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미국 대통령 선거과정의 특징과 개선책

목차

1.선거제도의 복잡성과 민주성

2.선거인단제도의 문제점

-1-선거인단의 자당후보에게 투표하지 않는 이탈 표 문제

-2-일반투표와 선거인단 득표율의 불일치와 대통령당락의 역전

3.선거인단제도의 개선안

4.미국대선제도의 함의와 운영의 묘미

1.선거제도의 복잡성과 민주성

1.선거제도의 복잡성과 민주성

미국의 선거과정


2.선거인단제도의 문제점

2.선거인단제도의 문제점


1)작은 주는 과도하게 대표되고 영향력 있는 큰 주는 인구에 비해서 적게 대표되는 문제점

2) 승자 독점방식 때문에 일반 유권자의 대표의 평등성을 왜곡시키고 전국 일반투표에서 상대방 후보보다 적게 득표했으면서도 선거인단 득표가 많아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게 함



3)선거인단은 일반국민들이 투표하기로 약속한 후보자와 상이한 후보자에게 투표할 수 있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4)만약 어떤 후보자도 과반수 선거인단을 획득하지 못하면 하원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50개 중의 과반수인 26개 주 대표의 지지로 대통령을 선출할 수 있다.

----후보들이 선거인단과 추잡한 정치적 이면거래를 시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큰 주 ,도시지역, 양당의 세력이 비슷한 주에서 대통령선거전이 과열

대통령이 연방의회 내에서 각주의 동등한 자격이라는 원리에 입각한 1주 1표의 원칙에 의해 선출되지 않고 결국은 양대 정당의 지배를 받는 선거인단에서 선출됨

5)주 단위의 승자 독점식 선거인단 배분이 제 3의 후보에게 대단히 불리하다

6)선거인단 제도는 인구가 많은 주에서 지지도가 높은 후보에게 유리한 측면이 강하다.

----후보들이 큰 주들에 대해서만 선거운동을 집중하고 큰 주들의 이익에만 신경을 쓰는 공약을 내세우게 됨



현행 미국의 대통령 선거제도는 실제로는 직접선거의 성격이 강하다

----실제는 선거인단을 보고 선거하는 것이 아니라 당의 대통령후보를 보고 선거하며 선거인단을 선거하는 그날에 바로 실제 (2000년 선거와 같이 몇 번의 경우는 아니었지만 )대통령이 결정된다

----예비선거과정에서 선거에 참여하고자 하는 국민들에게는 당원이든 비 당원이든 참여할 수 있는 문호가 개방되어 있는 주가 많다

주민들의 뜻이 결과에 그대로 반영되지 않거나 왜곡되게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간선제의단점


선거인단이 주민들의 의사를 따르지 않는 표를 행사한 경우


실제 선거인단의 투표에서 당략이 번복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반란행위금지"를 강화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견해

일반적으로 각주에서 이러한 행동을 엄금하는 법규는 별로 없다- 25개주 제재규정, 위반처벌규정이 있는 주에서도 겨우 1000달러 벌금형


승자독점방식으로 선출하기 때문에 각 후보는 일반투표의 득표율과 선거인단 득표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일반투표의 승자는 그가 얻은 득표율보다 선거인단 득표율은 훨씬 많게 되고 패자는 일반투표에서 얻은 득표율보다 더 적게 선거인단을 확보----선거인단 확보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

득표비율의 괴리에서 오는 수치의 차이는 민의의 반영도를 파악하는 데 불합리하고 비민주적

일반투표에서 승리하고도 선거인단 득표에서 역전 당한 일이 네 번이나!


1824

1876

공화당 헤이스 4033924표 48.1%

민주당 틸든 4287670표 51%

22표가 4개 주에서 상반된 선거보고를 하였으므로 헌법상으로도 당선자의 결정문제가 제기 

새로 자유를 얻은 흑인들vs많은 수의 비거주자들과 비등록자들이 투표에 참가

한 공화당 대통령 선거인이 다른 연방공직에 있었기 때문에 선거인이 될 자격 논란



조사 위원회는 연방최고 법원에서 5명의 판사로 구성

5번째 판사>>

                         중립노선 데이비드 데이비스판사

   

8대7

185표 대 184표의 1표차로 헤이스가 일반투표에서는 패자

BUT 선거인단 투표에서 승리하게 되어 일반득표율과 선거인단 득표율의 역전현상이 발생

이와 같은 분쟁을 제거하기 위해 1877년의 투표계산법이 제정되어 선거인의 선정에 관한 합법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최종적 결정권을 각주에 부여하였다

1888

공화당 해리슨 5445269(47.9%)표

민주당 클리블랜드 5540365(48.6%)표


선거인단 선거

해리슨이 233표 >클리블랜드는 168표

2000년

2000년 11월 일반투표

민주당의 앨 고어후보는 50996064(48.39%)

조지 W. 부시 후보 50456167(47.8%)


선거인단 선거

반대로 조지 W. 부시가 271표 >고어가 266표로 부시가 역전


득표율과 선거인단 득표율 사이에 그 불일치가 심한 사례


3.선거인단제도의 개선안

번스와 펠타슨의 제안 

그라지아의 제안

노리스 상원의원의 제안 

로지-코시트의 제안

샘 J. 어빈 주니어 상원의원의 제안



선거인단제도의 개선에 대해서 헌법수정이 필요!>>헌법개정안 발의도 어렵고, 헌법개정안비준은 더더욱 어렵다.




따라서 현재 선거인단 제도는 실현되기 어렵다

국민의 대표제도와 책임 있는 정부조직 사이의 상호작용관계의 문제

이러한 수준의 동의는 국론분열과 국력의 소진을 가져올 수 있다.

원칙과 실천의 양 측면에서의 문제가 헌법개정을 어렵게 만드는 일차적 요인 

4. 미국 대선제도의 함의와 운영의 묘미



그러나 미국의 선거제도는 형식적 간선이라는 단순한 측면만 보고 직선제로 고쳐야 한다는 것은 많은 문제점도 있고 현실적으로도 불가능


1787년 헌법제정 당시보다 오늘날의 미국문화는 고도로 발달,독특한 문화형성

>>>>간접선거보다도 인민의 판단에 의하여 직선하는 방법으로 수정해야 할 것.

----이중선거제도는 하나의 형식에 지나지 않으므로 수정하면 대통령취임식을 더 단축할 수 있다.



미국의 대통령선거제도는 미국의 오랜 정치적 민주주의 전통과 체험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다.

법과 전통 그리고 경험의 바탕 위에 무리 없이 가능한 선에서 점진적으로 개선하고 보완

배울 점: 법과 제도, 절차의 문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2백 년 이상 그 법과 제도의 내실을 키워온 그들의 경륜과 체험 그리고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