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장 화폐수요와 이자율결정이론
제1절 화폐수요
1. 화폐수요이론의 의의
1) 화폐수요와 화폐수요이론
- 사람들이 어떤 한 시점에서 수중에 보유하고자 하는 화폐의 총량을 화폐에 대한 수요(demand for money) 또는 화폐수요(demand money)
- 일정시점에서 측정하는 저량(stock)의 개념
- 화폐(통화)는 무수익성 금융자산
※ 실물자산 : 부동산, 귀금속 등
※ 수익성 금융자산 : 주식, 회사채, 국공채 등
2)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학파별 견해
⑴ 고전학파
① 화폐수요는 주로 소득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안정적
② 화폐수요가 안정적이므로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금융정책의 효과가 크다.
⑵ 케인즈학파
① 화폐수요는 주로 이자율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불안정적
② 화폐수요가 불안정적이기 때문에 금융정책은 효과가 작다.
⑶ 화폐수요이론의 발전과정
[그림]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A) 전통적 화폐수요이론
(B) 현대적 화폐수요이론
피셔(I. Fisher)의 교환방정식
마샬(A. Marshall)의 현금잔고수량설
케인즈(J.M. Keynes)의 유동성선호설
프리드만(M. Friedman)의 신화폐수량설
보몰(W. Baumol)의 재고이론
토빈(J. Tobin)의 자산선택이론
2. 고전학파의 화폐수요이론 : 화폐수량설
- 화폐수량설(quantity theory of money)은 화폐수요에 대한 전형적인 초기이론
1) 고전적 화폐수량설(거래수량설)
⑴ 개념 :
화폐수량설이란 화폐수요가 재화의 총거래량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
① 재화의 총거래량(T)이 증가하면 화폐수요(M)는 증가
② 재화의 총거래량(T)이 감소하면 화폐수요(M)는 감소
⑵ 교환방정식(equation of exchange) :
화폐수량설을 설명하기 위한 고전학파의 방정식 체계
→ 미국의 경제학자 피셔(I. Fisher)가 전개
여기서 M은 통화량, V는 화폐의 거래유통속도, P는 물가수준, T는 일정기간의 총 거래량
→ 이 식의 좌변은 일정기간의 총지출액, 우변은 일정기간의 총거래액(총판매액)
※ 화폐의 거래유통속도(transaction velocity of money) :
일정기간 동안에 일어난 생산물거래에서 화폐의 각 단위가 평균적으로 몇 번씩 사용되었는가의 횟수, 즉 회전(turnover) 수
→ 화폐의 거래유통속도는 사후적으로 총거래액을 통화량으로 나눈 값으로 측정하 기 때문에 는 항상 성립
⑶ 소득의 교환방정식
거래의 개념 대신 소득의 개념으로 사용하면 는 일정기간 동안 생산 된 최종생산물
여기서 M은 통화량, V는 화폐의 소득유통속도, Y는 실질총생산, P는 물가수준
→ 는 명목국민소득
⇒ 화폐수요함수로 해석
▶ 화폐수량설이란 교환방정식에서 화폐의 유통속도 V가 일정하여 통화량 M이 변화 할 경우 이에 비례하여 명목국민소득이 변화한다는 것
→ 화폐의 유통속도는 소득지불방법(예 : 일급, 주급, 월급 등)이나 금융기관의 발달 정도 또는 사회일반의 화폐사용 관습 등에 의존하므로 천재지변, 전쟁, 금융기관 의 변혁 등이 일어나지 않는 한 변동하지 않는다.
고전학파에서 실질국민소득은 단기에는 공급측에 의해 완전고용국민소득수준에 서 일정
→ 화폐수량설은 국민소득과 소득유통속도가 일정하다는 전제하에 통화량과 물가수준 은 정비례관계
: 화폐수요는 명목국민소득의 일정비율로 보유
▶ 피셔의 분석에서 강조되고 있는 화폐의 기능은 교환의 매개수단기능
→ 총거래량이나 명목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주체들은 교환의 매개수단인 화폐를 더 많이 찾게 되어 화폐수요가 비례적으로 증가
2) 현금잔고방정식(cash balance equation) :
- 화폐수요의 동기를 최초로 밝힌 화폐수요이론(케임브리지 방정식)
⑴ 개념 :
① 화폐수요는 명목국민소득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
② 개별경제주체가 명목국민소득의 일정비율만큼 화폐를 수요한다는 이론
⑵ 화폐보유동기 :
① 소득의 취득시점과 지출시점의 불일치
② 수익금융자산의 거래비용이 있을 때 일부를 현금으로 보유
→ 명목국민소득의 일정비율을 현금으로 보유
⑶ 현금잔고방정식
명목국민소득을 , 일정비율을 라 하면 사람들이 보유하고자 하는 현금잔고 (cash balance)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마샬의(Marshallian )
→ 는 실질화폐잔고(real money balance)수요 또는 실질화폐수요로 실질소 득(Y)의 일정비율()로 결정
※ 는 명목화폐잔고(nominal money balance)수요, P는 물가수준
※ 실질화폐잔고()는 실제로 구입할 수 있는 재화 및 서비스의 양으로 나타 낸 통화량
▶ 현금보유비율()
① 현금보유비율은 명목국민소득 중에서 화폐(현금)로 보유하고자 하는 비율
② 현금보유비율은 사회관습에 의해 결정되므로 일정
③ 현금보유비율()은 유통속도(V)의 역수
: 명목국민소득을 1단위 거래시키는데 필요한 통화량 또는
명목국민소득 중에 화폐의 잔고로 보유하고자 하는 비율
→ 현금잔고방정식에서 는 일정한 상수, 고전적 화폐수량설(교환방정식)에서 V 도 일정한 상수
고전적 화폐수량설 :
현금잔고방정식 :
→ 는 V의 역수()
3) 교환방정식과 현금잔고방정식
⑴ 화폐수요이론의 분석시각
고전적 화폐수량설 : 통화량이 증가하면 물가가 상승한다는 물가이론
이러한 물가이론을 토대로 묵시적으로 화폐수요이론 도출
현금잔고수량설 : 화폐수요를 명시적으로 설명
⑵ 화폐수요의 안정성
- 유통속도와 현금보유비율은 일정
- 화폐수요는 국민소득수준의 크기에 의해 결정
2.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 : 유동성선호설
1) 개념
-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은 유동성선호설(theory of liquidity preference)이라 함.
