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Source Software (OSS) - 공개소프트웨어
개 요
공개소프트웨어(OSS)의 현황
OSS 개발 방법론의 장단점
OSS License제도의 실상과 문제점
시장에서의 OSS 역할
정부 개입의 논란
결론
공개소프트웨어 (OSS) 현황
Open Source Software (OSS)
* 소스가 공개된 S/W의 통칭
* 상업적 S/W 개발과 반대되는 개념
Commercial(商用) S/W, Proprietary(專有) S/W
OSS의 사용이 활성화되는 추세이며 특정 S/W는 이미 상용 S/W를 능가하고 있다
* Apache, sendmail, Linux 등 시장에서 성공하는 S/W 등장
OSS는 차후 커다란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 기대됨
* IBM, HP, Oracle 등의 전통기업이 지원 및 참여
* 최근의 컴퓨터 비즈니스에 큰 영향
Web Server 시장 점유율
OSS 현황 (2)
불란서, 독일, 남미, 중국, 일본, 싱가폴 등에서 정부가 개입하여 OSS 지원책을 실시 중
우리 정부에서도 내장형 시스템 및 공공부분에서의 OSS활용을 촉진하고 있음
* 정통부에서는 소프트웨어진흥원 내에 공개 S/W 지원센터를 설립하고 (2003년 말) OSS 활성화 사업을 추진 중
S/W 개발 형태
Open Software Development
Community 공동 개발 프로세스
* 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경쟁 촉진 및 기술 혁신을 유도하는 S/W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
* SourceForge에 등록된 개발자가 40만명
해커 자신의 필요에 의해 개발 시작
인터넷에 공개 후 관심 있는 사람들에 의해 공동으로 개발 진행
* 병렬적인 테스트와 디버깅 가능
* 사용자들 간의 의견 수렴에 의한 방향 결정
반복되는 릴리즈와 피드백을 통한 버그 수정
고객 요구, 버그 수정 및 기술 변화에 신속히 대처 가능하다
* Apache의 경우 – 3년간 388명이 참여하여 6092번의 기능확장과 695번의 버그 수정
다수의 성공 사례
Open S/W 개발 방식에 대한 반격
공통적으로 많이 쓰이는 프로그램 개발에만 적용 가능
* Application software에는 적용 안됨
* 사용자들 중에 프로그래머가 충분히 있어야 함
Incomplete S/W 개발 프로세스
* Maintenance and debugging only
* 문서화 등에 소홀해질 개연성
* 소요 비용, 개발 기간 등에 무관심
문제 발생시 해결책 제시에 대한 책임 불분명
* 개발 진행 경로가 불확실
* 책임이 없기에 중간에 실패/포기 가능
Populism에 들뜬 아마추어들의 영웅주의
* 여러 OSS 응용 소프트웨어 간의 호환성 책임 소재
기술적 혁신성이 낮음
* “OSD의 성공은 모방의 역사” ( 예 : Linux – Unix, Posix)
* 남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음
Not all challenges are technical
License에 따른 OSS의 종류
License에 따른 권리(요약)
GPL이 갖는 문제점
Software의 공개, 복제, 무상배포를 의무화하고 상업적 이용을 금지한다
GPL은 자유SW 및 상용SW의 생태계內 건전 교류 저해
* 감염효과(viral effect)
상용SW가 GPL코드를 포함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함
* 대학이나 공공연구기관에서 상용SW 기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연구 저해함
상용 소프트웨어 산업 독자 생존 불가능
* SW가 무상일 것을 요구하게 되며 SW산업자체의 생존을 막게 될 것
* 장기적인 R&D 또는 혁신을 조달할 자금을 확보 곤란
* 이는 특히 규모의 경제에서 우리나라에 불리할 것으로 예상됨
시장에서의 OSS 역할
소스 공개에 의한 호환성 확보 및 특정제품에의 고착현상 방지
* 협력사 및 add-on 제품이 용이하다
* 제3자로 하여금 버그를 수정케 할 수 있음
* 용도에 맞는 문서화 가능
상용 패키지 구매와 개발계약의 중간 형태
* 상용 패키지는 고객의 요구를 충분히 맞추기 어렵다
* 상용 패키지는 쓸데없이 크고 기능이 많아서 품질이 저하된다
OSS가 우월한 시장 Segment
* 소스공개를 통한 공공성과 동시에 보안성 확보가 요구되는 공공부문
* 지속적인 요구 사항이 변하거나 개선이 필수적인 경우
* 초기 획득 및 총보유비용 관점에서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부분
상대적으로 단순한 시스템의 대량 구매가 요구되는 분야
* 대학 연구소등 기술력 있는 소비자가 많은 부분
다양한 Business Model이 존재하지만 아직 상업적 큰 성공은 없다
시장에서의 OSS 역할에 대한 반격
최종 사용자가 요구에 맞도록 소스를 고쳐서 사용할 수 있을까 ?
