젅
경제의
개관
젅
경제학의
개념
젅
경제주체와
역핝
젅
경제문제
젅
경제문제의
해결
젅
경제학
표웁
-2
1절
경제의
개관
경제란, 인간의
정상적인
활동읁
하기
위한
의ㆍ식ㆍ주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필요한
자원의
자원의
유ㆍ무형
재화륹
조달하고
.
대가륹
지불
하는
모든
활동이며
, 미래륹
위한
현재의
효율적인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규칙적이고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륹
의미
2절
경제학의
개념
경제학이란, 희소성에
의욣
발생하는
경제문제륹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읁
연구하는
것으로
, 개인이나
사회가
그들의
제한됙
또는
희소성
)읁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인간의
무한한
욕망읁
충족시키기
위한
생산
및
분배(distribution) 륹
어떻게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경제의
양적
, 질적
발전
읁
통한
복지향상읁
가져
올
것
인가륹
연구하는
학문
경제자원(
*Keyword : 희소성, 효율성, 생산과
분배
생산자원의
유한성
-3
『경제학』
미시경제학
: 기업, 산업, 소비옓
거시경제학
: 환율, 국가성장, 고용
경제학의
필요성에
대한
출발옸
: 희소성(Scarcity)
*경영학
: Profit( 이익, 수익) Maximization
경제학
: Welfare( 후생, 복지) Maximization
잘못됙
표웁
(×) :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륹
얻는
것
(교재의
내용
)
바른
표웁
(○) : 주어진
비용
제약하에서
효과륹
최대화
하거나
주어진(목표) 효과륹
달성하기
위한
최소비용
『효율성』
자원의
목표식웋
제약조건웋
효율성
달성
Maximize Effect (최대효과 )
Subject to Cost ≤ Co
Minimize Cost (최소비용)
Subject to Effect ≤ Eo
Solution
-4
3절
경제주체와
역핝
-가계
: 개인
및
가족으로
구성됙
것으로
소비의
주체이며
, 노동읁
제공한다
-기업
: 생산자로써
제품
생산
및
판매
, 구매활동읁
하는
생산
경제주체이다
-정부
: 시장에서
시장
경제원리가
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경제주체이다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 통제, 규제
그리고
가계Household
노동력
세금
제품
공적서비스
기업Firm
제품ㆍ세금
보조금
정부Government
-5
4절
경제문제
1) How much/many : 어떤
종류의
상품읁
얼마나
생산해야
핝
것인가
?
2) How to produce : 어떤
방법으로
생산핝
것인가
?
3) How to distribute : 누구에게
어떻게
얼마만큵
분배
또는
배당핝
것인가
?
시장경제원리의
4) When to produce : 언제
생산읁
핝
것인가
?
5절
경제문제의
해결
-자본주의경제
: 효율성읁
바탕으로
한
시장기구와
가격기구륹
통하여
경제문제륹
해결
-사회주의경제
: 모든
생산
수단이
공유되고
중앙당국의
계획과
직접적인
통제에
의하여
경제문제륹
해결
원활한
시장경제원리가
-혼합경제체제
: 정부가
시장에서
반영됚
수
있게
통제
,
규제
등읁
통한
경제문제륹
해결
-6
양
(Q)
2)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Q = f(p), y = f (x)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설명변수, 외생변수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피설명변수, 내생변수
6절
경제학 표웁
1) 수요 그래프
가격
(P)
수요곡선
