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 재정정책과 케인즈모형
1. 정부부문의 도입
정부부문이 도입되면
- 총수요()는 소비(), 투자(), 정부지출()로 구성
- 총소득()은 소비(), 저축(), 조세()로 구성
⇒ 총수요()와 총소득()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균형국민소득()가 달성
균형조건은
● 케인즈의 단순모형
⑴
⑵
⑶
⑷
⑸
⑹
⇒
①
②
③
2. 케인즈의 단순모형과 재정정책
1) 재량적 재정정책(discretionary fiscal policy)
- 정부가 정부지출이나 조세 등의 재정정책수단을 사용하여 균형국민소득을 완전고용 국민소득까지 끌어올릴 수 있음.
- 정부가 의도적으로 정부지출이나 조세를 변동시켜 국민소득을 변동시키고 경제안정 을 이룩하고자 하는 정책
※ 확대재정정책과 긴축재정정책
⑴ 확대재정정책
총수요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정부지출을 늘리거나 조세를 감면하는 정책
⑵ 긴축재정정책
총수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부지출을 줄이거나 조세를 증가하는 정책
2) 정부지출과 총수요관리정책
⑴ 디플레이션(경기침체) 갭과 정부지출 확대
디플레이션 갭만큼 정부지출을 증가함으로써 유효수요를 증가시키면 균형국민소득 은 GDP 갭만큼 증가해 완전고용국민소득수준()에 도달
()
단, 여기서 정부지출 증가에 의한 승수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조세는 징수하면 안됨.
☞ 디플레이션 갭 → 완전고용국민소득수준에서 총수요의 부족분
균형국민소득수준을 완전고용국민소득수준에 도달시키려면 디 플레이션 갭만큼 총수요()를 증가시키면 됨.
① 정부지출()의 조정
→ 이기 때문에 디플레이션 갭만큼 정부지출 증가
② 조세()의 조정
→ 이기 때문에 만큼 조세 감면
[그림] 디플레이션 갭과 정부지출 확대
국민소득()
45°
E
0
J
H
GDP갭
디플레이션 갭
⑵ 인플레이션 갭과 정부지출 긴축
인플레이션 갭만큼 정부지출을 감소함으로써 유효수요를 감소시키면 균형국민소득 은 GDP 갭만큼 감소해 완전고용국민소득수준()에 도달
()
☞ 인플레이션 갭 → 완전고용국민소득수준에서 총수요의 초과분
균형국민소득수준을 완전고용국민소득수준에 도달시키려면 인 플레이션 갭만큼 총수요()를 감소시키면 됨.
① 정부지출()의 조정
→ 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갭만큼 정부지출 감소
② 조세()의 조정
→ 이기 때문에 만큼 조세 증가
[그림] 인플레이션 갭과 정부지출 긴축
국민소득()
45°
0
H
J
인플레이션 갭
3) 조세와 총수요관리
⑴ 정액세
정액세 없는 경우 소비함수 :
정액세 부과 경우 소비함수 :
→ 정액세는 가처분소득을만큼 감소시키고, 소비를만큼 감소시킴.
①
②
위 식에서 ②식 - ①식
⑵ 균형재정승수
정부지출승수가 정액세승수의 절대값보다 크기 때문에 정부지출과 정액세를 똑같은 규모로 증가시키면 케인즈모형에서 국민소득수준은 증가
→ 일 때 국민소득의 변동은 두 승수효과를 합하여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국민소득은만큼 증가
⇒ 케인즈모형에서 균형재정정리(balanced budget theorem)라 함.
※ 균형재정정리 :
케인즈의 단순모형에서 정부지출과 정액세를 같은 규모로 증가시키면 균형국민 소득은 정부지출(또는 정액세)이 증가한 만큼 증가
※ 균형재정승수 :
일 때의를 균형재정승수라 함.
케인즈의 단순모형에서 균형재정승수는 균형재정정리에 의해 1이다.
⑶ 비례세
조세가 정액세가 아니라 비례세라면 조세는 다음 식으로 바뀐다.
비례세 부과 경우 소비함수 :
→ 비례세가 부과되면 한계소비성향은 종전의에서로 감소
[그림] 비례세와 소비함수
45°
0
F
G
B
D
☞ 비례세가 부과되면 소비함수는 같은 수직절편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① 높은 세율일수록 소비함수는 더욱 우측으로 회전하여 기울기는 완만
② 비례세율의 인상은 총수요를 감소시키고, 비례세율의 인하는 총수요를 증가 시킴.
③ 비례세율이 높을수록 소비함수의 기울기는 작아지고 이에 따라 승수효과는 작아짐.
→ 비례세의 균형재정승수는 누출률의 증가로 균형재정승수가 1보다 작아짐.
4) 케인즈모형의 재정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