* 그럴때의 문제점
남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하거나
분기현상을 야기해서 공유의 이점을 저하
새로운 release 때마다 통합의 문제점 야기
간단한 수정이나 확장일 때만 가능
* 더 좋은 대안
Open standardization processes: establish reference architecture and interfaces
Component software
Programmer의 열정이 지속적일 수 있을까 ?
* Technical heroism, OSS as populism
OSS 정부 개입에 관한 논란
OSS가 중요하고 시장에서의 역할이 있는가 ?
우리의 (소프트웨어) 산업진흥에 OSS가 도움이 되는가 ?
정부의 OSS 지원 등 시장에 대한 직접 개입이 바람직한가 ?
S/W구매 소비자로서 정부의 자세는 ?
정부에서 OSS의 연구개발에 지원은 ? 그 결과를 OSS로 공개하는 것은 ?
OSS에 대한 정부 개입의 근거
소프트웨어는 公共財
* 非排除性 : 개발되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ex: 음악, 도로)
* 非競合性 : 한사람의 사용이 다른 사람의 사용을 배제하지 않음
* 사회적 최적의 소비상태 유도가 바람직
* 특히 OS는 사회 인프라
소프트웨어 산업발전을 위하여
* OSS의 확산을 통하여 독과점적 소프트웨어 시장의 경쟁 촉진
경쟁자에 대한 불공정 시장 봉쇄 – 반독점 소송
* S/W산업의 혁신능력 향상을 통한 산업 경쟁력 확보
후진국에서는 선진제품과의 기술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
기술공급정책과 수요촉진 정책으로 접근
공공부문의 효율성과 민주성 확보
* 공공부문 시스템의 호환성 확보와 특정 제품에의 고착방지
* 정부 비용 절감
* 소스코드 공개를 통한 보안성 강화
* 시민들의 정보처리 과정에 대한 접근성 보장
정부 지원에 대한 문제 제기
소프트웨어는 공공재이지만 시장에 맡기면 공급 안됨 지적재산권 제도로 해결해야
경쟁적 시장으로서의 소프트웨어 시장
* 독과점이지만 성장과 혁신은 지속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의 특성상 기술개발을 게을리 할 수 없다
* S/W의 Winner-takes-All 특성상 제품별 독점은 불가피
네트웍 효과의 극대화
정부의 개입은 시장을 왜곡, 시장실패를 가속
* 특정 제품의 지원은 자원 배분을 왜곡
* 결과적으로 열등 제품을 국민에게 강요하는 효과
OSS의 혁신성은 신화
* 실제로 대부분의 혁신제품은 상업적 목적으로 개발되었음
OSS의 실제적인 비용 절감은 의문
S/W 산업을 위하여는 OSS집착보다는 첨단기술 개발에 집중하라
바람직한 정부의 개입은 ?
독과점의 폐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공정 경쟁의 틀 제공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해야
* 불공정 행위 감시
시장 및 기술 봉쇄, 불공정 라이센스 등 (e.g. 미국과 EU의 반독점 소송)
“최고의 기술개발은 독점이 아니라 경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공공부문에서의 OSS 활용 촉진
* OSS의 호환성과 보안성 확보 노력
기술표준화 등을 통하여 호환성 확보 노력해야
소비자로서 최적의 상품 정보 공유
* 사적독점 제품과 OSS를 동등한 위치에서 고려
* OSS 도입 성공사례 홍보
국내 산업 활성화 정책의 일부로서 OSS 지원
* OSS 능력 보완확장을 위한 개발사업 지원 국내 기업의 경쟁력 확보
* OSS를 통한 인력양성
결 론
OSS에는 많은 논쟁거리가 존재
* S/W산업은 지속적인 혁신으로 성장하고 있다.
* 정부의 개입은 시장을 왜곡, 시장실패를 가속한다. 경쟁시장에 맡겨라
* S/W는 가장 중요한 인프라. 이것을 남의 지배 아래에 구축할 것이냐 ?
* 정보는 나눠 쓸수록 가치를 더한다
정부의 개입은 적정 수준 유지가 바람직하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50년대 대한민국 문화와 미디어 (0) | 2020.05.29 |
---|---|
6種絕佳食物可消除腹部脂肪過多 (0) | 2020.05.09 |
6 großartige Lebensmittel, um dickes Bauchfett loszuwerden (0) | 2020.04.24 |
공룡의 종류 (0) | 2020.04.08 |
ChutzpaH! 이스라엘 후츠파로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