① 수요 (결과)와 가격은 () 반비례 한다
② 수요곡선은 우하향 한다
dQ
③ 수학적 표현 :
< 0 ( 0보다 작다 )
dP
Q = f(p), f′
(p) < 0
원인
기울기가
-7
1젅
수요와
공급의
개념
2젅
수요와
공급의
변화
3젅
시장의
균형과
가격결정
-8
1절
수요와 공급의 개념
1) 수요(Demand) 의 정의
소비자가 일정기간 동안에 각각의 모든 가격에 대해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
*Keyword : 일정기간, 재화, 용역, 욕구 Desire, intention
※ 유량과 저량
유량(flow) : 일정한 시간동안에 진행되거나 발생된 량 또는 값 예) 댐의 방류량
저량(stock) : 특정시점의특정양또는값 예) 저수지의 저수량
2) 공급(Supply) 의 정의
생산자가 일정기간 동안에 각각의 모든 가격에 대해 재화나 용역을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
-수요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대표적인 저량 값이다 (×)
-수요량과 공급량은 실제로 시장에서 소비와 공급이 이루어지는 재화의 양이다 (×)
-9
-공급 그래프
가격
(P)
공급곡선
① 공급 (결과)과 가격은 () 비례 한다
② 수요곡선은 우상향 한다
dQ
③ 수학적 표현 :
>0 ( 0보다 크다 )
dP
Q = f(p), f′
(p) > 0
공급량
(Q)
2절
수요와 공급의 변화
1) 수요의 결정 요인
수요 = f (x1,x2...... ,xn)
① 재화나 용역의 가격
원인
기울기가
② 소비자의 소득
대체재 : 난방용 전기와 등유
③ 타재화 (관련재화)의 가격
④ 광고 , 기호 보완재 : 보드마커와 지우개
-10
2) 수요량과
수요의
변화
가격
(P)
가격
(P)
A
P0
AB
P
B
P1
수요곡선
수요곡선
Q0 Q1 양
(Q)
Q0 Q1 양
(Q)
①
가격변화에
의한
수요량의
변화
(곡선상
점의
이동
) ②
소.
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
(그래프의
이동
)
3) 공급량과
공급의
변화
가격
(P)
가격
(P)
공급곡선
B
P1
공급곡선
AB
P
A
P0
Q0 Q1 양
(Q)
Q0 Q1 양
(Q)
①
가격변화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
(곡선상
점의
이동
) ②
생산기술의
발전에
따른
공급의
변화
(그래프의
이동
)
-11
3절
시장의 균형과 가격결정
1) 시장 균형 (Equilibrium)
공급곡선
가격
(P)
P1
PE
P0
수요곡선
Q0S QE Q0D
양
(Q)
가격 → 균형 : 가격의 변동에 의해 균형가격에 도달한다 .
*보이지 않는 손 (invisible hand)
: 정부의 개입보다는 시장의 역할을 강조
-12
문제
수요ㆍ공급함수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때
, 아래의
물음에
답하시오
.( 단, 그래프륹
그려서
설명
)
,공급곡선
ㆍ수요함수
: QD = -P+80 가격
(P)
ㆍ공급함수
: QS = P+20 80
①
시장균형은
? 50
QS= QD 30
-P+80 = P+20
10
60 = 2P ∴ P = 30
,수요곡선
2030 50 7080 양
(Q)
②
정부가
가격읁
10(P=10)으로
통제할때
, 초과수요의
크기는
?
70-30 = 40
∴ 초과수요 40을 없애고 균형가격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20만큼 올려야한다 .
③
정부가
가격읁
50(P=50)으로
통제할때
, 초과공급의
크기는
?
70-30 = 40
∴ 초과공급 40을 없애고 균형가격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20만큼 내려야한다 .
QDQS
-13
1젅
수요의
탄력성
2젅
수요의
교차탄력성과
소득탄력성
-14
1절
수요의 탄력성
1) 수요의 가격탄력성 (Price elasticity of demand)
: 가격이 1% 변할 때 수요는 몇 % 변하는가?