- 이 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은 유동성(liquidity)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동성이 가장 큰 화 폐(현금)를 수요한다고 주장
→ 화폐수요(화폐보유동기)를 유동성의 확보로 보고 있다.
▶ 유동성(liquidity) :
일반적으로 어떤 자산이 그 가치의 손실이 없이 얼마나 빨리 교환의 매개수단으로 교환될 수 있는가 하는 정도
→ 모든 종류의 자산 중에서 화폐는 그 자체가 교환의 매개수단으로서 항상 1:1로 교 환
→ 이런 의미에서 케인즈는 유동성을 화폐자체로 보아 화폐수요를 유동성선호라고 표현
※ 화폐(현금)는 유동성과 안정성은 높지만, 수익성은 없다(0).
2) 유동성선호의 동기
⑴ 거래적 동기(transactions motive) :
① 가계와 기업이 일상적인 거래를 위하여 보유하는 화폐수요
→ 수입과 지출간의 시차를 메우기 위해서 화폐를 보유
㉠ 소득동기(income motive) : 가계생활의 거래를 위해 보유하는 동기
㉡ 영업동기(business motive) : 기업영업상의 거래를 위해 보유하는 동기
② 거래적 동기의 화폐수요는 소득의 증가함수
→ 소득이 증가하면 거래규모가 커져 거래적 화폐수요가 증가
→ 소득이 감소하면 거래규모가 작아져 거래적 화폐수요가 감소
⑵ 예비적 동기(precautionary motive) : (예 : 비상금 등)
① 가계와 기업이 돌발적으로 발생할지도 모르는 지출을 위하여 보유하는 화폐수요
② 예비적 동기의 화폐수요는 소득의 증가함수
→ 소득이 증가하면 더 많은 화폐를 예비적으로 보유
→ 소득이 감소하면 더 작은 화폐를 예비적으로 보유
⑶ 투기적 동기(speculative motive) :
① 장래수입의 극대화 또는 증권(채권) 투기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화폐수요
②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③ 투기적 동기의 화폐수요는 이자율의 감소함수
→ 증권(채권)을 매입하면 유휴잔고 감소(투기적 화폐수요 감소)
→ 증권(채권)을 매각하면 유휴잔고 증가(투기적 화폐수요 증가)
☞ 이자율이 높으면 증권(채권)가격은 낮고, 이자율이 낮으면 증권(채권)가격은 높다.
⇒ 이자율이 높으면(증권가격이 낮으면) 증권을 매입하여 투기적 화폐수요 감소
⇒ 이자율이 낮으면(증권가격이 높으면) 증권을 매각하여 투기적 화폐수요 증가
※ 활성잔고(active balance) :
일상생활에서 필요하기 때문에 보유하는 화폐(거래적 용도와 예비적 용도에 필요한 화폐)
※ 유휴잔고(idle balance) :
활성잔고 이외에 보유하는 화폐
[그림] 투기적 화폐수요곡선
r
투기적 화폐수요
기준이자율
모두 증권(채권) 보유
0
모두 화폐 보유
유동성함정 구간
투기적 화폐수요
0
r
r2
r1
L0
r0
(A) 개인의 화폐수요곡선
(B) 사회의 화폐수요곡선
▶ 정상이자율의 역할 : 증권(채권)가격의 변동을 예측
① 증권(채권)가격과 이자율은 역관계
→ 이자율의 상승은 증권(채권)가격의 하락
② 정상이자율 > 실제이자율 → 이자율 상승예측(증권가격 하락예측)
▶ 개인의 투기적 화폐수요곡선
① 안전자산(현금)의 수익률(0)이 위험자산의 수익률보다 높을 때 모두 화폐 보유
② 위험자산의 수익률이 안전자산의 수익률(0)보다 높을 때 모두 증권(채권) 구입
→ 정상이자율보다 수익률이 높으면 가지고 있는 화폐를 모두 증권(채권)에 투자
▶ 유동성함정시의 투기적 화폐수요곡선
유동성함정시의 화폐수요곡선은 최저이자율수준에서 수평선
▶ 유동성함정(liquidity trap) :
① 경기불황으로 이자율이 매우 낮은 수준이 되면 증권(채권)가격은 매우 높게 되므 로 증권을 매각하여 모두 화폐로 보유하려고 하는데 이를 유동성함정이라 함.
