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장 화폐공급과 금융정책
제1절 화폐공급제도
1. 화폐공급제도의 변천
1) 금본위제도
⑴ 의의
① 1930년대 대공황 이전에 실시되었던 화폐공급제도
② 금본위제도는 한 나라의 금보유량 범위내에서 화폐를 공급하는 제도로 화폐발행 을 남발하지 못하게 하는 제도
⑵ 금본위제도의 장점과 단점
장 점
단 점
① 통화가치 안정, 물가안정
② 환율의 안정 → 고정환율제도가 보장
① 신축적인 통화발행 불가능
② 금보유의 사회적 비용 발생
2) 관리통화제도
⑴ 의의
① 1930년대 영국이 금본위제도를 탈퇴한 후 모든 국가들이 채택한 제도
② 통화관리당국이 금보유량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자국의 경제사정에 적합하게 통화량을 인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
⑵ 관리통화제도의 장점과 단점
장 점
단 점
① 신축적인 통화량 조절 가능
② 실업감소, 완전고용 달성
① 통화발행 남발
② 물가불안 우려
2. 은행권(수표) 발행제도에 관한 논쟁 : 통화주의와 은행주의
1) 통화주의
① 통화주의는 은행의 금보유량 범위내에서 은행권(수표)을 발행하도록 함으로써 화폐 발행을 남발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
② 금본위제도에 근거
③ 화폐가치 안정
2) 은행주의
① 은행주의는 은행이 금보유량에 관계없이 은행이 재량껏 은행권(수표)을 발행하도록 하는 제도
② 관리통화제도에 근거
③ 통화량 조절을 통한 원활한 자금공급 가능
제2절 화폐의 공급
-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는 통화금융기관이 공급한 것임.
→ 통화량을 통화공급 또는 화폐공급(money supply)이라 함.
- 통화공급(=통화량) :
① 중앙은행이 발권은행으로서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본원통화
② 본원통화를 기초로 예금통화나 준통화를 만들어 내는 예금은행조직의 신용창조
1. 지급준비금 :
① 은행이 예금의 인출에 대비하여 보유하고 있는 현금
② 은행이 신용을 유지하기 위하여 준비해 둔 현금
▶ 법정지급준비금(regal reserves) :
- 예금은행의 부도를 방지하거나 공신력의 실추를 막기 위하여 설정하는 최저지급준 비금 ※ 현금의 형태로 준비
- 법정지급준비금은 예금은행의 금고에 현금(시재현금)의 형태로 보유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중앙은행에 예치함(지준예치금).
- 초과지급준비금(excess reserves) → 법정지급준비금 이상의 지급준비금
- 요구불예금의 법정지급준비금(5%) > 저축성예금의 법정지급준비금(2%)
2. 본원통화(reserve money) :
- 중앙은행의 창구를 통하여 시중에 흘러나온 은행권(현금)
- 본원통화는 예금은행의 신용창조의 토대가 됨.
- 본원통화가 1단위 공급되면 통화량은 몇 배 증가
→ 고성능화폐(high-powered money)
- 본원통화는 중앙은행의 통화성부채
▶ 본원통화의 구성 :
중앙은행의 창구를 나온 돈은 민간의 수중에 있거나 금융기관의 지급준비금의 형태로 존재한다.
→ 화폐발행액은 중앙은행밖에 남아있는 현금총액
3. 본원통화의 공급
1)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
<표>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
차 변(자 산)
대 변(부 채)
대정부대출
대예금은행대출
순해외자산
순기타자산
정부예금
본원통화
화폐발행액
예금은행 지준예치금
해외부채
기타부채
차 변(자 산)
대 변(부 채)
순대정부자산(대정부대출-정부예금)
순예금은행대출
순해외자산
순기타자산
본원통화
민간보유 현금통화
예금은행 시재현금
중앙은행 지준예치금
2) 본원통화의 공급경로
- 본원통화의 변동은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의 자금원천인 네 가지 항목의 변동에 의
존한다.
-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의 기능
① 무자본특수법인(발권은행; 자본금=0) : 중앙은행의 부채 중 화폐적 성격을 지닌 부분 → 본원통화
② 정부의 은행 : 순대정부자산
③ 일반은행의 은행 : 순예금은행대출
④ 외환관리기능 : 순해외자산
⑤ 금융기관의 감독 및 규제
- 본원통화의 공급경로 : 항등식 “순자산 ≡ 순부채”를 활용
① 정부부문을 통한 본원통화의 공급
㈎ 재정지출 > 재정수입 : 재정적자
한국은행 → 정부 … 본원통화의 증대
㈏ 재정지출 < 재정수입 : 재정흑자
한국은행 ← 정부 … 본원통화의 감소
② 은행부문을 통한 본원통화의 공급
㈎ 은행의 자금부족
한국은행 → 예금은행 … 본원통화의 증대
㈏ 은행의 자금여유
한국은행 ← 예금은행 … 본원통화의 감소
③ 해외부문을 통한 본원통화의 공급
㈎ 국제수지 적자
한국은행 → 기업 … 본원통화의 증대
㈏ 국제수지 흑자
한국은행 ← 기업 … 본원통화의 감소
④ 중앙은행의 순자산 변화를 통한 본원통화의 공급
㈎ 유가증권(공채, 주식 등) 매입 … 본원통화의 증대
㈏ 유가증권(공채, 주식 등) 매각 … 본원통화의 감소
4. 예금은행의 신용창조와 예금통화공급
1) 의의
⑴ 신용창조의 개념
- 신용창조란 은행에서의 예금의 체류성과 연속성을 전제하여 예금은행이 본원적 예금을 기초로 하여 그 몇 배의 파생적 예금을 창출하는 것
- 예금은행이 신용을 근거로 예금․대출과정에서 통화량이 증가되는 원리
※ 본원적 예금(primary deposits) :
본원적 예금이란 예금은행조직 밖에서 예금은행조직으로 최초로 흘러들어온 예금
⑵ 가정
① 요구불예금만 존재하고 저축성예금은 없다.
