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미국, 한국
myPPT
2021. 12. 21. 06:48
사회복지행정론
목 차
개 요
개 요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3기로 구분
• 형성기(1870년대~1920년대)
남북전쟁 후→ 급격한 사회변동
자선조직협회(COS) 조직(1877. 동부 버팔로)
⇒최초는 영국 런던에서 시작
⇒우애방문원
(활동)① 각종 자선기관과 사업조정
② 서비스 중복, 누락방지 위해 수혜자 명단 교환
③사례회의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뉴욕하계자선학교 설립(1898.Edward Devine )
→ 사회복지사 양성교육 시작
→ 미국 최초 사회복지 정규과정(1910) 으로 발전 (2년제 대학원 교육과정)
최초의 여성 사회복지행정 전문가(Mary Richmond)
→ 필라델피아 COS기관 사무국장(1900-1909)
사회복지행정이 기본적인 실천방법으로 인정(1929. Milford Conference)
※ 기본실천방법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사회복지행정
인간중심의 조직관리 이론가인 Mary Follett은 보스톤시의 Roxbury 지역사회복지관의 행정가였음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발전기(1930년대~1960년대)
1930년대 초 경제대공황
→대량실업+빈곤문제
1935 사회보장법 제정
→사회보험, 공공부조 pg 등의 제도화
※공공부조pg(ADC.미국최초), 노인 및 장애인 복지pg
사복대학원 외 학부과정에서도 사회복지사 배출시작
민간사회복지기관 운영에도 행정개념 적용
1930년대말. 두 가지모델의 사회복지행정가 등장
→민간사회복기관의 행정가 : 전문가 자격증
→공공복지행정가 : 일반행정가 출신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960년대. 흑인인권운동, 반전운동, 복지권운동
→다양한 사회행동기관 출현
→지역사회정신보건원 탄생과 확충
1959 Boehm은 사회복지행정을 5가지 전문적 실천방법의 하나로 간주
※5대전문적 실천방법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사회복지조사, 사회복지행정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확립기(1970년대~1990년대)
1970.사회보장법, 공공부조 관련법률 개정
→ 서비스가 더욱 복잡하게 세분화
사례관리 등장(1970년 이후 )
1970년대. 사회와 사회복지계의 관심
→ pg과 서비스의 팽창과 확장에서 효율성, 효과성, 책임성
1976년 사회복지행정의 전문학술지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창간
1980년대 복지프로그램 예산 삭감 과 정부직영pg의 민영화
1990년대 민영화와 상업화 강화, 재정관리와 마케팅 강조, 사회복지조직의 합병과 연합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반열방(원산.1906)
→ 최초의 민간 지역사회복지관
태화여자관(1921)
→ 현대적 의미의 민간 사회복지관
긴급구호와 수용시설의 보호사업(1945광복~한국전쟁)
→ 전쟁고아, 월남피난민, 부랑인 대상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947.이화여자대학교
1953.중앙신학교(현 강남대)
1959.서울대학교 학부과정
1961.서울대학교 사회사업행정을 교육
1960년대.민간복지기관
→ 외원기관의 원조에 의존
1970년대.외원기관들의 철수 및 원조삭감
1970년대 말.총13개 대학
→ 사회사업교육 시행
→ But 사회복지행정의 전공필수 인정대학과 미 인정 대학이 반반 정도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980년대~그 후반.
→ 각종 사회복지기관 탄생
→ 공공복지행정체계 마련
1987 사회복지전문요원제도 시행
→ 1990년대까지.324명 배치(6대도시 동사무소 )
1990년대 이후. 시설 및 기관의 사회복지행정 수요 촉발
(이유) ①민간복지재단의 재정지원시작
②시설 및 기관에 대한 평가제도 시행
③시설 및 기관간의 경쟁→자원확보 중요
1999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창립
3. 전망과 과제
사회복지행정은 역사적으로
3. 전망과 과제
• 사회복지조직의 변화와 향후 과제
사회복지조직의 향후 해결 과제
•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조직의 확대에 따라 조직경쟁력 강화
- 독점적 지위에서 무한경쟁시대→경쟁우위 확보
• 책임성 요구의 증대에 따른 사회복지조직관리 및 행정의 과학화
- 평가(1회이상/3년)
⇒핵심은 책임성, 효과성, 효율성
- 주먹구구식 운영을 탈피한 행정체계의 과학화
• 근로환경 변화에 따른 조직의 근로환경 개선과 새로운 사회복지 조직의 문화창달 요구
- 사회복지사의 열악한 처우개선
- 근로조건의 향상으로 발전적인 조직문화 형성
3. 전망과 과제
•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전망과 과제
사회복지행정은 복지정책과 복지서비스를 이어주는가교
→ 복지정책 수립과 집행에 영향
→ 사회복지서비스 제공방법과 질을 결정
사회복지행정의 지식과 기술
→ 사복서비스조직의 팽창과 경쟁
→ 평가로 인한 책임,효과,효율 중시
→ 근로조건 향상과 생산적 조직문화
문제탐구
• 미국의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09년.7회 기출)
• 1935년 사회보장법이 제정되면서 공공복지행정의 규모가 확대되었다.
• 대공황 이후 빈곤의 문제로 인하여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 최근에서야 사회복지 부문의 민영화가 본격화되었다.
• 1960년에는 지역사회 내 사회운동단체들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들이 확충되었다.
• 1960년에는 미국사회복지교육협회에서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보고서들을 출간하였다.
문제탐구
•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의 발달과정으로 틀린 것은? (2010년.8회 기출)
• 1950~60년대:민간사회복지시설의 운영지원에 외원단체 비중이 컸다.
• 1970년대:사회복지사업법의 시행으로 사회복지행정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 1980년대:사회복지서비스 관련법이 제정, 시행되면서 다양한 이용시설이 설립되었다.
• 1990년대:사회복지행정학회가 설립됨에 따라 학문적 발전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 2000년대:사회복지전문요원 제도가 도입되어 공공 사회복지행정의 체계가 마련되었다.
답 3번.미국의 경우 1980년대 이후부터 사회복지 민영화와 프로그램 예산의 축소가 이루어졌다.
답 5번.1987년 도입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unerwartete Symptome, die auf eine Depression hindeuten (0) | 2022.01.24 |
---|---|
교육사의 기초 - 교육학설사,한국,서양,중국 (0) | 2022.01.13 |
Auch weniger Sitzen kann Herzkrankheiten vorbeugen. (0) | 2021.07.23 |
Laten we eens kijken naar 5 manieren om geheugenverlies door veroudering te voorkomen. (0) | 2021.07.10 |
과학과 철학은 무슨 관계인가요? (0) | 202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