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편 생산자선택의 이론 제8장 기업과 생산함수 제1절 기업과 생산함수 비용극소화 의사결정체계 : 주어진 생산량을 극소비용으로 생산하는 방법 모색 목 적 비용극소화 → 주어진 생산량 노동(N) 자본(K) 생산량(Q) 요소투입비용 Q=f(N) : 단기 Q=f(N, K) : 장기 대 상 수 익 비 용 1. 기업과 생산 ● 생산 : 사람에게 유용한 재화와 서비스를 만들어 소비할 수 있게 하는 모든 인간활동 ● 기업 : 생산을 담당하는 사람을 생산자, 생산을 담당하는 기관 또는 조직체를 기업 2. 생산함수 1) 생산함수의 개념 ● 생산요소 : 재화를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재화 및 서비스 ① 본원적 생산요소 - 자연자원(=토지; L), 노동(N) ② 파생적 생산요소 - 자본(K) ● 생산함수(production function) : 일정 기간동안 생산요소의 투입량과 재화의 생산량간의 기술적인 결합관계 여기서는 재화의 생산량, 은 토지, 은 노동, 는 자본, 은 경영기술 ● 생산함수의 특징 : ① 생산함수는 유량(flow)의 개념 ② 생산량은 최대산출량(maximum quantity)의 개념 ③ 기술상태 일정(불변) 2) 단기와 장기 경제학에서 장․단기 구분은 시간적 개념이 아니라 고정요소의 존재여부에 따라 구분 ● 단기(short-run) : 생산에 투입되는 생산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생산요소 투입량이 변하지 않는 기간 → 생산량 증감에 관계없이 투입량이 변하지 않는 생산요소를 고정요소(fixed factors) (예 : 공장건물, 생산설비 등) → 생산량 증감에 따라 투입량이 변하는(증감하는) 생산요소를 가변요소(variable factors) (예 : 원자재, 노동 등) ● 장기(short-run) : 생산에 투입되는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기간 → 장기에서는 모든 생산요소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고정요소는 존재하지 않음. 제2절 단기생산함수 1. 단기생산함수와 총생산량 ● 단기생산함수 하나의 생산요소 투입량이 고정되어 있을 때(=고정요소) 재화의 생산량과 생산요소의 기술적 결합관계 → 자본투입량은 고정되어 있지만, 노동투입량은 가변적이다. ● 총생산량(total product : TP) - 총생산량은 노동투입량을 증가함에 따라 일정 한도까지는 증가한다. 그러나 어느 한 도를 지나면 노동투입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총생산량이 증가하지 않고 감소한다. - 따라서 총생산량곡선은 처음에는 정(+)의 기울기인 노동투입량의 증가함수이지만, 어느 한도를 지나면 총생산량곡선은 부(-)의 기울기인 노동투입량의 감소함수이다. [그림] 총생산량곡선(total product curve : TPC) 0 노동량 총생산량 TP 포화점 N1 N2 N3 2. 평균생산량과 한계생산량 ● 평균생산량(average product : AP) : ① 총생산량을 투입된 생산요소의 양으로 나눈 것 → 투입된 생산요소 1단위당 생산량 ② 총생산량곡선과 원점을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 ● 한계생산량(marginal product : MP) : ① 가변요소를 1단위 추가 투입할 때 총생산량의 증가분 ② 총생산량곡선상 한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 [그림] 평균생산량곡선과 한계생산량곡선 한계생산량체감 MPN, APN 노동량 APN MPN 0 N1 N2 N3 3. 총생산량, 평균생산량, 한계생산량곡선의 관계 ● 총생산량곡선과 한계생산량곡선의 관계 : ① ② ③ ● 한계생산량곡선과 평균생산량곡선의 관계 : ① ② ③ ④ ⑤ ● 수확체증의 법칙(law of increasing marginal product) = 한계생산량체증의 법칙 수확체증의 법칙이란 다른 생산요소를 고정시킨 채 하나의 생산요소 투입량을 증가함 에 따라 한계생산량이 증가하는 현상 → 고정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단기에 나타나는 현상 ● 수확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marginal product) = 한계생산량체감의 법칙 수확체감의 법칙이란 다른 생산요소를 고정시킨 채 하나의 생산요소 투입량을 증가함 에 따라 한계생산량이 감소하는 현상 → 고정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단기에 나타나는 현상 ⇒ 한계생산량곡선의 극대점을 기준으로 좌측은 수확체증의 법칙이 작용하고, 우측은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한다. 4. 생산의 3단계 다른 생산요소(자본)의 투입량을 고정시킨 채 가변요소(노동)의 투입량을 증가시키는 경 우 노동 투입량과 총생산량간의 관계는 3단계로 구분 MPN, APN 노동량 APN MPN 0 N1 N2 1단계 2단계 3단계 [그림] 생산의 3단계 1) 비경제적인 영역 → 경제분석대상에 제외 ⇒ 노동투입량이 증가할수록보다 추가적으로 늘어나는이 더 많기 때문에 노 동투입량을 더 증가시키려 함. 2) 경제적인 영역 → 경제분석대상 (∵ 노동의 한계생산량 > 0, 자본의 한계생산량 > 0) 3) 비경제적인 영역 → 경제분석대상에 제외 ⇒ 노동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오히려이 감소한다. 제3절 장기생산함수 ● 장기생산함수 :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가변적일 때 재화의 생산량과 생산요소간의 기술적 결합관계 → 노동의 투입량과 자본의 투입량은 모두 가변적이다. 1. 