
구역질
, 2 시간
내
허탈
, 의식상실, 사망
5~10분내
두통
및
현기
, 30 분내
의식상실
및
사망의
위험
1~2분내에
두통
, 현기. 10~15 분내에
의식소실
및
사망의
위험
즉각적인
영향
, 1~3 분
이내
의식소실
및
사망의
위험
0.04
0.08
0.16
0.32
0.64
1.28
4. 밀폐공간의
건강장해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
하수가스, 악취가스(계란
썩은
냄새
)
.
냄새를
느끼는
농도
: 0.02~0.2 ppm
.
무색, 가연성
가스
.
공기보다
무거움
.
TWA=10ppm, STEL=15ppm
.
IDLH=300ppm
.
LEL=4.3%, UEL=46%
4. 밀폐공간의
건강장해
황화수소의
영향(※부피
농도
)
ppm※
부
위
조
직
50 결막
및
각막
상피조직의
자극
50~100 1시간
내에
눈과
호흡기계
자극
후각신경마비
오랜
노출
후
폐자극
및
폐부종
몇
시간
후
약간의
조직
증상발생
8~48시간
내에
사망할
수
도
있다
신경쇠약
4~8시간
이내
사망
1~4시간
이내
사망
흥분, 두통, 현기, 의식소실, 1hr 내
사망
급속한
허탈
, 2~15분내
사망
100~150
150
200
250~300
350~450
500~600
600~700
700~2,000 호흡정지, 급속한
사망
산소농도측정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산소농도측정의
법적
근거는
산업안전보건법
제
24조제
1항의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보건상의
조치”
및
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42조를
근거로
한다
.
.
공기중의
산소농도는
산소농도
측정기에
의한
측정이
유일한
방법이며
감각에
의한
감지는
불가능하다.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정확한
측정을
위한
유의사항
.
적절한
측정기를
선택
,구비
.
항상
정확한
보수관리를
하여
정확도를
유지
.
정확한
측정장소와
측정시기
선정
.
사용측정기의
보수
, 취급방법을
충분히
습득
산소농도를
반드시
측정해야
하는
경우
.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
.
작업장소를
떠났다가
다시
돌아와
작업을
개시하기
전
.
근로자의
신체
, 환기장치
등에
이상이
있을
때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산소농도측정
시
유의사항
.
측정자(안전, 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안전담당자)는충
분한
측정방법
숙지
.
측정자는
보호구
없이
측정장소에
함부로
출입해선
안됨
.
.
긴급사태에
대비해서
감시인
1명
이상
보조
.
전락방지를
위해
보조자도
구명밧줄
준비
.
측정
시
공기공급식
호흡용보호구
(송기마스크
등
) 착용
.
내부조명은
장착식
또는
휴대식
보호가드
부착
또는
방폭
구조
전등
사용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산소농도측정기의
종류
.
채기식
-채기관으로
피검공기를
측정기까지
흡인하여
측정기내
의
센서로
산소농도를
검출하는
방식
.
확산식
-센서를
넣은
검출기와
측정기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검
출기를
측정점에
투입하여
확산에
의해
센서에
들어간
산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방식
.
검지관식
산소농도
측정방법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산소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한다
.
.
깊은
장소
측정
시
채기관을
사용
(채기관은
눈금을
표시
하여
동시에
깊이를
측정
)
.
측정
시에는
채기관의
내부용적
이상의
피검공기로
완전
히
치환한
후
채기
.
시료공기의
채기에는
피스톤식
회전수동펌프
, 전동펌프
등의
채기용
펌프를
사용
.
고압잠함의
경우에는
가능한
한
측정자가
내부에
들어가
지
않고
채기할
수
있도록
저부작업실에서
외부로
통하
는
채기관을
설치하고
이것으로
측정
측정점의
선정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산소결핍은
비교적
공기의
흐름이
나쁜
장소에서
발생되
며
같은
장소에서도
위치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으므
로
부분적인
산소결핍공기의
존재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장소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
.
작업장소에
대해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3개
소
이상
.
작업에
따라
근로자가
출입하는
장소
.
산소결핍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올바른
산소농도를
측정
하고
그
측정치를
기재한
후
출입여부를
결정한다
.
