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2AA45554256C4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3BB45554256C8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3C445554256C8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3D245554256CB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B3F45554256CF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B1645554256D1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59B45554256D3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E5944554256D5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C7044554256D8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44744554256DA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59344554256DC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E1344554256DE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14844554256E0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5AF44554256E1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9B647554256E2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84D47554256E5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81147554256E63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55E47554256E8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8B847554256EA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B8D47554256ED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15447554256F0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DFE50554256F23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74650554256F3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8A950554256F4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02A50554256F6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2C350554256F8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E1050554256F9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93C50554256FC0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65450554256FE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FDA5055425700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56150554257023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06350554257061D)
소매업의
추세
1.강력한
소매상의
등장
“경쟁적인
전략수립을
통해
고객들에게
월등히
뛰어난
만족을
제공해주는
소매기관”
2. 소매점의
양극화
현상
-Hi Touch: 제한된
제품계열
, 철저한
관리
노하우
, 고도로
집
중화되고
전문화된
소매형태
(전문화된
소매업
, Category
Killers, Toys ‘R’
Us, Circuit City)
-High Tech: 대형점포
, 보관기술
및
셀프서비스
노하우를
바
탕으로
한
소매형태
(대량취급
소매업
, Costco, Wal-Mart)
소매업의
추세
3. 경로지배력의
변화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한
가격파괴현상이
유통경로상의
지배력
을
제조업에서
소매업으로
변화하게
함
. 그
외
강력한
소매상의
등장, 소매기업간의
경쟁심화
, 정보기술
도입에
의한
소매
정보
의
위력
, 제조업체의
외형위주의
상품관리로
인한
다양한
브랜
드
양산
.
Pull Strategy 의
영향
4. PB 의
위력
소매업의
기업화로
자체개발상표의
개발이
가능해
짐
.
.
낮은
공급가로
인한
운영효율
, 점포충성도
, NB 구매에
있어
서
구매자의
영향력
증가
.
소매의
지배력
강화
소매업의
추세
5. 편의제공의
중요성
소비자의
편의추구
경향으로
소매업태가
가져야
할
유통서비스
의
개념확대
, 인터넷
쇼핑확산
6. 정보기술의
영향
재고관리
, 상품의
보충
, 발주
등의
업무
자동화
.
인력의존도
감소
판매
및
고객정보화로
인한
상품
기획력의
향상
및
매장공간의
최적화
달성
소매업의
추세
7. Position 의
중요성
Positioning 이
분명하지
못한
소매상은
실패가능성
높음
. 고객
에게
제공할
편익의
방향에
대한
정확한
명시
필요
8. 무점포
소매상의
성장
-Time Constraint
-무점포
소매상
기법의
다양화
-관련
infrastructure 의
확대
-적극적인
마케팅
개념의
도입
9. 소매기업의
국제화
소비자의
사용욕구
, 구매욕구
동질화
현상
유통시장
개방
, 정보기술의
발전
소매상의
종류
1. 백화점
-소매업태중
가장
높은
수준의
서비스
제공
-고급화, 차별화
전략
2. 슈퍼마켓
-저비용
, 저마진
, 대량판매
, self-service
-할인점의
등장으로
성장
둔화
, Chain Operation 필요
-할인점과의
차별화
필요
(지역
밀착형
서비스
제공
, 핵심
편
익
서비스
, 배달서비스
등을
강화한
부가
서비스
필요
)
3. 편의점
-24/365 영업, 소규모
매장
, 높은
가격대
-다품종
소량
소매업의
추세
4. Category Killer
-좁지만
(width, low variety) 깊은
(depth, high assortment)
상품군의
취급
. 현재
미국에서
급신장
중
. Office Max, Toys
‘R’
Us, Home Depot, etc.)
-저가격
한정된
상품군
(규모의
경제
, 저마진
고회전율
전략
)
-대형화
& 체인화
5. 대중
양판점
(GMS)
-비식품
부문
상품을
다양하게
판매하는
종합소매점
-백화점과
할인점
중간에
위치
(중저가
백화점
, Sears, JC
Penny)
-소비의
양국화
현상으로
고전
(순수한
의미의
양판점은
존재
하지
않음
) .
