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련(The Crucible) 과 아서 밀러 Arthur Miller(미국작가)에 대해서
시련
(The Crucible)
아서 밀러
Arthur Miller
(미국작가)
작가소개 1
뉴욕 연극 비평가상, 퓰리처상 등을 수상한 미국의 가장 대표적인 극작가
1915년 10월 17일 미국 뉴욕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의류 제조업자이며 어머니는 전직 교사인 유대인계 중류 가정의 3남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대불황으로 집이 몰락하여, 고등학교를 나온 후 접시닦기, 사환, 운전사 등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고학으로 겨우 미시간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했다.
재학 중에 쓴 몇 편의 희곡으로 상을 받은 것이 그에게 자신감을 주었다. 졸업 후 뉴욕시에 가서 생활을 위하여 라디오 드라마를 쓰고, 그 여가에 희곡 창작을 계속했는데, 제2차 세계대전 중의 군수산업의 경영자와 아들의 대립을 다룬, 전쟁 비판적인 심리극 《모두가 나의 아들 All My Sons》(1947)로써 비평가 및 일반 관객의 절찬을 받았다.
이어 《세일즈맨의 죽음 Death of a Salesman》(1949)으로 퓰리처상 및 비평가 단체상을 받고, 브로드웨이에서 2년간의 장기공연에 성공했다. 이 작품은 평범한 샐러리맨의 꿈과 현실과의 괴리에 부자(父子)간의 사랑을 곁들여, 회상형식의 교묘한 무대처리로 현대의 불안을 강렬하게 그려낸 걸작이다. 아서 밀러는 이 작품으로 전후 미국 연극계의 제1인자의 지위를 획득했다.
작가소개 2
1944년 그의 첫 작품 《 행운을 모두 가진 남자(The Man Who Had All the Luck) > 가 무대에 오른 뒤부터 공산주의자라는 의심을 받으며 12년간 FBI의 감시를 받아왔다. 이에 17세기 뉴 잉글랜드에서의 마녀재판(魔女裁判)을 주제로, 그 당시 전 미국을 휩쓸었던 매카시 선풍을 풍유(諷喩)한 희곡 《시련 The Crucible》(1953) 을 집필하였다.
그밖에 이주민 노동자들의 이야기인 《다리에서 바라본 풍경 A View from the Bridge》(1955)으로 퓰리처상 을 두번째로 수상하였다. 그리고 1960년 여배우 마릴린 먼로와 두번째 결혼을 하였으나 이혼하였으며, 그녀를 모델로 한 《전락(轉落) 후에 After the Fall》(1964) 등의 희곡을 썼으며 이외에도 소설과 라디오 드라마, 평론 등을 남겼다.
아서밀러는 테네시 윌리엄스와 함께 미국 연극의 발전과 실험에 크게 이바지했으며, 그의 희곡은 대부분 미국인의 공통된 비극적 생활면을 주제로 한 점에서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2005년 2월 10일 아서 밀러가 타계하자 뉴욕 브로드웨이 극장들은 11일 공연에 앞서 극장 앞의 전등을 껐다 켜면서 그를 추모했다.
< 시련줄거리 >
• 1막 : 미국의 메사츄세추 주의 세일럼이란 마을에서 소녀들에 의해 마녀을 부르는 의식(마술)이 행해진다. 이러한 의식이 패리스 목사에 의해 발각되고 마을사람들은 마녀를 찾아내야 한다고 말한다. 마녀를 찾기 위해 외부에서 헤일 목사를 부르고 헤일은 의식을 행한 소녀들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심문한다. 두려워진 소녀들은 자신들이 행한 의식에서 마녀들이 나타났다고 거짓증언을 한다. 그래서 그녀들에 의해 호명되어진 주민들은 재판을 받기 위해 법정에 선다
• 2막 : 호명된 사람들은 마술을 부린죄로 몰려 감옥에 가고 마을외곽에 살고 있던 존 프록터는 마을 사람들을 호명하고 있는 아비게일이 자신의 부인이 되기 위해 마을 사람들을 상대로 복수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헤일 목사는 사건의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 탐문수사를 하게 되고 프록터의 집으로 가게 된다. 그때 집안의 하녀인 메어리 워렌이 준 인형이 문제가 되어 아비게일의 증언에 따라 부인인 엘리자베스가 체포되어 가고, 프록터는 분노한다
• 3막 : 재판을 주재하고 있는 부지사에게 프록터와 마을사람들이 찾아가 무죄를 주장한다. 프록터는 부인인 엘리자베스가 아비게일의 질투와 복수심에 의해 피해를 당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프록터는 아비게일이 전 하녀였으며 자신과 육체적 관계사실을 부인이 알게되어 그녀를 쫒아낸 사실을 고백한다. 그리고 메어리 워렌을 설득해 아내의 무죄를 증명하려 하지만 아비게일의 재판속 연극으로 인해, 궁지의 몰린 메어리 워렌이 거짓증언을 한다. 이로인해 역으로 프록터가 심문을 받고 교수형을 선도 받는다. 헤일목사와 몇몇 주민들은 그런 판결이 하나님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폭력이라고 강력히 맞서지만 결국 그는 악마로 낙인찍힌다.