측정점의
선정
예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안전담당자의
직무
1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산소가
결핍된
공기나
유해가
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시작
전에
작업방법을
결정하
고
이에
따라
당해
근로자의
작업을
지휘하는
일
.
작업을
행하는
장소의
공기가
적
정(산소농도가
18% 이상
23.5%
미만)한
지의
여부를
작업시작
전
에
정확히
측정
및
확인하는
일
안전담당자의
직무
2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근로자가
산소결핍증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소
농도측정, 환기장치
또는
공기호흡기
등의
기구
또는
구
조설비를
작업시작
전에
점검하는
일
.
근로자에게
공기호흡기
등
공기공급식
호흡용
보호구의
착용을
지도하고
착용상황을
점검하는
일
.
안전담당자의
점검결과
이상을
발견하여
보고한
때에는
사업주는
즉시
환기
, 보호구
지급
, 설비보수
그
밖의
모
든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감시인배치
등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산소결핍
위험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상시
작업상황을
감시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이를
안전
담당자, 기타
관리감독자에게
통보하는
자를
두는
등
이
상
유무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
야
한다
.
상시작업상황감시이상이있을경우안전담당자및관리감독자에게통보
인원의
점검과
관계자
외
출입금지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산소결핍위험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는
출입
시
인원을
점검하고
관계자
외의
출입을
금지시키고
금
지표지판을
보기
쉬운
장소에
다음
사항을
게시한다
.
-관계자
외
출입금지
-산소결핍에
의한
위험
-출입
시
취할
조치
-사고
시
조치
-보호구, 가스
및
산소측정기
, 환기설비
보관장소
-안전, 보건담당자의
이름
연락설비
가동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산소결핍위험
작업장과
외부
관리감독자
사이에
상시
연
락할
수
있는
설비
(무전기
등
)를
갖추어야
한다
.
작업자와감시인간연락장비구비
사고
시의
대피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
산소결핍위험
작업장에서의
종사
근로자가
안면창백
, 호
흡수
증가
, 현기증
등의
자각증상과
같은
신체의
이상을
호소하는
때에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근로자를
대피시
켜야
한다
.
.
산소결핍의
우려가
없음을
확
인할
때까지는
관계자외
출입
금지
표지판을
게시하여야
한
다.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대피용
구조기구의
비치
.
산소결핍위험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공기호흡기, 사다리, 섬유로프
등
비상시
피난시키거나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를
비치하여야
한다
.
구출
시의
공기호흡기
등의
사용
.
산소결핍위험작업에서
근로자를
구출하는
작업에
작업
자를
종사하게
할
때에는
공기호흡기
등
호흡용
보호구
를
지급
, 착용하도록
한다
.
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5. 산소농도측정과작업관리
의사의
진찰
.
산소결핍증에
걸린
근로자에
대하여
즉시
의사의
진찰
또는
처치를
받도록
한다
.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호흡기
보호용
보호구
.
호흡용
보호구는
착용자
(작업자, 구조자, 피재자)의
생명
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고
, 산업안전보건법에
는
보호구의
제조
판매에
있어서
규격과
성능에
대한
내
용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
.
.
보호구는
검정규격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고
점검
및
보
수를
실시하고
언제라도
충분한
성능을
유지하도록
양호
한
상태로
보관하도록
한다
.
.
작업자, 구조자는
평소에도
사용법에
대한
훈련
및
구조
실습을
실시하여
사용법의
숙지
및
신속성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보호용
보호구의
종류
.
급기식(공기공급식)
-공기봄베, 호스, 마스크
등을
이용하여
적정한
공기를
작업자, 구조자, 피재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이다
.
.
여과식
-방독마스크와
방진마스크인데
여과재
(활성탄, 섬유재
등)를
사용하여
유해가스나
분진이
함유된
공기를
여과
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
산소결핍작업상황에서는
산소
결핍된
공기가
그
상태로
호흡기로
들어와서
작업자를
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대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공기호흡기의
기본구조
.
공기봄베의
압축공기가
감압된
후
자동보급밸브
로
공급
.
자동보급밸브는
흡기
시
에만
공기를
공급함
.
.