한국, 가전
양판점
새로이
등장
소매업의
신업태
할인점시장현황과성장전략할인점시장현황과성장전략
“할인점은
유통구조의
합리화를
통해
저가
다품목
, One-stop
Shopping 전략을
추구하는
형태”
-할인점은
소비자들에
대해
폭
넓은
상품구색을
통한
원스톱쇼핑의
편리
함과
저가구매의
Needs 를
만족시키는
대규모
점포로
정의
(대규모
점포라
함은
매장면적
3,000㎡(909 평) 이상인
점포를
의미
.유통
산업
발전법
)
-백화점과는
다품목은
동일하나
저가판매라는
점에서
, 카테고리킬러와는
저가판매는
동일하나
다품목이라는
점에서
차별화
-Gross Margin 이
낮은
대신
대량
판매를
통한
고회전과
저비용
운용
, 유통
구조의
합리화를
통해
수익성을
보전
(대량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대형
매장과
편리한
주차시설
, 매장인원의
최소
화(SELF-SERVICE 방식), 임시직원
사용
, 최소한의
시설투자
/실내장식
, 地
價가
낮은
지역에의
입지
등
)
다양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기대
할인점은
소비생활
전반
, 유통구조
, 물가
등
국민경제적으로
도
많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통업태
-할인점의
전반적인
가격인하
정책으로
소비자들이
제품과
가격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비교구매가
가능해져
합리적
소비문화가
확산
-쇼핑의
개념을
단순한
물품구매
활용수단에서
보다
다양한
가치를
원스
톱으로
충족시키는
고도의
문화행위로
승화
-업체들은
경쟁격화로
비용절감의
필요성이
높아져
유통단계를
대폭
축
소하는
등
유통구조의
합리화에
주력
(대형
할인점의
경우
중간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바
로
연결
, 농수산물도
직거래를
강화
)
-유통업체가
마진율
축소나
내부효율화를
통해
판매가격
인하를
주도하
고
있어
종국적으로는
소비자물가
안정에
기여
(할인점의
가격할인
등에
의해
1996~99 년
중
소비자물가는
총
-1.79%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한국은행
)
할인점
현황
1. 기업형
유통시장의
확대와
할인점의
고성장세
지속
-서구식
쇼핑문화의
확산과
유통산업내의
경쟁
심화로
인해
기업형
유통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대
(아직까지도
국내
유통시장의
70% 가까이를
재래시장이
차지
)
-기업형
유통
가운데서도
최근
할인점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
며, 조만간
국내시장에서
백화점을
제치고
1위의
소매업태로
등극할
전망
(2001 년
할인점
13.8 조원, 백화점
15.7 조원매출
전망
)
-96 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진출한
외국
유통업체들이
주로
할인점
으로
진출하였고
, 국내
대기업들도
기업형
유통
가운데
할인점을
강
화하고
있어
국내
할인점시장은
연
30%이상의
고성장을
구가
중
2. 업태별로
선두업체들의
과점화가
심화
-국내
유통시장은
업태별로
선두업체의
시장지배력이
점점
확대
되는
과점화
현상이
심화
-과점화는
유통시장에서
공급이
소비를
초과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
-경기침체로
인해
소비증가세는
둔화되는
반면
, 유통업체들은
대
형화ㆍ기업화됨으로써
출점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
-향후
상대적으로
영업력과
자금력이
우수한
선두업체들이
생존
할
가능성
큼
3. 할인점은
원래
상품구색에
따른
세분류가
가능하나
국내에
서는
아직
전통적인
분류방식을
적용하기는
힘든
상황
-할인점은
상품구색에
따라
디스카운트
스토어
, 수퍼센터, 하이퍼
마켓, 회원제도매클럽, 홈센터, 아울렛
등으로
구분
가능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미국형
디스카운트
스토어는
거의
없고
수
퍼센터와
하이퍼마켓으로
분류하기도
모호하여
할인점
세분류를
명확히
적용하기가
힘든
상황
4. 한국형
할인점으로
발전
-한국형
할인점은
선진국의
할인업태가
국내에
도입되면서
국내업
체들이
국내
소비자들에
맞는
방식을
적용하여
개발한
점포
컨셉을
의미
(미국의
수퍼마켓
, 유럽의
하이퍼마켓
, 일본의
슈퍼스토어
등을
모체로
한국식으로
변형
)
-무조건
서구식의
할인점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적
실정에
맞도록
이를
변형ㆍ응용한
형태
(이마트의
경우
한국인의
평균
키와
눈높이에
맞는
천장
높이에
제품
을
진열하였으며
, 직접
만져보고
골라
사는
한국인의
취향에
맞도록
야채류를
비포장상태로
진열
, 외자계할인점들은
천장이
높고
제품을
높게
쌓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한국소비자들은
그러한
부분에서
중압감을
느낌
)
5. 할인점의
고급화
확산
-최근에는
과거와
같은
창고형
할인매장에서
탈피하여
고급
매장
과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고급
할인점이
확산
(홈플러스
안산점이나
영통점의
경우
1회
구입시
객단가
(평균구매
금액)가
