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밴드 연주가인 나는 연주도중 7년 전 만났던 첼리스트 티보르를 발견한다. 그는 헝가리인으로 런던 왕립 음악원에서 공부한 후 빈에서 2년 동안 노장 마에스트로 올레그 페트로비크로부터 사사한 인물이다. 그는 그의 재능을 알아보는, 자신을 미국의 유명 뮤지션이라고 소개하는 엘로이즈 매코믹의 호텔방에서 첼로 개인 지도를 받는다.
2. 교육자 분석
올레그 페트로비크 : 거장 마에스트로로 그의 밑에서 공부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모두가 우러러본다.
그러나 티보르는 그의 밑에서 전설적인 그가 권위적이고 엄격한 교육자였다는 것을 유추.
엘로이즈 매코믹 : 정식으로 첼로수업을 받은 적이 없다. 티보르가 연주하게 한 후, 부족한 점 등을 지적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3. 교육자의 역할
- 학생 내면의 잠재력을 끌어내줘야 함.
- 교육의 자료는 현재의 경험에서 이끌어 내야 함.
- 성장에 있어서의 연관성을 생각해야 함.
-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하여 적극적 탐구심을 일으키게 해야 함.
- 사실과 아이디어를 질서 있게 잘 정리해줘야 함.
4. 자유와 욕구란?
자유 = 자제력
욕구 = 긍정적인
행동력의 원천
① 단순한 호기심=흥미 ,
본능 = 욕구 = 지적인 자유 = 자제력
② 듀이가 중요하게 여긴 자유는?
지적인 자유
즉, 지적인 자유(욕구)가 자존심(충동)을 통제했다. -> 지적 판단의 개입이 일어남.
③ 자유와 자제력은 왜 같은가?
- 목적을 형성하고 그것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하는 것은 지적인 노력 때문
따라서 교육의 이상적인 목표는 자제력을 길러주는 일이다.
④ 욕구의 강도
- 투입하게 될 노력의 강도를 결정, 욕구가 수단으로 바뀌지 않으면 공중누각
- 수단은 구체적, 객관적이어야 참된 목적 형성
5. 목적이란?
* 목적 = 결과를 바라보는 것 (end -view)
“나는 문득 뭔가를 깨달았어요. 아직 들어가 본 적이 없는 정원 같은 게 저 멀리 있었어요. 그 사이에는 많은 것들이 있었죠. 처음으로 안 거예요. 한 번도 들어가 본 적이 없는 정원이 있다는 걸요.”
-목적은 형성하는 일은 상당히 복잡한
지적 작용
- 주변 여건의 관찰
- 과거의 유사한 상황에서 일어났던 일에 대한 지식
- 관찰된 것과 회상된 것을 결합하여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게 해준 판단 등을 포함
6. 경험이란?
*경험 =
개인이 성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접하는 것으로 학습을 위한 출발점
티보르는 연주를 할 때 다른 첼리스트들과는 달리 곡을 해석할 때 자신의 옛 사랑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연주를 함. -> 교육에서의 경험의 연속성과 유기성
* 교사가 학습자의 재능을 오히려 망칠 수 있음.
나는 사람들에게 맞서 내 재능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어요. 사람들이 아무리 좋은 의미를 갖고 있다해도 그 재능을 송두리째 망쳐 버릴 수 있거든요. 그래서 나는 그들의 말에 귀를 닫았어요. 당신도 그렇게 해야 해요. 티보르, 당신의 재능은 소중하니까요••••••••••••••••••그 교사들은, 그들은 지나치게...직업적이에요.”)
따라서 교사는 직업적이기보다 학습자의 잠재력을 개발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7. 비판
- 존 듀이는 실제적인 경험 활동을 통한 경험중심 교육을 주장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존 듀이의 경험 교육론은 지식의 가치나 체계 문제에 소홀하여 기초학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한계점.
8. 토론거리
① 경험이 교육적이기 위해서는 확장된 교과 내용의 세계, 즉 사실이나 정보라는 교과내용과 아이디어라는 교재의 세계 속으로 이끌어져 나와야만 한다. 과연 그녀는 어떤 교사였을까?
② 티보르에게는 어떤 깨달음과 변화가 있어서 조건이 좋은 호텔 악단에 취직했다가 다시 예전의 생활로 돌아간 것일까?
③ 듀이에게 교육이란? = 경험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티보르에게 경험은 어떤 것이었을까?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w Biz Model - 이발업 예시 (0) | 2017.08.01 |
---|---|
포맷 스트링 (0) | 2017.07.28 |
정치이론 (0) | 2017.07.19 |
형사정책의 대상 (범죄자/피해자) (0) | 2017.07.12 |
발달 심리학 (0) | 2017.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