압력계, 경보기, 보조마
스크, 비상용
바이패스밸
브, 지게
등으로
구성
.
유효사용시간은
대개
10~80 분
정도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공기호흡기의
사용방법
1
.
사용전의
점검사항
-봄베의
잔류압
검사
.
-고압연결부의
검사
.
-면체와
흡기관과
호기밸브의
기밀검사
-폐력밸브와
압력계
및
경보기의
동작검사
-검사완료
후
마스크의
벗음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공기호흡기의
사용방법
2
.
봄베를
등에
지고
겨드랑이
끈을
당겨서
조정한다
. 가능
한
봄베가
등의
상방으로
가도록
함이
좋다
. 다음에
가슴
끈과
허리끈을
몸에
꽉
맞게
조임을
조정한다
.
.
마스크는
좌우
4개의
끈을
1조씩
당겨서
밀착시킨다
.
.
흡기관을
두
손으로
강하게
잡고
숨을
들이
쉬어
기밀을
확인한다.
.
압력계의
지시치가
30㎏/㎠
이하로
내려가거나
경보기가
울리게
되면
바로
작업을
중지하고
산소결핍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위치로
되돌아
온다
.
공기호흡기의
사용방법
3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안전한
위치로
돌아오면
마스크를
벗고
봄베를
교환
.
봄베교환
시
잔류압
확인
, 접속부에
먼지가
끼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
흡기가
불가능
할
시
, 바이패스밸브를
조금씩
열어
흡인
하면서
안전한
위치로
탈출하여야
한다
.
.
바이패스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 양
볼과
면체
사이
에
손가락을
넣고
이
틈의
사이로
공기가
들어오게
한다
.
그러나
산소결핍상태의
외부공기를
될
수
있는
한
적게
흡인하면서
탈출하여야
한다
.
공기호흡기의
유지관리
1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사용
후의
봄베는
다음
사용에
대비하여
완전히
충전
.
.
각
부를
마른
헝겊으로
닦아
더러운
것을
제거
, 닦여지지
않는
곳은
깨끗한
물로
씻은
후
그늘에서
말린다
.
.
봄베, 조정기
및
압력계와
같이
고압공기에
접촉되는
부
분에는
주유
, 기름칠을
해서는
안되며
, 봄베
내
산소는
물질
연소력이
강하고
기름에
닿으면
폭발
할
수
있다
.
.
고무부분은
기름이나
용제에
약하므로
가솔린이나
신너
로
닦아서는
안
된다
.
.
기름때는
중성세제를
푼
따스한
물로
닦아내고
그늘에서
말린다.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공기호흡기의
유지관리
2
.
마스크는
중성세제나
비눗물로
닦고
알콜로
소독한다
.
.
공기봄베에
산소를
충전하여서는
안
된다
.
.
호흡기나
예비용
봄베는
긴급상황
시
즉시
사용할
수
있
는
장소에
보관한다
.
.
보관장소는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는
건조한
곳이어야
하
고
여름철의
실온이
섭씨
40도
이하인
곳이어야
한다
.
.
호흡기는
일상점검
외에도
3개월에
한번씩은
정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
.
봄베는
제조
후
3년마다
한번씩
내압검사를
받아야
한다
.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공기호흡기의
유지관리
3
.
봄베의
내부에
수분이
잔류하게
되면
장시간
방치
시
녹
이
슬어
산소결핍
상태로
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충전하여야
한다
.
.
마스크와
흡기관
및
흡기밸브
등은
생명에
관계되는
중
요
부품이지만
고무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점검과
정
비
시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
.
고무제품이
만들어지고
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절로
노화되어
탄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마스크
, 흡기관은
12
개월, 흡기밸브는
6개월마다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인
지
침으로
통용되고
있다
.
송기마스크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공기호흡기는
무겁고
, 유효
사용시간도
짧으나
활동범위
에
있어서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조사활동이나
구조활동
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 그러나
송기마스크는
활동범위
에
제한을
받지만
가볍고
유효
사용시간이
길어
일정한
장소에서
의
장시간
작업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
.
급기마스크를
종류별로
보면
자연의
대기를
공기원으로
하는
호스마스크와
압축공기를
공기원으로
하는
에어라
인마스크가
있다
.
