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언어, 문자의 특징(한자 생성원리,외래어 표기법 등)
중국의 언어와 문자
차례
중국언어의 특징
중국 문자의 특징
한자를 만드는 방법
한자의 외래어 표기방법
중국언어의 특징
중국언어의 특징
한자(漢字)로 표시되는 중국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
중국어는 일반적으로 한어(漢語)라고 부름
1956년 이후 중국의 표준어를 보통화(普通話)라고 부름
중국어 표준어는 수백 년 동안 사용한 북방관화(北方官話)를 기초로 하고, 베이징[北京] 어음을 표준어로 하며 현대 백화문(白話文)을 어법표준으로 삼은 것
중국어의 또다른 명칭
만다린(Mandarin)
만다린은 관화(Official Language)라는 의미를 지닌 범어를 음역한 것으로 ,방언이 유독 많았던 중국에서 중앙정부의 관리가 쓰는 언어를 지칭하는 명칭이었다
중국언어의 특징
⑴ 고립어
⑵ 성조(聲調)언어
⑶ 단음절어(單音節)
⑷ 어순
⑸ 방언
고립어
성(姓), 수(數), 격(格), 시제(tense)에 따른 낱말의 형태 변화가 없는 언어를 지칭함
각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문법적인 기능은 “語順”에 의해 표시되는 언어
고립어
교착어(한국어) : 어형 변화에 의하여 각 단어의 문법적인 기능이 표시 되는 언어
굴절어(영어) : 어근(語根)과 접사(接辭)의 결합에 의하여 단어가 문장 속에서 가지는 여러 가지 관계를 나타내는 언어
고립어
고립어가 된 연원
언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음성부호를 문자로 삼지 않음
언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형상을 취하여 문자로 삼음
각각의 문자들은 완정한 의미를 지님과 동시에 한 음절로 표시되는 음절문자였음
이에 따라 문자의 형태를 변화하는 것은 불가능
성조언어
성조언어는 음성의 높낮이 변화로 서로 다른 의미를 만들어 내는 언어
중국어는 매 음절이 일정한 음고(pitch)를 지니고 있음
성조는 성모, 운모와 마찬가지로 의미를 변별하는 기능을 함
성조언어
성조언어
단음절어
하나의 음절이 의미를 지닌 최소의 음운단위인 것을 말한다.
즉 한 음절로 된 하나의 문자가 하나의 독립된 의미를 지닐 때, 이러한 언어를 단음절어라고 한다.
어순
어순으로 본 언어 분류
• 주어(S)+목적어(O)+동사(V)= 한국어,일본어
• 주어(S)+동사(V)+목적어(O)= 중국어,영어
• 동사(V)+주어(S)+목적어(O)= 아라비아어
어순은 영어와 유사하지만 고립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어순이 바뀌면 문장의 의미가 바뀜
어순
我爱你 나는 너를 사랑해
你爱我 당신은 나를 사랑해
문장의 어순이 문장의 의미를 결정지어주는 역할
방언
크게 7가지로 구분
관화(官話)
오(吳)
상(湘)
공(赣)
객가(客家)
월(粤)
민(閩)
기타 방언들
진(晉, 북방어 일부)
휘(徽, 주로 오어 계열에 포함)
평(平, 주로 월어에 포함)
광동어
광동어는 광동성 일부와 광주시 및 홍콩의 표준방언이며 영어로는 “Cantonese”라고 한다
사용 인구는 약4700만 명으로 추정된다.미국계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쓰는 중국어 방언이기도 한다
관동어의 자음 수는 600개정도로,북경어의 400개보다 많고 ,북경어에는 이미 소실된 –p,-t,-k,의 입성이 아직 남아있어 수, 당 등 중고시대의 한자음체계를 보존하고 있다.성조는 9개이며,발음과 어휘 및 통사면에서는 북경어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중국 문자의 특징
한자의 기원
창힐(仓颉)
해달 형상,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관찰하여 문자를 만들었다는 전설이 전해짐
창힐이 실존 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창힐 작자설이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한자를 수집하고 정리하는데 큰 공헌을 한 사람
글자체의 변천
도문, 陶文
도자기에 새겨진 문자 기호
갑골문 이전의 문자
도문을 문자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함
갑골문,甲骨文
은나라 사람들이 점을 친 후 거북의 배딱지나 짐승의 뼈에 새겨놓은 문자
계문(契文) 또는 구갑수골문자(龜甲獸骨文字) 라고도 함
도안이 많고 쓰기에 특점이 없으며 크기가 불균형하고 임의성이 크다는 초기한자의 특징을 가짐
발견된 은의 갑골문에서 단자의 수는 약 5천자 정도. 그 중 대량의 지사자, 상형자, 회의자, 형성자가 있음
갑골문은 이미 상당히 성숙된 문자 체계임
갑골문,甲骨文
금문, 金文
서주(西周)에서 성행했던 문자
청동기(青銅器)에 새겨 놓은 문자로 명문(銘文), 종정문자(鍾鼎文字)라고도 함
금문, 金文
금문은 정벌(征伐)•책명(冊命)•상사(賞賜)•사전(祀典)•계약(契約)등 당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내용을 풍부하게 반영.