② 투기적 화폐수요가 이자율에 대하여 무한 탄력적인 구간
→ 증권(채권)가격이 최고로 높기 때문에 모든 증권을 매각하여 투기적 화폐수요 는 최대가 된다.
③ 화폐공급이 투기적 화폐수요로 모두 흡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금융정책의 효과는 전 혀 없다.
④ 유동성함정은 대체로 경기가 극심한 침체상태일 때 발생
3) 화폐수요함수
- 유동성선호설에 입각한 화폐수요는 거래적․예비적 및 투기적 동기에 의한 화폐수요 의 합계
① 거래적 화폐수요와 예비적 화폐수요 : 소득의 증가함수
② 투기적 화폐수요 : 이자율의 감소함수
- 유동성선호설에 입각한 화폐수요는 소득의 증가함수이자 이자율의 감소함수
- 케인즈는 물가수준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화폐수요와 소득이 실질개념인지 명목개념인지 불확실
→ 따라서 명목화폐잔고수요(MD)는 주어진 이자율(r)과 실질소득(Y)에 의하여 결정 되는 실질화폐잔고수요 L(Y, r)에 물가수준(P)을 곱한 것으로 표시
4) 화폐수요곡선의 이동
- 소득이 변화하면 화폐수요곡선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 이자율이 변화하면 화폐수요곡선상에서의 이동
[그림] 케인즈의 화폐수요함수
r
r
r
(A) 거래적․예비적 화폐수요
(B) 투기적 화폐수요
(C) 총화폐수요
r0
r0
0
0
0
화폐수요량
화폐수요량
화폐수요량
A
B
C
A
B
C
<표> 화폐수요곡선 구간별 특징(그림 참조)
특징
구간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
화폐수요의 이자율에 대한 안정성
화폐수요동기
화폐의 기능
자산구성
A
완전비탄력적
안정적
거래적 화폐수요
예비적 화폐수요
교환수단
활동잔고(현금)만 보유
B
탄력적
불안정적
투기적 화폐수요
가치저장수단
현금․증권 동시 보유
C
완전탄력적
매우 불안정적
유휴잔고(현금)만 보유
3. 신화폐수량설
1) 의의
-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에서는 화폐의 유통속도(V)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서 화폐수요 (MD)와 명목국민소득(PY) 사이의 비례관계를 정립
- 그러나 현실경제에서는 화폐의 유통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것이 사실
- 이에 프리드만(M. Friedman)은 유통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을 포기하고 새로운 화폐 수량설을 전개
- 프리드만은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과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인 유동성선호설을 종합
→ 이 이론에서는 화폐수요가 이자율에 안정적이라 주장
※ 화폐수량설을 통한 인플레이션을 설명할 목적
- 통화주의자들은 사람들이 재화를 수요하는 것도 그 재화로부터 효용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 화폐를 수요하는 것은 그 화폐로부터 효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 통화주의자들은 화폐수요가 일반적인 재화의 최적소비선택행위와 유사하게 결정된다 고 함.
2) 가정
① 화폐수요는 미시적 최적화의 결과
② 사람들은 실질화폐를 수요
③ 화폐의 대체자산으로 채권과 주식이 있다.
④ 화폐수요의 대상은 M2(저축성예금 포함)
⑤ 거래적 화폐수요는 항상소득에 의해 결정
⑥ 화폐수요는 매우 안정적
3) 화폐수요함수
- 프리드만은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에서 일정하다고 보는 마샬의 k가 주식의 예상수익 률(re), 채권의 예상수익률(rb), 예상물가상승률(π) 등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
- 실질화폐수요()는 이자율과 실질소득의 함수
① 화폐수요는 항상소득(YP)과 총자산(W)이 증가할수록 커지며, 총자산 중에 비인적 자산(예 : 부동산 등)이 차지하는 비율, 주식의 예상수익률(re), 채권의 예상수익률 (rb), 예상물가상승률(π) 등이 커질수록 화폐수요는 감소
② 화폐수요함수에서 주식의 예상수익률, 채권의 예상수익률 등을 포함시킨 것은 경험 적 분석(실증분석 결과)
③ 프리드만의 화폐수요이론은 주식의 예상수익률, 채권의 예상수익률, 예상물가상승률 등이 k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미미하여 실질화폐수요는 거의 항상소득(실질소득)에 의해 결정
→ 이자율을 중시하는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과 내용상 다름
④ 항상소득의 영향을 강조하는 프리드만의 화폐수요이론은 실질화폐수요를 실질소득 만의 함수로 보는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과 내용상 매우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