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론Ⅱ 소비자 상호간에 영향을 주는 효과 1. 개 요 - 일반적인 경제이론에서는 개별소비자는 다른 사람의 소비행태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의 선호에 따라 효용이 극대화되는 재화 묶음을 구입한다고 가정 → “개별수요는 상호 독립적” - 현실적으로는 개별소비자는 다른 사람들의 소비행태에 영향을 받음 - 라이벤스타인(H. Leibenstein)은 이러한 소비행태에 착안하여 새로운 소비자이론 제시 2. 효 과 1)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 : 편승효과) 밴드웨건 효과란 다른 사람들의 재화소비가 증가하면 이에 편승하여 재화소비가 추가적 으로 증가하는 효과 (예 : 특정 액서서리, 의상, 인형 등이 유행하면 그에 따라 소비가 증가) ⇒ 밴드웨건 효과가 존재하면 개별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이 보다 탄력적인 형태 [그림] 밴드웨곤 효과와 수요곡선 편승수요곡선(bandwagon demand curve) 가격 수요량 0 DS(수요가 작은 경우 수요곡선) Q2 Q1 Q3 P1 DL(수요가 큰 경우 수요곡선) P2 E1 E3 E2 2) 스놉 효과(snob effect : 白鷺效果) 스놉 효과란 다른 사람들의 재화소비가 증가하면 자신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그 재화소비를 오히려 감소시키는 효과 → 스놉 효과는 자신은 다른 사람들과 격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효과 (밴드웨건 효과와는 정반대 효과) ⇒ 스놉 효과가 존재하면 개별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이 보다 비탄력적인 형태 백로수요곡선(snob demand curve) 가격 수요량 0 DS(수요가 작은 경우 수요곡선) Q2 Q1 Q3 P1 DL(수요가 큰 경우 수요곡선) P2 E1 E3 E2 [그림] 스놉 효과와 수요곡선 3) 베블렌 효과(veblen effect) : 베블렌 효과란 재화 가격이 상승할 때 오히려 그 재화의 소비가 증가하는 효과 → 베블렌 효과는 값비싼 재화를 소비할 능력이 있음을 남에게 과시하기 위해 가격이 상승할수록 재화구입량을 증가시키는 효과 ⇒ 베블렌 효과가 존재하면 수요곡선이 우상향 형태 ☞ 미국의 경제학자 베블렌(T. Veblen)은 그의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큰손들의 과시소 비행태를 묘사 [그림] 베블렌 효과와 수요곡선 베블렌수요곡선(Veblen demand curve) 가격 수요량 0 DPH(가격이 비싼 경우 수요곡선) Q2 Q1 Q3 P2 DPL(가격이 싼 경우 수요곡선) P1 E1 E3 E2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