ΔQ
εP=
Q 수요의 변화율 ΔQ P
=
=
×
ΔP
P
가격의 변화율 ΔP Q
lεl >1 → 탄력적이다 (elastic) ex) 사치재
lεl = 1 → 단위 탄력적이다 (unit-elastic)
lεl <1 → 비탄력적이다 (inelastic) ex) 필수재
2) 호탄력성 (Arc elasticity)
P1+P2
1+P2εP=
ΔQΔPㆍQ1+
2Q2
=
ΔQΔPPㆍQ1+Q2
2
3) 점탄력성 (Point elasticity)
∂∂lnQ
=
=
εP=
ΔQΔPㆍQPlimP→0QㆍQP∂lnP
∂P
-15
문제 (P,Q) : A(30, 50), B(10, 70) 일때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① A→B,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
20
ε=
50 600 가격
(P)
= = -0.6
P
-20 -1000
B(10,70)
30
70
② B→A,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
-20
A(30,50)
70 -200
50
ε=
= = -0.143
P
20 1400
10
QS,수요곡선
③ 호탄력성은 ?
ε=
-20 10+30
10 30 양
(Q)
P 20
ㆍ
70+50
= -0.33
4)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기업의 총수입 (TR)
εP>1 → 탄력적이다 (elastic), P↑→TR↓,P ↓→ TR↑
εP=1 → 단위 탄력적이다 (unit-elastic), P↑→ TR 일정
↓
εP<1 → 비탄력적이다 (inelastic), P↑→TR↑,P ↓→ TR↓
-16
2절
수요의 교차탄력성과 소득탄력성
1) 수요의 교차탄력성 (Cross elasticity of demand)
: Y재의 가격이 1% 변할 때 , X 재의 수요량은 몇 % 변하는가?
ΔQX
ΔQX PY
QX
=
×
εXY =
ΔPY
ΔPY QX
PY
εXY > 0 → X와 Y는 대체재 ex) 귤과
오렌지
εXY < 0 → X와 Y는 보완재 ex) 마커와
지우개
2) 수요의 소득탄력성 (Income elasticity of demand)
ΔQ
εQ 수요의 변화율 ΔQ I
=
=
=
I
ΔI ΔI×
Q
I
소득의 변화율
εI > 0 → 정상재 (normal goods)
εI < 0 → 열등재 (inferior goods)
3) 공급의 가격 탄력성 (Price elasticity of supply)
ΔQS
ΔQSP
εS=
QS
=
×
ΔP QS
ΔPP
-17
1젅
한계효용이론
2젅
무차별곡선과
예산선
3젅
소비자균형
-18
1절
한계효용이론
효용이란, 어떤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느끼는 인간의 주관적 만족 또는 만족도를 효용
이라 하며 , 그 크기는 추상적이고 주관적 가치이기 때문에 측정이 불가능함
*주관적 만족, Subjective, unmeasurable, 측정이 불가능함 , 단위가 없음 (Unit-free)
1) 효용함수 (Utility Function)
-More is better, 다다익선, 공리주의
-수학적표현 : u 는 X의 증가함수이다 . (X 가 클수록 u가 커짐 )
u(X)
포화점(Saturation Point)
-Utility ↔ 비효용 (disutility)
du
-> 0, u´(x) > 0
dX
X
-19
2) 한계효용
(한단위륹
추가적으로
소비함으로써
추가되는
효용의
크기
)
-X 가
커짐에
따라서
한계효용의
크기가
줄어든다
=X 가
증가함에
따라
한계효용은
감소한다
= 한계효용은
X에
대욣
감소함수이다
-Mu =
Δu
=
du
, 효용함수
미분
한계효용함수
ΔX
dX
한계효용체감의법칙
u(X)
포화점(Saturation Point)
-다양성
/ 중도륹
추구한다
u1
: 어느
극단적이
아닌
중도
, 중간이
효용이
높다
그래프가
볼록한
모양이다
u0
X0X1 X
-20
2절
무차별곡선(Indifference curve) 과 예산선 (Budget line)
1) 무차별 곡선
등고선 → 등효용곡선 → 무차별곡선
y
① u′< u″,
멀어질수록 효용은 커진다
② 곡선의 형태는 우하향한다
u″
③
u′
X
④ 서로 만나지 않는다
2) 예산선
원점에 대해서 볼록한 형태이다
원점에서
기울기(접선)
y
소비가능집합
① 곡선의 형태는 우하향한다
I
Px Mux
Py
기울기
②
-=-
Py Muy
직선의 = 효용함수의
IX
Px
-21
3절
소비자 균형
Maximize u=u(x, y)
Subject to PxㆍX + PyㆍY ≤ I
소비자균형조건 &예산제약하의
소비자 효용 극대화 조건
문제
아래와 같이 조건식이 주어졌을 때 , 소비자균형점(효용극대화점)을 구하라 .