진시황이 전국을 통일하고 소전을 공용문자로 삼은 후, 금문은 점점 쇠퇴.
전서, 篆书
대전(大篆) : 소전의 대칭, 소전 이전의 문자와 서체로서 갑골문•금문 및 육국문자등이 모두 대전에 속하고 대전은 모두 고대 상형문자의 특징을 보존
전서, 篆书
소전(小篆) : 진시황이 전국을 통일하고서 이사(李斯)에게 명하여 만든 문자
진나라의 통용문자, 진전(秦篆)이라고도 함. 소전은 대전보다 간략하고 비교적 더 쉽게 쓸 수 있다
소전은 대전이 예서(隸書), 해서(楷書)로의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줌
소전 이전의 한자: 고한자(古汉字)
전서 : 소전(小篆)
예서,隶书
진나라 시대에 출현 되었으며 한나라 때 성행
진나라 관리들이 늘어나는 행정업무에 발맞추어 서사의 편의를 위해 소전 대신 사용한 자체가 진예(秦隶)이고, 한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된 정식필기체는 한예(汉隶)라고 함
예서,隶书
예서는 소전의 점이 필획으로, 곡선이 직선으로, 둥근 형태가 네모 형태로 바뀐것임
더는 상형 부호가 아님
‘예변(隶变 : 소전에서 예서로 자체가 변화발전한 것)’ : 고금(古今)한자의 분계선
의의: 금문자의 시작
초서, 草书
종류 : 장초(章草),금초(今草),광초(狂草)
시기: 한나라 때
특징: 구조가 간단하고 필획이 이어지는 것
초서, 草书
초서는 예서보다 빨리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글자를 알아보기 힘들다는 단점을 지니게 되었음
지나치게 간략화해 필자 자신도 읽을 수 없을 정도로 실용적인 가치를 잃고 오늘날에 와서는 예술적인 서체로서 의의만을 지니게 되었음
의의: 서예의 시작
해서,楷书
정서(正書) 또는 진서(眞書)라고도 함
알아보기 쉽고 빨리 쓸 수있다는 장점을 가진 가장 전형적이고 모범적인 서체
한자의 표준자체
해서,楷书
위진남북조 시기에 등장하여 당대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음
예서에 잔존한 소전의 영향을 완전히 없애고 온전한 필획체계를 가지고 있음
행서,行書
해서의 필기체, 초서와 해서의 중간 형태
해서보다 쓰기 쉽고 초서보다 읽기 쉬운 특징이 있음
행서,行書
간체자 简体字
기존 한자 중 2,235자의 형태와 획수를 간략하게 만든 간화자
실용성만 가지고 만듬
문제점: 뜻글자서로의
한자 기능을 상실
한자를 만드는 방법
한자를 만드는 방법
한자는 처음 만들어 질 때 언어의 의미가 담지하고 있는 형상을 취하여 문자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고대 중국인들이 만들어 사용해놓은 한자를 통하여 그들이 바라보는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상형(象形)
구체적인 사물의 형상을 그대로 본뜬 것
山, 川, 日, 月 등이 여기 해당한다
子는 머리가 크고 두 팔을 벌린 아이의 모습을, 女는 여자가 두 손을 마주잡고 무릎을 꿇고 잇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형(象形)
지사(指事)
추상적인 대상에 대해 기호로서 어떤 의미를 나타내도록 한 것
즉, 개념은 있지만 본뜰 대상이 없는 것
예) 위/아래 라는 개념을 표현하기 위하여 기준선인 횡선을 긋고, 횡선의 위와 아래에 점이나 짧은 횡선을 그려넣음
지사(指事)
상형(象形)과 지사(指事)의 결합
상형과 지사의 두 방법을 결합해 보다 쉽고 빨리 새로운 문자를 만든 고대 중국인
예) 사람 눈 모양을 본 떠 目자를 만들어 낸뒤, 눈의 형상에 눈썹을 의미하는 짧은 곡선들을 추가함으로써 =>눈썹이라는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냄