등량곡선(isoquant curve) = 등생산량곡선(equal product curve) ● 등량곡선의 개념 : 동일한 생산량을 생산할 수 있는 두 가지 생산요소의 여러 가지 배합점의 궤적 자본 0 Isoquant curve 노동 [그림] 등량곡선 ● 등량곡선의 특성 : ① 등량곡선은 우하향의 기울기를 갖는다. ② 등량곡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③ 등량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볼록하다. → 한계기술대체율() 체감 ④ 등량곡선은 원점에서 멀수록 더 많은 생산량수준을 나타낸다. 자본 노동 0 A E C D B F 체감하는 전형적인 등량곡선 G 그림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생산량이 증대 [그림] 등량곡선의 형태와 생산량 증대의 방향 ● 등량곡선과 무차별곡선의 차이점 : ① 등량곡선은 생산량의 크기를 구체적인 숫자로 표시함. → 기수적으로 표시 ② 무차별곡선은 총효용을 구체적인 숫자로 표시할 수 없음. → 서수적으로 표시 2. 한계기술대체율(marginal rate of technical substitution of N in terms of K) ① 일정한 생산량을 유지하면서 노동을 1단위 추가적으로 증가시켰을 때 감소해야 하는 자본량 → 등량곡선상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② 하나의 등량곡선상에서 한 생산요소를 다른 생산요소로 대체할 수 있는 정도 ③ 노동투입량을 1단위 증가시키면서도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자본량을 몇 단 위 감소시켜야 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 ④ 생산과정에서 만큼의 자본이 만큼의 노동으로 대체되어도 생산량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경우의 교환비율 [그림] 등량곡선의 기울기 자본 0 노동 Q C D A B N1 K2 K1 N2 ● 한계기술대체율체감의 법칙 : 한계기술대체율은 두 가지 생산요소(노동과 자본)의 한계생산량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생산요소의 한계생산량이 체감하는 경우 한계기술대체율은 체감한다. 0 Q 1 2 3 4 5 6 A B C 자본 노동 [그림] 한계기술대체율체감의 법칙과 등량곡선 자본 0 노동 4 2 0 2 1 (A) 완전대체관계 (B) 완전보완관계 2 1 1 2 자본 노동 [그림] 특수한 경우의 등량곡선 ● 요소집약도 : ① ② 원점에서 등량곡선상의 한 점에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 자본 0 노동 Q B A (자본집약적) (노동집약적) [그림] 요소집약도 제4절 규모에 대한 보수(returns to scale) → 모든 생산요소가 가변적인 장기에 나타나는 현상 1. 장기와 규모에 대한 보수 생산요소는 노동과 자본만 있다는 가정하에 장기에 있어서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변 화할 때 총생산량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는 다음과 같이 장기생산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1) 규모에 대한 보수체증(increasing returns to scale) :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같은 비율로 배 증가시켰을 때 그 재화의 생산량 증가가 배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 → >1이면 규모에 대한 보수체증이 나타난다. ⇒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 원인 : ㉠ 분업과 전문화, ㉡ 생산요소의 특화 및 대량구매에 따른 비용절감 등 자본 0 노동 Q1=10 3 3 1 1 2 2 Q2=30 Q3=60 2) 규모에 대한 보수불변(constant returns to scale) :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같은 비율로 배 증가시켰을 때 그 재화의 생산량 증가가 배로 나타나는 경우 → =1이면 규모에 대한 보수불변이 나타난다. 자본 0 노동 Q1=10 3 3 1 1 2 2 Q2=20 Q3=30 [그림] 규모에 대한 보수불변 3) 규모에 대한 보수체감(diminishing returns to scale) :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같은 비율로 배 증가시켰을 때 그 재화의 생산량 증가가 배 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 <1이면 규모에 대한 보수체감이 나타난다. ⇒ 규모의 불경제(diseconomies of scale) ☞ 원인 : ㉠ 관리능력의 한계, ㉡ 경영의 비효율성 등 자본 0 노동 Q1=10 3 3 1 1 2 2 Q2=15 Q3=18 [그림] 규모에 대한 보수체감 ※ Cobb-Douglas 생산함수 : ① > 1 : 규모에 대한 보수체증 ② = 1 : 규모에 대한 보수불변 ③ < 1 : 규모에 대한 보수체감 2. 규모에 대한 보수와 수확체감의 법칙 규모에 대한 보수는 모든 생산요소가 같은 비율로 증가할 때 생산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 반해, 수확체감의 법칙은 생산요소 중 다른 생산요소는 고정요소이고 한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변화할 때 생산량의 변화를 의미 자본 0 노동 Q1=10 N1 K Q2=20 Q3=30 N2 N3 [그림] 규모에 대한 보수와 수확체감의 법칙 제5절 기술진보(technological progress) → 투입량은 동일하게 투입되는데 생산량이 증대되는 현상 기술진보가 일어나면 종전과 똑같은 산출량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생산요소의 투입 량은 감소되어 등량곡선이 원점을 향하여 안으로 이동 자본 0 노동 N2 E Q1(기술진보 이전) N1 K1 K2 Q1(기술진보 이후) F G [그림] 기술진보와 등량곡선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