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을 이용한 유아, 아동의 교육
1. 독일의 숲속 유치원
▪ 유치원
- 1837년 독일의 프뢰벨(1782-1852)에 의해 유치원 교육제도 창설
- 프뢰벨 : 튜링켄 산림지대에서 태어난 산림측량사
- 1843년 튜링겐 주 바트 브랑겐부르크에 최초의 유치원
- 오늘날 유치원 및 유아교육의 기초는 이탈리아의 몬테소리(1870-1952)에 의해 형성
- 유아교육의 근본 : “놀이활동”을 통한 감각 훈련
▪ 숲속 유치원
- 1960년 덴마크의 코펜하겐 근교 마을에 창설
- 창설 배경 : 1960년 당시 생태주의(ecology) 사상
- 1968년 독일 헤센(Hessen)주의 온천 휴양지 비스바덴(Wiesbadan)에 숲속 유치원 창설
- 2000년 기준 덴마크 60곳, 독일 220곳 이상
- 독일 : 숲속 유치원 조합
▪ 숲속 유치원의 교육내용
- 3-6세까지 15-20명의 원아를 2명의 교사가 담당
- 1년 동안 일반 유치원처럼 놀이, 만들기, 체조 등
-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산장, 온실, 차량 등에서 수업
- 특정 사유건물이나 부지 소유하지 않음
▪ 숲속 유치원의 교육목적
- 나무, 대지, 공기, 물 등 숲속의 모든 것을 유치원 교실이라 생각
- 자연 속에서 다양한 현상을 직접 체험
- 나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환경을 학습하면서 개인의 운동능력 향상
- 자립능력 높임
- ‘자연과 함께 사는 사람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다’는 사고에 근거하여 환경윤리관의 기초 형성
- 연령이 다른 아동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활동
▪ 뮌헨의 숲속 유치원의 하루
- 아침 9시30분 15명의 원아로 프로그램 시작
- 활동장소와 프로그램은 매일 달라짐(영국정원 안의 활엽수 숲속이나 목초지, 정원안에 흐르는 이자르 강 등)
- 계절이나 날씨에 상관없이 매일 야외 놀이활동
: 비(우비), 눈(방한복, 눈싸움), 여름(물놀이), 겨울(썰매타기) 등 날씨에 맞는 놀이를 생각해 냄
- 공원 안의 정자나 정원 안의 식물 온실 견학
- 집에서 장난감을 가져올 수 없고 자연 속에서 직접 만듬(목재인형, 돌이나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집 만들기)
- 옷이 젓거나 더러워질 경우, 오감을 살려 노는 것이 중시되므로 야단치지 않음
- 오후 2시 보호자가 숲으로 아이들을 데리러 옴
▪ 숲속 유치원의 유아교육 효과
- 또래들에 비해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 감기나 인플루엔자의 감염율 낮음
- 인지판단능력 향상
- 손가락을 움직이는 미세한 감각이 향상 : 뇌의 발달
- 상호간의 협력, 연대 관계를 형성 : 사회성
- 규칙적인 생활리듬
▪ 문제점
- 경제적 부담이 큼
- 교사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
- 돌발적으로 다칠 수 있음(원아 전원 보험 가입)
2. 일본의 다테시나 휴양학원
▪ 창설 과정
- 나가노 현의 개업의이면서 초등학교 주치의를 겸하고 있던 코자와 칸지에 의해 창설
- 목적 : 영양실조 허약아 28명을 대상으로 한 휴양, 훈련 및 소아결핵의 요양(일본최초의 허약아동시설)
- 여름에 일교차가 크지만 겨울에는 일교차가 작고, 높이에 비해 따뜻하며 온천이 있는 다테시나 고원으로 결정
- 기부금이나 스와시 의사회, 애호단체 등의 후원
- 1944년 전쟁으로 잠시 폐사, 1948년 스와시에 기증
- 1952년 아동복지법에 의거해 허약아시설
- 1978년 총 1만명 수용 가능
▪ 과거의 휴양 효과 데이터
- 개설 당시 1주일 동안 영양장애아의 식욕증진, 체중증가
- 결핵 아동 : 정상 체온
- 입소 후 평균 3개월이면 환경에 순응
: 저학년(환경순응 늦음), 6학년 이상(제2차 성징으로 정신적 불안정), 5학년(환경에 잘 적응)
▪ 소년기 때 자연생활체험이 중요한 이유
- 크레펠린 (kraepelin)검사 : 피로곡선(하강곡선) 회복, 작업량 증가, 휴식효과, 오류나 동요 감소 등의 향상적 변화
- 생리기능검사 : 폐활량, 등근력, 악력, 심폐기능 향상
- 자립신경검사 : 타액분비량, 맥박, 혀 아래 체온, 혈압, 피부전기저항 등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긴장 상태 평행
- 혈액검사 : 적혈구 수 증가, 백혈구 수 감소
- 정상체중화
숲을 이용한 카운슬링 효과
1. 숲속 카운슬링
▪카운슬링이란?
- 언어적 및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행동의 변화를 시도하려는 인간관계
- 행동의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 일반적인 카운슬링
-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서 상담자가 카운슬러에게 고민을 털어놓는 방법으로 이루어짐
- 폐쇄적, 한정적, 인공적
가. 숲을 활용한 카운슬링법
- 카운슬러와 상담자가 숲을 걸으면서 카운슬링
- 혼자 숲속을 걸으면서 자신의 감정이나 심리 상태, 안고 있는 문제의 변화를 스스로 생각해 보면서 자기자신을 변화시켜가는 내관법
- 그룹으로 하는 구성적 그룹 인카운터
나. 숲속 카운슬링의 특징
▪ 장점
- 상담자, 카운슬러 모두 자연의 상쾌함을 느낌
- 자연의 경치와 장소의 변화를 느낌(심리학적으로 의식 변화의 지표로 이용 가능)
- 지각, 평행감각 등 온몸의 감각을 살려 걸으면 뇌 활성화
▪ 단점
- 날씨에 따라 좌우 됨
- 자연에 친숙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불안감과 저항감
- 도시에서는 좋은 장소 찾기가 어려움
다. 위인들의 산책에서 배울 점
- 아리스토텔레스 : 리케이온(lykeion), 페리파토스(peripatos) => 페리파토스 학파
- 베토벤 : 자연풍경을 바라보며 곡 구상
- 와일즈 : 페르마(Pierre de Fermat)의 대정리를 풀어냄. 숲이나 강 근처를 거닐며 기분전환을 하면서 문제 품
- 왓슨박사 : DNA 나선구조 모델 제시로 노벨상 수상, 산책을 자주 했으며, 산책 중 힌트를 얻으면 연구실로…
- 아인슈타인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안의 나무 사이 산책을 하루 일과로 삼음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질파 -1.전자의 파동성 2.불확정성 원리 3.확률과 파동함수 (0) | 2017.10.03 |
---|---|
용매에 따른 세척 정도 (0) | 2017.09.28 |
스페인 역사 개관 (0) | 2017.09.17 |
미국경찰의 시대별 흐름 (0) | 2017.09.06 |
무기질(mineral) (0) | 2017.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