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세계 . 1026 m 우주 . 1021 m 갤럭시 . 1012 m 태양 . 107 m 지구 . 105 m 한국 . 103 m 문학경기장 . 100 m 사람 작은 세계 . 10-3 m 진드기 . 10-7 m 아메바 . 10-9 m DNA . 10-10 m 수소원자 . 10-14 m 원자핵 . 10-15 m 양성자 . 10-18 m 쿼크 원자 . 원자 (atom) : 더이상 쪼개지지 않는 입자 . 레우시푸스 (그리스, 480-420BC) 원자설을 최초로 주장 . 데모크리토스 (그리스, 460-370BC) 원자설을 발전시킨 사람 . 돌턴 (영국, 1766-1844) 물질의 기본 구성요소는 원자라고 주장 원자를 처음 본 사람 . 아인슈타인이 1905년에 발표한 세 논문 -특수 상대성 이론 -광전효과 -브라운 운동 원자가 기본입자가 아닌 증거 . 멘델레프 (러시아, 1834-1907) 원소의 주기율표 발견 원자 내부에 구조가 있다는 증거 원자가 기본입자가 아닌 증거 . JJ 톰슨 (영국, 1856-1940) 1897년에 음극선에서 전자 발견 전자는 원자에서 나온다고 추론 JJ 톰슨의 원자모형 . 쪼코파이 원자모형 양전하는 원자 내부에 구름처럼 분포 전자는 양전하 구름 사이사이에 존재 원자핵의 발견 (1911년) . 러더퍼드 (영국, 1871-1937) 알파선-금박 산란실험 수행 . 원자의 양전하는 모두 원자핵에 모여있다 러더퍼드의 실험실 원자핵의 구성에 대한 의문 . 원자번호와 원자량이 일치하지 않음 원소 원자번호 원자량 수소 1 1 탄소 6 12 나트륨 11 23 칼슘 20 40 원자핵의 구성에 대한 의문 . 수소원자의 원자핵 . 양성자 원자번호 :Z 원자량:A . 하이젠베르크 (독일, 1901-1976) 주장 원자핵=A개의 양성자 +(A-Z) 개의 전자 . 채드윅 (영국, 1891-1974) 1932년 알파선 산란실험에서 중성자 발견 . 원자핵=Z개의 양성자 +(A-Z) 개의 중성자 물질의 궁극적 구성 요소는 ? . 19세기 말 : 수십 종류의 원자 . 20세기 초 : 양성자, 중성자, 전자 단 3종류 잠시 동안 물리학자 들이 참 행복하게 생 각한 시기가 있었습 니다. 소립자 Elementary Particle . 중성자 붕괴 : n p+e. 양성자 산란 : p+ g n + e+ . 양성자 , 중성자, 전자 등은 결코 더 쪼개지 지 않고 다른 입자로 바뀔 뿐이다 . . 그런 입자를 소립자라고 부르기로 함 . 새로운 소립자의 발견 . 우주선 (cosmic ray) 실험 . 1940-50 년에 걸쳐서 거품상자로 측정 소립자의 분류 . 렙톤 : 전자, 뮤온, 타우입자 . 메존 : 파이메존 , 로메존, 케이메존 … . 바리온 : 양성자, 중성자, D 입자, S입자 ... 1960년대 초까지 수 백 가지의 소립자가 새로 발견되었답니다 . 놀라운 일이 아닌가 요? 소립자에 대한 주기율표 . 소립자들을 특별한 방법으로 배열 멘델레프가 그린 원래 주기율표 바리온에 대한 유명한 주기율표 . W-입자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었음 . 쿼크가 존재한다고 제안 . 겔만 (미국, 1929-) 1962년 W-입자의 존재 예언 -발견 1964년 쿼크 제안 바리온 : 3 개의 쿼크로 구성 메존 : 쿼크와 반쿼크로 구성 . 쿼크(quark) 라는 단어는 아무런 의미도 갖고 있지 않음 . 물질의 궁극적 구성 요소는 ? . 19세기 말 : 원자 . 20세기 초 : 소립자 . 20세기 말 : 렙톤과 쿼크 -> 표준모형 바리온 주기율표를 쿼크로 설명 ddd ddu duu uuu sdd sdu suu ssd ssu sss 이야기를 끝내며 . . . . 쿼크도 더 쪼갤 수 있으리라고 생각되지 않나요 ? . 아주 큰 세계를 어떻게 알게 되었을지 궁금하지 않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