② 예금은행조직 밖으로 현금누출(cash drain)이 없다.
③ 예금은행은 예금의 일정비율을 지불준비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대출형태로 자금을 운용한다(유가증권에의 투자는 없다).
④ 예금은행은 법정지급준비금만 보유하며 초과지급준비금은 없다.
2) 신용창조과정
- 본원적 예금 100,000원이고 법정지급준비율()이 20%라고 할 때 신용창조과정
[그림] 신용창조과정
법정지급준비금
20,000원 지준금예치
16,000원 지준금예치
12,800원 지준금예치
A 은행
B 은행
C 은행
본원적 예금
갑
을
병
정
80,000원
64,000원
51,200원
100,000원
순예금창조액
총예금창조액
<표> 예금은행조직에 의한 예금통화의 창조
은 행
요구불예금(1)
대 출(2)
법정지급준비금(3)
A
B
C
D
E
F
⋮
100,000
80,000
64,000
51,200
⋮
⋮
⋮
80,000
64,000
51,200
40,960
⋮
⋮
⋮
20,000
16,000
12,800
10,240
⋮
⋮
⋮
총 계
500,000
(총예금창조액)
400,000
(순예금창조액)
100,000
(본원적 예금)
- A 은행의 본원적 예금 100,000원 → 예금은행조직 전체로 500,000원 예금통화 창출
- 예금은행이 창출한 요구불예금총액은 다음과 같다.
→ 총예금창조액은 초항을 100,000원으로 하고 공비를 0.8로 하는 무한 등비급수의 합계와 같다.
여기서 100,000원은 본원적 예금(S)이고, 0.2는 법정지급준비율(r)임.
따라서 총예금창조액(DG)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법정지급준비율의 역수()를 신용승수(credit multiplier)라 함.
※ 신용승수 : 현금누출이 없고 초과지급금이 없을 때 본원적 예금이 몇 배에 해당하 는 요구불예금을 창출하는 배수 → 법정지급준비율의 역수
- 법정지급준비율이 높을수록 신용승수는 작아지고, 낮을수록 신용승수는 커진다.
※ 파생적 예금(derivative deposits) : 본원적 예금에 의해 추가로 창출된 요구불예금
파생적 예금(DN)은 총예금창조액(DG)에서 본원적 예금(S)을 뺀 것임.
여기서 은 순신용승수(net credit multiplier)
순신용승수는 신용승수보다 작다.
순신용승수 : 본원적 예금이 얼마나 요구불예금을 증가시켰는가의 배수
▶ 부분지준제도(fractional reserve system) : 법정지급준비율이 100%보다 적은 관행
→ 예금은행의 신용창조 가능
① 통화공급(MS) = 본원통화(M)
② 신용승수 = 1
③ 통화승수 = 1
5. 통화공급함수
- 통화공급함수(money supply function)란 본원통화와 통화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
- 예금비율과 대출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수식유도
▶ 통화승수(money multiplier)
- 통화량을 본원통화로 나눈 값
- 통화량이 본원통화의 몇 배인가를 보여주는 배수
통화량을 M, 본원통화를 B, 승수를 m이라 하면
- 통화량은 현금통화(C)와 예금통화(D)의 합계
- 본원통화(B)는 현금통화(C)와 지급준비금(R)의 합계
⇒ 통화량을 본원통화로 나누면
이 식의 오른쪽 항의 분모와 분자를 예금통화(D)로 나누면
여기서 는 현금과 예금의 비율이며, 는 지급준비율(법정지급준비율+초과지 급준비율) 이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이 식은 통화공급이 세 개의 외생변수, 즉 본원통화(B)와 현금과 예금의 비율(c) 그리고 지급준비율(r)에 의존
- 통화량은 본원통화(B)와 비례항()에 의해서 결정
- 비례항은 통화승수(m)를 나타냄.
- 본원통화는 통화공급에 이런 승수효과를 유발하기 때문에 본원통화를 고성능화폐 (high-powerd money)라고 함.
※ 통화승수()는 신용승수()와 비교할 때 현금누출이 일어나고 초과지급 금이 있기 때문에 통화승수가 신용승수보다 작다.
- 통화승수는 일반대중의 현금예금비율과 예금은행의 지급준비율이 작을수록 커짐.
▶ 통화공급
- 어떤 시점에서의 통화량(M)은 그 시점의 통화공급(MS)과 같다.
- 따라서 통화공급함수는 다음과 같다.
▶ 통화량의 결정요인
① 본원통화의 크기 ← 중앙은행의 의사에 따라 결정
본원통화량이 증가하면 통화량은 증가
② 현금예금비율 ← 민간의 행동에 따라 결정
현금예금비율이 감소하면 통화승수는 증가하여 통화량은 증가
③ 지급준비금 ← 금융기관의 행동에 따라 결정
- 법정지급준비금 : 중앙은행이 결정 / 초과지급준비금 : 예금은행이 결정
지급준비율이 하락하면 통화승수는 증가하여 통화량은 증가
⇒ 따라서 현금예금비율(c), 지급준비율(r)이 작을수록 통화량은 증가하고, 본원통화 (B)가 클수록 통화량은 증가함.
- 민간에 의하여 결정되는 현금예금비율은 사회관습에 따라 결정되므로 안정적
- 현금통화비율과 지급준비율은 안정적이므로 통화승수도 안정적
- 통화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중앙은행에 의한 본원통화의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