회의(會意)
이미 있는 글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것이다
형성(形聲)
글자의 의미를 나타내는 형부와 글자의 독음을 나타내는 성부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글자
한자의 80프로 이상을 차지
靑에 의미를 한정하는 부호 붙여나가면
물이 푸르다 = 淸
깨끗한 마음 = 情
전주(轉 注)와 가차(假借)
전주 ; 글자가 지닌 본래의 뜻에서 확대하거나 변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것
道 ‘사람이 걸어다니는 길’ => ‘사람이 행해야 할 도리’ 뜻이 확대됨
樂 음악 악 => 즐거울 락, 좋아할 요
가차; 뜻과는 상관없이 音만을 빌려서 同音의 다른 의미를 지니는 글자를 만드는 방법
한자의 외래어 표기방법
표기방법 4가지(95P)
첫째,외래어의 발음만을 음역:
외래어를 원음에 가깝도록 받아들고 자기의언어습관에 맞도록 발음을 순응시키는 방식이다.
1. 음을 표기하기 위해 새로운 글자를 만든다.
예: coffee → 咖啡, whisky → 威士忌, card → 卡, lemon → 柠檬.
2. 문자의 글자의 뜻과는 무관하게 표음의 기호로 하다.이러한 방식은 주로 이름과 지명 등 고유명사가 많다.
예: Hitler → 希特勒(히틀러), Andersen → 安徒生(안데르센),
New York → 纽约(뉴욕), Swiss → 瑞士(스위스)
둘째, 외래어의 발음과 의미 모두 고려한 방법:
음을 표기함에 있어서 유사한 의미를 포함할 수 있는 한자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예:
Cocacola → 可口可乐 코카콜라 (입에 맞고 매우 즐겁다)
Vitamin → 维他命 비타민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다)
Shampoo → 香波 샴푸 (향기가 물결치다)
Romantic → 浪漫 낭만 (물결이 출렁거리다)
E-Mart → 易买得 이마트 (쉅게 살수 있다)
셋째, 외래어의 발음을 음역하고 한자를 더하여 표기:
먼저 외래어를 음역한 뒤 해당되는 종류의 이름을 한자로 더하는 방식 이다.
예:
Ballet → 芭蕾舞 발레 : 芭蕾(음역)舞(춤)
Beer → 啤酒 맥주 : 啤(음역)酒(술)
Golf → 高尔夫球 골프 :高尔夫(음역)球(공)
AIDS → 艾滋病 에이즈 : 艾滋(음역)病(병)
음역어 뒤에 한자를 부가하여 보충설명을 함으로써 그 어휘의 의이나 성질 및 특성을 선명하게 하여 준다.
넷째, 외래어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게 새로 만드는 방법:
외래어의 발음은 고려하지 않고, 그 뜻만을 고려하여 새로 만드는 방식이다.
예:
Lipstick → 口红,唇彩 립스틱 : 입이 붉어진다.
Black box → 黑匣子 블랙박스 : 검은 상자.
BMW → 宝马 : 귀한 말
Cocktail → 鸡尾酒 칵테일 : 수탉의 꼬리 술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계절의 별자리 (0) | 2019.03.31 |
---|---|
여러가지 인구통계 (0) | 2019.03.22 |
What to do if you are afraid of dementia (0) | 2019.03.18 |
한비자의 법가사상 - 법술세(法術勢) (0) | 2019.02.25 |
조공과 책봉 외교 (0) | 201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