송기마스크의종류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종류형식급기방법호스내경최대길이호스마스크흡인식착용자의폐력흡인19.4㎜10m
25.4 ㎜송풍식전동전동송풍기12.7 ㎜40m
수동수동송풍기25.4 ㎜에어라인마스크일정유량식콤프레샤또는공기봄베6.3 ㎜60m 디맨드& 압력디맨드형7.9 ㎜복합식에어라인마스크디맨드& 압력디맨드형9.5 ㎜60m
송기마스크의종류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종류형식급기방법호스내경최대길이호스마스크흡인식착용자의폐력흡인19.4㎜10m
25.4 ㎜송풍식전동전동송풍기12.7 ㎜40m
수동수동송풍기25.4 ㎜에어라인마스크일정유량식콤프레샤또는공기봄베6.3 ㎜60m 디맨드& 압력디맨드형7.9 ㎜복합식에어라인마스크디맨드& 압력디맨드형9.5 ㎜60m
흡인식
호스마스크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면체에
흡기관
및
흡인용
호스를
연결하여
착용자의
폐력
으로
신선한
공기를
흡기하는
것으로
최대길이는
약
10m
를
한계로
함
.
.
호기밸브
등의
누설
시
유해가스
등이
침입할
수
있으므로
위험도가
높은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공기취입구는
안전한
장소에
고정시켜
두어야
한다
.
수동
송풍기식
호스마스크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전원이
없는
장소와
긴급한
경우에
사용시
편리하다
. 수동
식
송풍기를
돌려주는
작업은
매우
피로하기
때문에
장시
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2명
이상이
교대로
하여
돌려주어야
한다.
전동
송풍기식
호스마스크
1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전동송풍기로부터
면체
내에
호스와
흡기관을
통하여
급
기하는
구조이므로
호스와
흡기관
사이에는
공기조절대와
유량조절링이
부착되어있다
.
.
장시간
운전
시
필터의
저항이
증가
, 급기량
감소
, 모터과
열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필터는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
.
사용시에는
전원이
단절되지
않도록
코드플러그에
“급기
마스크
운전중”이라는
표시를
하여야
한다
.
.
통상
방폭구조가
아니므로
가연성기체
농도가
폭발한계를
초과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사용하면
안
된다
.
전동
송풍기식
호스마스크
2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에어라인
마스크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에어라인
마스크는
압축
공기관
, 공기봄베
또는
콤프레샤
에
의한
압축공기가
공기원이므로
호스마스크에
비하여
먼
곳까지
송기
할
수
있다
.
.
급기
호스가
가늘고
활동하기에도
용이하므로
산소결핍장
소나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곳에서도
오랫동안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
일정유량식
에어라인
마스크
, 디멘드식
에어라인
마스크
,
복합식
에어라인
마스크
등이
있음
.
.
에어라인마스크의
공기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콤푸레사는
운전중에
과열되지
않도록
항상
확인
점검을
하여야
한다
.
일정
유량식
에어라인
마스크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압축공기를
에어라인
및
흡기관을
통하여
면체
내로
급기
하는
구조이므로
급기량을
조절하는
밸브와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
디멘드식
에어라인
마스크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일정
유량식
에어라인마스크의
흡기관이
비틀려서
압력으
로
인해
파열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흡기관의
재질
을
고압호스로
하고
착용자가
소비하는
공기량을
호흡
필
요량만큼
공급한다
.
복합식
에어라인
마스크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디맨드식
에어라인마스크에
소형
공기봄베를
부착시킨
것
으로
공기원이
단절되는
긴급사태
발생
시
봄베로부터
급
기하도록
하여
위험상황에서
벗어나도록
되어
있다
.
안전대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산소결핍
및
유해가스
등의
중독위험이
있는
갱
, 맨홀, 우
물
등에
사다리를
사용하여
내려가며
작업을
하는
경우
.
갱구
등에서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
.
탱크, 화학설비, 싸이로, 냉장고
내부
등의
산소결핍
위험
이
있는
장소에서
발판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
근로자가
산소결핍증에
의해
근력
및
의식을
상실하여
전
도, 추락
할
수
있기
때문에
난간
, 보호가드
등의
추락방지
설비가
있어도
안전대를
사용하여야
한다
.