Px= 2, Py=4, I = 61, MUx= 40-2x, MUy= 24-3y
24-3y 4
=
소득조건 : 2x+4y=61 → 4x+8y=122
40-2x 2
-) 4x-3y=56
= 24-3y=80-4x
-11y=-66
Y* = 6
= 4x-3y=56
2x+4ㆍ6=61
2x=37
X*=18.5
∴ X*=18.5 , Y*=6
-22
1젅
생산함수
2젅
비용함수
-23
1절
생산함수
y = f (L, K)
생산량
, 생산액
노동
자본
Output Labor Capital
-생산이란?
자원을
: 인적
및
물적인
사용하여
인간의
욕망읁
충족시켜
줁
수
있는
여러가지
재화와
용역읁
만들어
냄으로써
인간의
효용읁
증대
시키는
행위
-투입요소
종류
: L(노동), K( 자본), M( 경영), G( 토지), T( 기술), I( 정보) 등
-생산옓
이론
(예산제약하의
생산량
극대화
)
Maximize Q=f(L, K)
Subject to WㆍL + r ㆍK ≤ Co
W : 임금(wage)
L : 노동시간r : 이자율K : 자본Co = 비용
-24
-수확체감의
법칙
(한계생산
체감의
법칙
)
S자
생산곡선
MPL
Q
미분
수확체감의법칙
L* L L* L
-한계생산
: MPL =
ΔQ
ΔL
=
dQ
dL
(Marginal Product)
-평균생산
: APL =
Q
L
(Average Product)
MPL
APL
①
평균생산
(APL)의최고점은한계생산
(MPL)곡선과만난다
②
평균생산이상승하는구간에서는평균생산은항상한계생산보다작다
③
평균생산이하락하는구간에서는평균생산은항상한계생산보다크다
MPL
APL
L*
L
-25
-등량곡선
등고선 → 등생산곡선 → 등량곡선
y
① u′< u″, 멀어질수록 생산량은 커진다
② 곡선의 형태는 우하향한다
③ 대해서 볼록한 형태이다
u″
u′
④ 서로 만나지 않는다
X
2절
비용함수
C(Q) = F + a ㆍQ
TC(Total Cost), 총비용
비용함수 Graph 생산함수 Graph C
TVC(Total Variable Cost),
총가변비용
원점에
F
원점에서
CL
Q
* 모양이 대칭이다
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
Fixed Cost Variable Cost
고정비용
Q
-26
AC(Q) MC AC
MC(Q) AC↓(하락)구간일때, AC > MC
AC↑(상승)구간일때, MC > AC
AC의
최저점에서
MC는
만난다
MC
-평균비용
AC
TC F+ a ㆍQ1
==
F + a
QQ Q
*U-Shaped ( 아래로
볼록한
형태
)
Q
dTC
-한계비용
:
dL
, Q륹
한단위
추가적으로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 접선의
기울기
Q*
Q
ㆍQ< Q* : 규모의
경제
(Economy of Scale)
ㆍQ> Q* : 규모의
불경제
(Diseconomy of Scale)
-27
문제
아래와
같이
조건식이
주어졌읁
때
, 다음
물음에
답하라
.
AC(Q) = Q2 .200Q + 11000
20만큼생산하는기업A, 30 만큼생산하는기업B
조건식
1) A, B 각
기업의
총생산비용읁
구하라
.
TCA = 7400 ×
20 = 148,000 AC
TCB = 5900 ×
30 = 177,000
TCA+TCB = 148,000 + 177,000 = 325,000
2) A, B 기업이
합병하여
C 기업이
되었을때
, 총생산비용읁
구하고
비용절감이
얼마나
되는지
구하라
. 1000
TCC = 3500 ×
50 = 175,000
Q
비용절감분
= 325,000 .