• 4막 : 이미 교수형이 집행되어가는 과정에서 헤일목사는 누명을 당한 세일럼의 사람들을 구해내려 노력하고, 그의 결백을 주장하여 교수형을 당하는 것은 결국 자신을 버리는 일이라 설득하지만 프록터는 자신은 악마가 아니라며 절대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마녀의식을 했던 소녀들이 마을을 속속들이 떠나는 과정에서 재판관들도 회의를 느끼고 감옥의 사람들에게 자백서를 쓰게하고 엘리자베스를 통해 프록터를 설득시키려 하지만 아내를 안심시키기 위해 거짓자백을 작성한 프록터는 자신의 이름과 진실을 끝까지 지키며 최후를 맞이한다.
<작품분석 1>
• 시련의 배경이 되는 '매카시 선풍‘이란?
• 1989년, 찰리 채플린(Charlie Chaplin)의 영화가 해금(解禁)되어, 그의 위대한 걸작 [모던 타임즈(Modern Times)]가 개봉되었다. 영화 팜플렛에 적혀 있는 <찰리 채플린>의 일대기중 1950년대 매카시 선풍(旋風)에 휘말려 공산주의자로 몰리게 되었고, 결국 미국과 결별을 선언하고 미국을 떠나 스위스에서 말년을 보냈다는 - 물론 1972년 아카데미가 준비한 특별상을 받기위해 미국 땅을 한번 더 밟고 미국과 화해를 하게 됩니다. - 라는 내용이 있다. 희대의 영화천재였고,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예술가중 한명인 <찰리 채플린>을 추방할 정도로 '매카시 선풍' 이란 것이 대단한 것이란 말인가?
• 1950년 매카시(Joseph Raymond McCarthy) 상원의원에 의해 전 미국을 광풍(狂風)에 휩쓸리게 만든 이 대대적인 숙청 작업은 한마디로 '집단의 광기'가 얼마나 무서운지 잘 보여주고 있는 일대 사건이다. 공산주의자를 공직과 기업 등에서 몰아내자는 이 숙청 작업은 일파만파 확대되어 문화예술인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주게 되었고, 자본주의에 대해, 그리고 제국주의 전쟁과 대기업의 독점자본에 대해 냉소적인 영화를 만들었던 <찰리 채플린> 또한 공산주의자로 몰아 결국 그를 미국에서 떠나게 만들었던 것이다.
• 미국의 극작가 <아서 밀러(Arthur Miller)> 또한 이 당시 매카시 선풍의 희생자이며, 이 사건 이후 '매카시즘'에 대한 풍자와 고발을 위해 '마녀 사냥'을 소재로 하여 이 연극 [시련(The Crucible)]의 극본을 완성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 작품은 단지 미국의 어두웠던 '역사적 실화'를 연극으로 재구성 했다기보다는,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생각에 따라, 그리고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상당히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작품분석 2>
• <시련> 무엇을 이야기 하는 것인가?
• 1692년 17세기 말 영국 청교도들의 북아메리카 식민지인 뉴잉글랜드의 세일럼 마을에서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10대 소녀들이 집단적인 광기를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만약 지금 이런 일들이 일어났다면 철없는 어린아이들의 장난 아니면, 집단 히스테리나 간질 정도로 생각했겠지만, '청교도'들이 모여 살고 있던 세일럼 마을에서는 이런 현상을 '초자연적' 의미로 생각했다. 흔히 기독교에서 말하는 귀신들림, 악마의 장난, 마귀에 씌어버린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 이런 판단은 곧 이 마을을 광기(狂氣)에 휩싸이게 만들어 버린다. 마을 주민 모두 서로가 서로를 고소하고, 고발하며 '마녀'로 몰아 이웃들을 감옥에 가두고, 고문하고, 사형을 하게 된 것이다. 중세 유럽에서 자행되었던 마녀사냥이 미국 17세기 말에 버젓이 되살아난 것이다. 이 어처구니없는 사건 때문에 마을주민 20여명이 사형당하게 되고, 미국 문명사에 씻을 수 없는 오점을 남기게 된다
• 이 현대판 '마녀사냥'은 비단 이때 뿐 아니라 그 전에도, 그리고 그 후에도 종종 벌어지고 있다. 왜냐하면 인간이란 존재는 참으로 나약한 존재여서 '집단의 광기' 속에서 냉철한 이성을 유지하고,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자칫 이런 광풍에 휩싸이게 되면 누구도 돌이킬 수 없는 길을 걸어가게 되고야 말기 때문이다.
• 연극 <시련>은 진실은 무엇이며, 그 진실을 왜곡하는 수많은 사건들 속에 과연 우리는 신념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진실이 무엇인지 알고 있으면서, 또한 무엇이 옳은지 알고 있으면서도 자신이 희생되지 않기 위해 남을 희생시키거나 침묵하는 모습은 현재에도 반복되고 있는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다.