.
산소결핍
및
유해가스중독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도
신속
한
구조가
가능하다
.
안전대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종류사용방법비고1종U자걸이전용클립보드포함보조후크부착2종1개걸이전용3종1개걸이, U 자걸이공용4종1개걸이, U 자걸이공용안전대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종류사용방법비고1종U자걸이전용클립보드포함보조후크부착2종1개걸이전용3종1개걸이, U 자걸이공용4종1개걸이, U 자걸이공용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안전대구분안전그네식벨트식안전성신체를고루감싸고있어안전머리가먼저추락하면안전대에서신체가빠져나올수있음.
추락시2차재해유발추락시받는충격하중을부상위험이상대적으로적은부위로분산시킴충격하중이허리에집중적으로작용하여허리에치명적인장애및신체내부에상해초래추락시주변과의충돌등에의한재해상대적으로추락에의한진폭이작으므로주변과충돌등이적어안전허리부위에무게중심이용되는관계로주변물체와충돌위험이상대적으로증대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안전대구분안전그네식벨트식안전성신체를고루감싸고있어안전머리가먼저추락하면안전대에서신체가빠져나올수있음.
추락시2차재해유발추락시받는충격하중을부상위험이상대적으로적은부위로분산시킴충격하중이허리에집중적으로작용하여허리에치명적인장애및신체내부에상해초래추락시주변과의충돌등에의한재해상대적으로추락에의한진폭이작으므로주변과충돌등이적어안전허리부위에무게중심이용되는관계로주변물체와충돌위험이상대적으로증대
보호가드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맨홀
및
금속탱크류의
경우
입구부분의
뚜껑을
열고
작업
을
할
경우
야광제를
이용한
출입금지표지
, 작업수칙, 응
급처치절차
등이
부착된
철제
파이프로
제작된
접이식
보
호가드(가로
1m, 세로
1m, 높이
1m) 를
설치
.
맨홀의
경우
차량이
접근하여
근로자에게
충돌하거나
, 차량
의
바퀴가
빠져
사고가
발생하
지
않도록
경고조치
및
구체적
인
사고방지
대책을
실시
삼각대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질식재해
발생
시
금속재의
삼각대를
사용하여
피재자를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다
.
.
윈치는
수동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 피재자의
모습을
주
시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견인
할
수
있어야
하며
, 구
조대는
사용이
용이한
곳에
비치하여야
한다
.
.
삼각대는
평탄한
바닥에
위치시키고
쇠사슬로
상
호
연결하여
하중이
많이
걸려도
미끄러지지
않도
록
하여야
한다
.
휴대형
방폭전등
6. 보호구사용과사고시구조장비
.
밀폐공간내에서
발생되는
산소결핍
및
가스중독사고
시에
는
작업현장의
특성상
대부분
조명시설이
제대로
갖추어
지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구조자는
휴대형
및
머리
부착
용
방폭형
전등을
사용하여
피재자를
구조하여야
한다
.
환기의
필요성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
밀폐공간
작업에서의
환기는
적절하게
실시하여야
한다
.
만일
작업장소에서
메탄가스
, 황화수소
등의
가스가
계속
적으로
발생될
때는
계속적으로
환기를
하여야
한다
.
.
가연성가스
등이
존재하
였을
때
팬의
가동
시
전
기
스파크에
의한
화재
및
폭발이
있을
수
있으
므로
방폭형
모터
및
팬
을
사용하여야
한다
.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전체환기의
목적
.
온도 및 습도조절
-겨울 20~23℃, 여름 23~26℃, 습도 30~60%
.
냄새제거
.
화재 및 폭발관리
-전체 환기량 계산
-근로자 노출에 대한 특수 경우
.
건강장해관리
-안전, 보건 요인의 이용
화재
및
폭발에
대한
전체환기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
폭발하한계(LEL) 이하로
증기의
농도를
낮출
것
.
이
개념은
근로자가
증기에
노출될
경우
적용할
수
없다
.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전체환기는
노출기준이
폭발하
한계보다
더
낮은
농도이다
.
화재
및
폭발에
대한
전체환기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
안전-폭발방지를 위한 환기량
BLELMWChrSGhrmQ
..