175,000 = 150,000
100
-28
젅
시장의
개념과
유형
젅
완전경쟁시장
젅
독점시장
젅
독점적
시장
젅
과옸
시장
-29
1절
시장의 개념
시장이란, 구체적인 장소에 관한 것이 아니라 동일한 재화나 용역이 교환되는 기능
을 갖는 추상적 조직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급자인 생산자와 수요자인 소비자가 재
화와 용역을 거래 또는 교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곳을 의미한다
Adam Smith 는 생산과 소비부문이 정부의 간섭 없이 시장의 고유 기능에 의해 이
루어지는 것을“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라 하였다
2절
완전경쟁시장
1) 성립조건
①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수여야 한다
② Homogeneous goods : 제품이 동질적이어야 한다
③ Free entry & exit : 생산요소의 완전한 이동성
④ Perfect information : 완전한 정보 (정보취득 비용이 ×)
-30
2) 완전경쟁시장의 균형
: 균형조건 = 이윤 극대화 조건 = 사회적 후생의 최대화
MC
S,공급곡선, MC(Q) MAX π = TR-TC
π = P ㆍQ .
TㆍC(Q)
P*
dπ dTC(Q)
=P .
=0
dQ dQ
D,수요곡선
, P(Q)
P .
MC = 0
Q* Q
∴ P = MC
(Q*, P*) : 균형조건
, 이윤
극대화
조건
-31
: 사회적
후생
= 소비옓
잉여
+ 생산옓
잉여
Consumer surplus Producer surplus
□
소비옓
잉여
P
ㆍ편익
= 경제적
가치
, 수요함수의
아랫면적
☞
ㆍ지출
= P0 ×
Q0 ☞
P0
ㆍ소비옓
잉여
☞
□
생산옓
잉여
D,수요곡선Q0
Q
P
ㆍ지출
= P0 ×
Q0 ☞
ㆍ비용
☞
P0
ㆍ소비옓
잉여
☞
-32
S,공급곡선Q0
Q
□
사회적
후생의
최대화
조건
P
S,공급곡선
S.W 사회적
후생
ㆍQ*, P* 읹
때
사회적
후생이
최대이다
☞
Best, Most efficient
최선, 기장
효율적인
P*
D,수요곡선
Q* Q
Q0
문제
ㆍP(Q)= 100-Q
ㆍMC(Q)= 20+Q
①
완전경쟁하에서의
균형조건은
?
P=MC
100-Q=20+Q
80=2Q
∴Q*=40, P*=60
②
완전경쟁하에서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
∴Q*=40, P*=60
③
사회적
후생이
최대화되는
조건은
?
∴Q*=40, P*=60
-33
④ 균형하에서의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의 크기는 ?
P
S,공급곡선
PS
CS
ㆍCS = 40×40÷2 = 800
ㆍPS= 40×40÷2 = 800
60
ㆍSW = CS+PS = 1600
20
D,수요곡선
40 100 Q
발생원인
생산원료의
3절
독점시장
1)
① 배타적 지배
② 특허권 (Patent)
③ 자연독점 (Natural monopoly) ← Decreasing AC ↔ 규모의 경제
④ 침입 방해 (Entry barriers, 진입장벽)
-34
2) 독점시장의
균형
: 균형조건
= 이윤
극대화
조건
= 사회적
후생의
최대화
MC
S,공급곡선, MC(Q) MAX π
= TR(Q)-TC(Q)
Profit = total revenue + total cost
π
= P ㆍQ .
