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E FOR ALL

블로그 이미지

MSNU

시설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시설보호)

myPPT 2015. 1. 30. 13:41





































시설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

시설보호의 개념

학습목표 

• 시설보호의 개념과 유형을 이해한다. 

• 시설보호아동의 발생원인을 이해한다. 

• 시설보호아동의 문제를 이해한다. 



• 시설보호-1


– 혈연적으로 무관한 아동들이 혈연적으로 무관한 성인의 보호 아래 24시간 함께    거주함으로써 아동을 사회적으로 보호하는 아동복지사업


• 시설보호-2


– 부모가 자녀를 양육, 보호할 능력을 상실  하였거나 그 역할을 회피할 때 시설에서  제공되는 대리보호사업 



• 시설보호사업의 목적


– 과거 :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장기적으로 집단수용하는 것


– 현재 : 아동을 일시적으로 보호하면서     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을 가족으로 복귀       시키는 것



• 시설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유형


– 부모의 질병이나 가족해체 혹은 이혼 등의 이유로 부모로부터 격리되어야 하는 상황이지만 부모   외에 타인과 유대를 이루지 못할 여러 이유로    위탁보호를 할 수 없는 아동

– 신체가 심하게 부자유스러워 부모가 양육하기   어려운 아동

– 문화실조나 정서장애 등 치료 과정에서 집단적   생활 경험이 필요한 아동

– 성장 과정에서 장애를 일으킨 아동으로서 특수  학교교육도 불가능하여 시설에서의 보호와       수용이 필요한 아동

– 사회 전체에 나쁘게 영향을 끼칠 비행 청소년이나 범죄 아동

– 이전에 같이 생활하던 위탁가정으로부터 크게   실망하였거나 매우 깊은 상처를 입어 가족생활이 적합하지 않은 아동

– 원래의 가족이나 위탁가정으로부터 이탈한 아동


• 시설보호 대상 되는 아동


– 아동복지법에 따라 18세 미만의 자로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의 아동을 말한다.












• 시설보호아동의 발생 

– 가족의 구조적 해체 : 기아, 미혼모, 이혼,   별거, 부모의 사망 등

– 가족의 기능적 해체 :  부모의 경제적       무능력, 질병, 장애, 가족갈등에 따른 학대, 방임, 무관심 등


• 입소 사유

– 부모의 사별, 별거, 가출

– 빈곤, 실직 등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 보호자의 부재에 따른 입소보다는         보호기능의 약화나 부재에 따른 입소가    많아지고 있음 



1) 시설아동의 심리 정서적 문제 


– 일반 가정의 아동보다 문화적으로 실종된 

   환경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아동의 심리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킬 만한 인적․물적 자원과 경험이 매우 부족한 실정. 


– 시설병적인 성격, 즉 의타심, 이기심, 반발심, 열등감, 심적 불안감 등의 성격을 형성


– 원만한 대인관계의 형성 능력, 인내심,    

  성취감, 사회적응력 등이 결여


– Whittaker의 시설보호아동의 문제 


• 욕구 불만을 참지 못함

• 만족을 유예하는 능력 제한

• 충동 통제의 발달 부족

• 낮은 자아상 : 자신에 대해 ‘나쁜’, ‘바보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 감정 조절 기술 미숙 : 화, 공포, 사기, 슬픔과   같은 감정

•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 어려움

• 학습장애 경험

• 혼자 또는 친구들과 함께 놀이를 하는 데       어려움


• 심리사회적응의  어려움


• 입소 원인을 살펴보면 입소 전에 안정적       애착을 경험한 아동과 경제적 이유로 입소한 아동은 이혼, 별거 등과 같은 가족해체로      입소한 아동, 부정적 가족관계를 경험한       아동보다 정서적․행동적 문제를 적게 나타냈다(Vorria et al., 1998).


• * 입소 이전의 부모-자녀 관계가 지지적이라고 평가하였던 아동이 우울 성향이 낮고 학교    적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입소 전 부모-자녀 유대관계도 사회적 위축 및 우울, 불안과 같은 심리․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입소 후 부모와의 접촉은 단기보호아동(Leathers, 2000)과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현실적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만 시설아동의   심리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oy et al., 2000).


• 장기보호의 경우 효 갈등(fidelity conflict)을 일으키기 때문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Leathers, 2000), 부모와의 접촉이 간헐적이고, 지속적이지 않으며 디스트레스와 관련되는    경우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oy et al., 2000). 




• 마지막으로 형제자매가 같은 시설에   배치된 시설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행동문제 특히 공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일경, 1996;이순형 외, 2001).


학습정리 

• 시설입소 보호 

• 혈연적으로 무관한 아동들이 혈연적 무관한 성인의 보호 아래 24시간 함께 거주함으로써 아동을       사회적으로 보호하는 아동복지사업


• 아동복지시설 

• 아동양육시설, 아동일시보호시설, 아동보호   치료시설, 아동직업훈련시설, 자립지원시설,   아동단기보호시설, 아동상담소, 아동전용시설, 아동복지관,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숭아 꽃의 색깔 및 부위에 따른 색소 침착 정도  (0) 2015.02.12
Embedded 시스템의 개요  (0) 2015.02.08
JIT(Just-In-Time) - 기업사례 : TOYOTA자동차  (0) 2015.01.24
장학 행정이란?  (0) 2015.01.19
투자가 - 차이와 경쟁의 원리(가치와 가격)  (0) 2015.01.17
Posted by MSNU






favicon

MADE FOR ALL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609)
    • 러시아어 (16)
    • myPPT (414)
    • 시리즈 (166)
      • OS (14)
      • 회계 (57)
      • 경제 (22)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