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NU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674425C82A3D32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BF7425C82A3D4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6D7425C82A3D5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EF0425C82A3D53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471425C82A3D62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76B425C82A3D73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8F4425C82A3D73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A4A465C82A3D8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993465C82A3D9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0BF465C82A3DA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E86465C82A3DA3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438465C82A3DB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A40465C82A3DC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B914465C82A3DD3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F62465C82A3DD3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95A465C82A3DE2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2A3465C82A3DF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2A3465C82A3DF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C5C465C82A3E1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87A465C82A3E2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407465C82A3E302)
CONTENTS
.
인구통계개요
.
인구동태통계
.
인구동태통계의주요지표
.
생명표
√
인구통계개요
Pt= Po(기준인구) +B( 출생)-D( 사망)+I(유입)-E( 유출)
√
인구통계개요
-자료.
신고출생(동태)
사망(동태)
국내이동(주민)
국제이동(출입국)
총조사(Census)
표본조사(Surveys)
√
공식
인구통계의
종류
인구동태통계출생,혼인, 이혼,
사망(사망원인)
통계(연간)
생명표(연간)
인구총조사(5년)
주민등록인구통계이동통계국내이동(월간)
국제이동(연간)
인구추계(5년)
장래및과거
조사목적
√
인구동태(동향)통계
규.
.
.
대한민국의
인구
및
인구
구조를
변동시키는
기본적
요인인
출생, 사망, 혼인, 이혼에
대한
현황읁
파악
.
인구, 주택, 보건, 사회복지, 교육
교통
등에
관한
정책
수립
및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모든
.
조사대상
.
대한민국
영토
내
혹은
외국에
거주하는
국민
√
인구동태통계
작성과정
통계청시ㆍ도출생사망혼인이혼시군구읍면동에국민이신고입력에디팅지도감독에디팅,분석,
자료제공, 출판시군구읍면동입력,에디팅지도감독입력,에디팅전송전송전송
부모
√
인구동태신고서
-출생신고
.
출생자
사.
. 출생일시
. 성볁
. 주소
. 출생장소
. 임신주수
. 체중
. 태아
여부
.
에
관한
사.
주요항.
. 출생연월읹
. 직업
. 교육정도
.
국적
. 결혼일자
. 총
출산아수
(생존, 사망) . 출생순위
.
기타
사.
. 출생신고일자
(1개.
이내
)
혼인여부
모부.
√
인구동태신고서
-사망신고
.
사망자
사.
. 사망일시
. 사망장소
. 사망자
주소
. 사고내용
. 주민등록번호(나이, 성별) . 국적
. 사망당시
직업
. 혼인상태
. 교육정도
. 사망종류
주요항.
. 사망원인
. 발병~사망
기간
. 사망발생장소
.
기타
사.
. 사망원인
진단자
. 사망신고일자(1개.
이내
)
√
인구동태신고서
-혼인신고
.
혼인당사자
.
주민등록번호
.
주소
.
교육정도
.
실제결혼읹
.
직업
.
혼인종류
.
혼인해소일자
.
국적
주요항.
.
기타
사.
.
혼인신고일자
(기한x, 재판의
경욪
1개월)
√
인구동태신고서
-이혼신고
.
이혼당사자
. 주민등록번호
. 주소
. 직업
. 실제결혼읹
. 실제이혼읹
. 20세미만
자녀
수
. 이혼종류
. 이혼사유
. 교육정도
주요항.
. 국적
.
기타
사.
. 이혼신고일자
(재판
시
1개월, 협의
시
3개월)
모의연령
√
출산력
지표
☞
연앙인구
: 7 웑
1일을
기준으로한
인구
.
조출생률
(Crude Birth Rate)
. 특정
1년간
출생아수
/ 연앙인구
×
1000
.
일반출산률
(General Fertility Rate : GFR)
. 특정
1년간
출생아수
/ 당해연도의
15~49 세
여자인구
×
1000
.
연령볁
출산율
(Age Specific Fertility Rate, ASFR)
. 출생아수
/ 당해연령
여성인구
×
1000
.
출생성비
. 남아
/ 여아
×
100(여아
백명당
남아
출생수
)
√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TFR)
√
연령볁
출산율
(ASFR)
√
혼인(이혼)력
지표
.
조혼인(이혼)율(Crude Divorce Rate : CDR)
. 1년간
총
혼인
(이혼) 건수
/ 당해연도
연앙인구
×
1000
.
일반혼인(이혼)율(General Divorce Rate : GDR)
. 특정
1년간
총
혼인
(이혼) 건수
/ 당해연도의
15세
이상인구
×
1000
.
연령별혼인(이혼)율(Age-specific Divorce Rate : ASDR)
. 특정연령볁
혼인
(이혼) 건수
/ 해당연령층의
남자
또는
여자인구
×
1000
.
유배우이혼율(Divorce rate of married persons)
.1 년간
이혼건수
/ 유배우인구
×
1000
√
여성의
연령볁
혼인율
√
여성의
연령볁
이혼율
작성목적
√
생명표
.
.
현재의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 어떤
출생
집단이
연령별로
몆
세
까지
살수
있는가를
정리한
표
.
보건, 의료정책수립, 보험료율, 인명피.
보상비
산정
등에
활용
.
사망원인생명표는
해당
질병읁
예방하거나
퇴치함으로써
더
살
수
있는
기대여명(생존기대연수)읁
나타내줌
.
완전생명표(Complete LifeTable), 간이생명표(Abridged LifeTable)(5 세단위)
√
생명표
-용어해설
.
사망확률(Probability of dying)
. 정확한
연령
x세의
사람이
x+n 세에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핝
확률
.
기대여명(Average remaining lifetime))
. 정확한
연령
x세의
사람이
앞으로
생존핝
것으로
기대되는
평귝
생존년수
※
연령볁
총
생존년수를
연령볁
생존자수로
나누어
산출
.
기대수명(Life expectancy at birth)
.0 세
출생자가
향후
생존핝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년수
‘0세의
기대여명’읁
말.
√
기대수명(출생시
기대여명
)
√
특정사인에
의한
사망확률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