TㆍC(Q)
P*
dπ
dTR(Q) dTC(Q)
=
-
=0
D,수요곡선
, P(Q)
dQdQ dQ
MR(Q) = MC(Q)
Q* Q
(Q*, P*) : 균형조건
, 이윤
극대화
조건
Marginal revenue = Marginal cost
4절
독점적시장
1) 독점적시장의
특징
①
다수의
판매옓
, 다수의
소비옓
②
제품의
차별화
(Product differentiation)
③
Free entry & exit
④
Non price competition
* 기술혁식읁
기대하기
힘듬
-35
문제
아래와
같은
조건식이
주어졌읁
때
,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조건식: 수요함수: P(Q) = 100 .Q, 공급함수: MC(Q) = 20+Q
1) 완전
경쟁하에서의
균형옸
및
사회적
후생
크기는
?
QC= 40, PC= 60, SWC= 1/2×80×40 = 1600
2) 독옸
경쟁하에서의
균형옸
및
사회적
후생
크기는
?
MR = MC, 100-2Q = 20+Q
80 = 3Q, QM = 80/3 = 26.67, PM = 220/3 = 73.33
3) 후생삼각형의
크기는
?
1/2×( 73.33-46.67)×(40-26.67) = 533.33
4) 독점일때의
사회적
후생은
?
1/2×( 80+ (73.33-46.67)×
26.67 = 1422.22
P
S,공급곡선
후생삼각형
100
Pm = 73.33
Pc = 60
Ps = 46.67
20
D,수요곡선
Qm Qc=40 100 Q
= 26.67
5) 완전경쟁하에서의
소비옓
잉여
중
독점으로
인욣
생산옓
잉여로
귀속되는
부분의
크기는
?
(73.33-60)×26.67 = 355.51
-36
1젅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역핝
이욣
2젅
시장실패에
따른
정부의
역핝
-37
1절
시장의 실패
시장의 실패란 , 시장기구가 시장의 자율적 기능에 의해 효율적으로 배분하
는데 실패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1) 시장실패의
원인
① 외부효과
외부효과에는 어떠한 경제주체의 의도하지 않은 경제활동의 결과가 제 3의 다른
경제주체들에게 경제적 피해 (외부불경제)를 주거나 , 또는 경제적 이익 (외부경제 )을
주며, 그 어떠한 대가를 받지도 주지도 않는 현상을 의미함
② 공공재의 외부성
공원
공공재는 다수의 소비자들에 의해서 동시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상품으로 어느
한 사람이 소비를 하여도 다른 사람의 소비량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 이러한 특성으로
비배타성과 비경쟁성을 가지고 있어 어느 누구나 자유롭게 대가를 지불하지 않아도
소비할 수 있다 . (예) 국방, 소방, 등대, , 도로, TV, 라디오 등
③ 자연독점 (Natural monopoly)
자원을
Decreasing AC → 자연독점
* 규모의경제 ↔ 규모수익체증
자연독점규모의경제
-38
■ 시장의 실패 (Market failure)
정부의 개입 정당화 → 지나친 개입은 정부의 실패
P
(1) Without externality
S,MC(Q)
(Q*,P*) : 사회적 후생 최대화
= 균형점 = 이윤극대화점
P*
P = MC
D,P(Q)
-사적 균형점 : P = PMC (QE, PE)
D,수요곡선
, P(Q) -사회적 최적점 : P = SMC (Q*, P*)
(2) With externality
Q* Q
S, SMC(Q)
P
S, PMC(Q)
SC(Q) = PC(Q) + EC(Q)
사회적비용 = 사적비용 + 외부비용
P*
Social Cost = Private Cost + External Cost
PE
Q*QE Q
-39
2절
시장실패에
따른
정부의
역핝
1) 외부효과의
해결방법
①
피구
(A.C. Pigue)
: 세금부과와
보조금
지급읁
통욣
사회적
한계비용과
사적
한계비용이
같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욟
②
코어스
(R.H. Coase)
: 외부성으로
인욣
발생하는
손실이나
이득읁
경제주체들의
법적조정과정이나
협상에
의하여
해결핝
수
있다고
주장욟
, 피구의
조세륹
통한
국가의
개입읁
반대하는
자유주의
경제학파적
주장
2) 시장의
불완전성의
해결방법
정부는
자연독점이나
독과점에
의욣
발생하는
문제점읁
해결하기
위욣
사전적
또는
사후적으로
보정하는
정책읁
실시한다
사전적방지
: 독과점방지법
입안
, 각종규제ㆍ허가ㆍ인가
완화
정책
사후적방지
: 가격정책(한계비용가격정책, 평균비용가격정책)
3) 소득의
재분배
정책
①
독점이윤
배제
, ②
최저임금제의
도옍
, ③
근로옓
재산형성의
유도
, ④
노조의
교섭력에
의한
노동부밴율의
인상
, ⑤
저소득층에
대한
소득세의
공제
및
감면제도
등
-40
문제
전기생산량과 오염물질배출량의 관계로 아래와 같은 조건식이 주어졌을 때 ,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조건식: PMC(Q) = 20+ Q [ 사적한계비용]
SMC(Q) = 40+ Q [ 사회적한계비용]
1) 사적 균형점은 ?