....
.
100/1.24)/(3.
C:안전계수 SG : 비중
MW : 분자량 LEL : 폭발하한계(%)
B:온도에 따른 상수(121℃이하=1, 121℃이상 =0.7)
.
안전계수 C는 안전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LEL의몇 % 정도로 휘발성물
질 농도를 유지할 것인가에 달려있다 . 완전 밀폐되어 환기가 계속되는
곳은 LEL의 25%(즉, 1/4) 를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므로 C=4가 된다 .
Batch Oven 과 같은 최악의 조건은 C=10 이 안전하며 , 환기가 부적절
하고 공기가 재순환되는 곳은 C값이 더 커야 한다 .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안전-가연성
액체
저장실의
전체환기량
.
시간당
6회의
완전한
공기순환을
해주어야
한다
.
풍량(㎥/min) = 1 회
순환량
(실내체적
,L×W×H)×6×1hr/60min
건강보호를
위한
전체환기량
60/101.24min)/(
63
..
....
.
TLVMWKhrSGmQ
.
K: 안전계수
(3~10)
작업장
별
환기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
우물, 기초갱
등의
비
압기공법의
작업장
-작업
전
급기
설비로
급기를
시작하여
15분
후에
산소농
도
측정을
하고
18% 이상임을
확인한
후
근로자를
출입
시키고, 작업
중에도
급기를
계속한다
.
-급기구는
작업장소에
근접시켜야
하며
1인당
10㎥/min
이상의
공기를
급기하여야
한다
.
-근로자가
4인
이하인
경우에도
50㎥/min 이상의
급기를
하여야
한다
.
작업장
별
환기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
잠함, 압기쉴드
등의
압기공법의
작업장
-작업
전
송기설비로
실내
체적
5배
이상의
신선한
공기
를
급기하여
적정한
공기를
유지하고
, 작업
중에도
계속
급기한다.
-모래층에
굴삭작업이
도달할
경우
압기공법의
작업실
내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급기량이
감소되지
않도록
급
기
하여야
한다
.
-근처에
압기공법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수시로
연락을
하
여
산소결핍공기의
관류가
발생하지
않게
급기압력을
조
절하여야
한다
.
작업장
별
환기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
하수암거, 하수거
-암거에서
급기설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암거
평균단면
에
대하여
0.8m/sec 이상의
풍속으로
환기한다
.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작업장
별
환기
.
피트에서의
환기
-피트내부를
균일하게
환기되도록
하고
시간당
20회
이상
의
환기가
될
수
있도록
급기를
한다
.
.
분뇨처리장
탱크
등에서의
환기
-작업
전
탱크
등의
용적에
5배
이상의
공기로
급배기를
동시에
실시하고
작업
중에도
환기장치를
계속
가동한다
.
기타
장소의
환기방법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
급기설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창고
등은
충분한
자연환기를
통해
공기의
적정성을
확인
.
급기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
전
작업장의
실내
체적의
5배
이상의
신선한
공기를
급기한
후
근로자를
출입시키고
, 작업
중에도
균일하게
환기되도록
하고
, 시간당
20회
이상의
환기가
되도록
급
기를
계속하여야
한다
.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기타
장소의
환기방법
.
급기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맨홀과
같이
입구의
직경이
60㎝
정도로
작은
경우에는
이동식
팬에
연결된
덕트에
맨홀구멍을
통과하는
부분에
새들(saddle)덕트를
연결하여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하
여야
한다
.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기타
장소의
환기방법
.
환기장치
-압기공법에서는
콤프레샤
(전기
및
엔진구동방식
)를
이용
한
급기법의
환기가
실시된다
.
-이동식
환기장치는
프렉시블
덕트를
부착하여
사용하며
,
덕트가
급격히
꺽여
공기흐름이
방해되면
안된다
.
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7. 밀폐공간에서의적합한환기방법
기타
장소의
환기방법
.
올바른
환기방법
-국소배기는
바로
오염원
앞에서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
-전체환기
시
반드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야
하며
오염
된
공기가
재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
.
송기량의
측정
풍량(㎥/min) = 60 x
덕트입구단면적
(m2) x
덕트입구평균속도
(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