• 그래서 주인공인 <존 프락터>의 행동은 우리에게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명예와 진실을 위해 삶을 포기하는 선택은 분명 쉽지 않으며, 세상 누구도 쉽게 내릴 수 없는 결정이다. 아무리 진실을 왜곡하고 호도(糊塗)한다 하더라도, 역사라는 거대한 물결 앞에서 진실은 낱낱이 밝혀지게 마련이고, 올바른 행동과 신념은 결국 인정받게 된다는 사실을 이 연극은 잘 보여주고 있다.
<등장인물 1 >
• 아비게일 : 17세소녀. 어릴 때 부모가 모두 인디언들에게 잔인하게 죽음을 당한 고아이다. 존 프락터의 집에서 하녀로 있으면서 그와 육체적 관계를 가진다. 하지만 그 집에서 쫓겨나게 되고 마을의 패리스 목사의 질녀(조카딸)인 아비게일은 마을 어른들의 경건하고 도덕적인 종교적 생활에 짓눌려 숨 막혀 한다. 그리고 어릴적 겪었던 정신적인 트라우마때문에 더욱 더 존 프락터에게 집착하고 있으며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를 저주하여 마녀재판의 주동자가 된다.
• 존 프락터 : 30대중반의 건장한 신체의 농부. 엘리자베스라는 부인이 있지만 하녀인 아비게일과 육체적인 관계를 가진다.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는 아비게일을 내쫓고, 다시 아내와 잘 지내려고 노력한다. 10대 소녀들의 잘못된 사랑과 질투에서 시작된 세일럼의 마녀 재판은 종교의 중압감과 더불어 그 집단 광기는 극도로 치닫게 되고, 그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 진실을 밝히고자 한다.
• 엘리자베스 프락터 : 헌신적인 아내로, 존 프락터의 잘못을 이해하려고 하고 그의 의견을 존중해 준다. 10대들의 거짓증언으로 악마와 손잡았다는 혐의를 받는다. 남편의 잘못을 기억하지 않기 위해서 노력하지만 말처럼 쉽지만은 않지만, 남편을 위한 마음이 크다.
• 패리스 목사 : 40대중반 홀아비. 마을의 목사이며, 마술(악마)를 인정하지 않는다. 높은 학사를 받았지만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일을 하고 있다. 허나 헌금을 내라는 등, 자신의 이익을 챙기고 비열한 면이 있어서 몇몇 마을 사람들에게 신임을 잃었다. 딸처럼 기르는 아비게일을 믿고 있으며 갑자기 쓰러진 딸 베티를 낳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 메어리 워렌 : 존 프락터의 하녀. 17세의 순진하고 외로운 소녀. 아비게일과 함께 악마의 의식을 거행하지만 마을 사람들이 알게 될까봐 두려워하고 있다. 그래서 아비게일과 함께 거짓증언에 동참하게 된다. 하지만 사람들을 살인혐의로까지 몰고 가자 양심의 가책을 느끼게 돼 이내 잘못을 깨닫고, 존 프락터의 설득으로 법정에서 진실을 말한다. 하지만 아비게일의 말이 옳다고 믿고 있는 법정에선 메어리 워렌이 도리어 의심을 받게 된다.
<등장인물 2 >
• 존 해일 목사 : 마녀의 존재를 확신하는 목사
• 베티 패리스 : 패리스 목사의 딸(10세 소녀), 아비게일의 사촌.
• 티튜바 : 패리스 목사의 집 흑인 노예 마녀를 불러들이는 의식을 거행한다.
• 수잔나 월코트 : 마을의 소녀 (아비게일보다 조금 어리고 신경질 적이다.
• 앤 푸트남 부인 : 토마스 푸트남의 부인(45세)으로 삐뚤어진 부인이다. 죽음이 얼굴에 서려 있다.
• 토마스 푸트남 : 앤의 남편 (50세) 손이 거친 부유한 지주이다. 땅문제로 레베카를 고발한다.
• 머시 루이스 : 푸트남의 하녀
• 레베카 너어스 : (72세) 백발의 노파로 존경을 받고 있으며 싸움이 나면 사설판사가 되어 중재해준다.
• 프랜시스 너어스 : 레베카 너어스의 남편 (85세) 토지싸움으로 인해 푸트남 집안에 의해 고발당함
• 자일즈 코레이 : 농부 (83세) 호기심 많은 노인으로 건강한 편이나 사소한 오해를 많이 받음
• 마사 코레이 : 자일즈 코레이의 부인으로 돼지때문에 웰코트에 의해 고발당함
• 에제키엘 취이버 : 재단사
• 헤릭 경찰관 : 경찰
• 하소온 판사 : 판사
• 덴포스 부지사 : (60세) 최고 재판관
• 사라 굳,
• 호프킨즈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미니즘 이론들 : 여성주의(Feminism) (0) | 2018.08.27 |
---|---|
여러 가지 액체가 얼었다가 녹는 속도의 차이 (0) | 2018.08.15 |
독도는 왜 우리땅인가? (0) | 2018.03.05 |
세계의 다문화 정책 유형 (0) | 2018.03.03 |
신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