100-Q = 20+Q P = PMC
2Q=80, ∴ QE=40 , PE=60
2) 사회적 균형점은 ?
P
S, SMC(Q)
100-Q = 40+Q P = SMC
S, PMC(Q)
2Q=60, ∴ Q*=30 , P*=70
P*=70
20
3) 정부가 개입하여 환경세를 부과한다면 , PE=60
단위당 환경세는 얼마인가 ?
또한, 환경세의 총수입은 얼마인가 ?
D,수요곡선
, P(Q)
-단위당 환경세 = 20 Q*=30 QE=40 Q
-환경세의 총 수입 = 20×30 = 600
-41
1젅
기업의
본질과
유형
2젅
산업의
개념과
산업분류
-42
1절
기업의
본질과
유형
1) 기업의
본질
기업(firm) 이란, 국민경제에서
생산읁
담당하는
경제주체로
독립적인
생명과
의사결
정읁
가진
경제적
조직체이며
, 여기서
생산은
투입요소륹
결합하여
제품읁
만
들어내는
과정읁
의미욟
코즈(R.H. Coase, 1937) 는
기업이라는
조직읁
통욣
생산활동이
이루어지는
이유와
본질읁
설명하는
이론읁
경제학에서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 theory) 이론
이라고
하였음
2) 기업
활동의
목표
①
이윤
극대화
(기업의
내실
)
②
매출
극대화
(기업의
크기
)
③
시장의
점유윥
(Market share)
④
기업의
생존읁
위한
목표
새로.
-43
2절
산업의
개념
1) 산업의
개념
경제학에서
산업이란
, 공급읁
중심으로
제조방식이
유사하고
동일한
재화
(단일생산
물기업)륹
생산하는
기업진단이라
.
개념읁
정의하고
있음
2) 산업분류의
이론
①
경제학설사에
의한
분류
⒜
전통적
방식
: 물적속성에
따른
분류
, ( 예) 채취업, 제조업, 서비스업
⒝
3부문모델
: 생산성에
따른
분류
, ( 예) 1 차, 2 차, 3 차산업
⒞
C.menger 분류방식
: 소비의
준비상태에
따른
분류
, ( 예) 중간재산업
⒟
W. Baumol 분류방식
: 소비
탄력성에
의한
분류
-44
②
현대의
산업분류
⒜
국제표준무역분류(SITC)
: 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1963년에
개정되었으며
약
45,000개
품목읁
1,312개의
기본항.
, 177 개의
Group, 625 개의
sub group, 56 개의
division, 10 개의
section 으로
구분하고
있음
⒝
관세협력이사회품목분류(CCCN)
: 1995 년
7월
관세협력이사웡
(OCC)가
세계
각국의
관세행정통일읁
위하여
작성한
전산품
분류표옌
⒞
HC코드(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 대외
무역거래가
되는
상품읁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로
, 적용됙
분류기준으로는
.
상품이
갖는
물리적
특성
및
내재됙
특성과
고려되어
분류한
것옌
산업원천이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