6만원선으로
웬만한
백화점
수준을
능가
)
6. 고속성장
할인점은
점포
수와
매출면에서
기록적인
고성장세를
지속하고
있
어
향후
1~2 년
내
백화점을
누르고
국내
최대의
소매업태로
될
전
망
-국내
할인점은
93년에
개점한
이마트
창동점이
효시이며
, 96 년
유통시
장
개방
이후
외국계
할인점의
진출과
함께
비약적으로
성장
-국내
할인점은
점포
수
기준으로
99년에
이미
백화점을
추월하였고
,3 년
만에
다시
백화점의
2배를
초과
(2001 년말에는
전국적으로
약
200여개
이상의
점포를
예상
)
-시장규모로는
2000년말에
10.5 조원으로
전체
소매시장의
약
10%, 백화
점
총매출의
약
70%에
육박할
정도로
급성장
(2002~2003 년경에
백화점
매출을
추월할
것으로
대다수
전문가들이
예상
)
7.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출점은 가속
-국내 할인점시장은 타업태와 마찬가지로 상위업체들의 과점화가
심화
·상위 4개업체의 시장점유율 : 58.2%(2000 년) → 72.2%(2001년 상
반기)
-이마트, 마그넷, 킴스클럽과 같은 국내업체와 까르푸 , 홈플러스, 월
마트 등 외자계업체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가운데 , 탑마트와 홀마
트 등 지역 군소업체들이 가세하고 있는 구도
-최근 이마트의 독주체제가 굳어지고 있는 가운데 , 홈플러스의 약진
으로 2위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8. 국내
할인점업계는
대형
점포
위주의
다점포화
전략을
추진
-할인점
출점을
보면
국내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점포를
확장해
나가
는
반면
, 외국업체들은
점포
확장에
보다
신중을
기함
(이마트와
마그넷은
2001년에
10여개
이상의
점포를
출점할
계획이
나, 월마트와
코스트코홀세일
등은
신규점포
다수
출점에는
신중한
태도를
견지
)
-상위
6개사의
경우
점포수의
증가와
더불어
점포의
단위면적도
대
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
(이마트, 까르푸, 홈플러스
등이
새로
개점하는
점포들은
대부분
2,500~3,000 평에
이르는
대형점포
)
9. 국내시장의
석권을
노리는
외자계업체
외자계업체들은
아직은
두드러진
실적을
보이지는
않지만
장
기적으로는
국내업체들의
강력한
경쟁상대가
될
전망
-현재
세계
1, 2 위를
다투는
유통업체인
월마트와
까르푸를
비롯하여
홈
플러스, 코스트코홀세일
등
4개의
외자계업체가
국내시장의
Major Player
로
부상
-외자계
할인점들은
아직까지는
국내업체들에
비해
뚜렷한
경쟁우위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
(국내업체들과
비교해
점포수
대비
매출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 점포당
매장면적도
넓게
나타나고
있음
)
-그러나, 외자계업체들이
유통노하우
, 브랜드, 자금력
등의
우위를
바탕
으로
중소업체들을
인수할
경우
단기간에
선두권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큼
-최근
외자계업체들은
연이어
공격적인
영업전략을
가동
(까르푸는
올해
사장과
점장
등을
대부분
한국인으로
교체하는
등
토착화
전략에
주력
. 홈플러스는
영국
테스코의
지원아래
2005년까지
4조원을
투자하여
55개점을
개점할
계획
)
할인점
성장배경
1. 소비자
Needs 의
변화와
기업형
유통시장
확대
-수요측면의
요인으로는
핵가족화
, 자동차와
대형냉장고의
보급
,
서구식
Lifestyle 의
정착
, 합리적소비패턴확산
등을들
수
있으며
,
-공급측면에서는
외국계
대형
할인업체들의
국내
진출과
국내
대
기업의
다점포화
추진으로
인한
기업형
유통시장의
확대
등의
요인
이
작용
-기타
환경적
요인으로
신도시
개발에
따른
상권
발달
, 정부의
대
규모점포
출점
관련규제
완화
등이
있음
.
할인점
경쟁
양상
1. 할인점의
경쟁양상이
가격경쟁에서
비가격
경쟁으로
확대
-전통적으로
제품가격의
할인을
주요
경쟁력
요소로
내세워
온
할
인점도
최근들어
비가격
경쟁력요소의
중요성을
인식
(다양한
상품구색
, 편리한
매장
구조
, 교통및
입지
, 매장
분위기
,
다양한
편의시설
등
)
-국내
할인점
고객들의
성향조사에서도
제품
가격외에
여러
가지
요소들이
점포선택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남
(다양한
구색
(67.3%), 가격(55.5%), 편리한
매장
(27.7%) 등)
2. 비가격경쟁력
요소
중
고객편의
서비스시설이
핵심적인
요소
로
부각
-최근
오프라인
유통산업에는
업태간
융합현상인
복합화와
엔터테
인먼트
요소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는데
, 할인점도
예외는
아님
·홈플러스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가치점'이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표방
-실제
이러한
고객편의
서비스시설은
상품
가격
, 상품
품질
, 서비스
에
대한
지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촉진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