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시대 유교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국고대의
유학사상
생각할 문제
1. 삼국 시대 유교의 특징은 무엇인가?
2. 유교의 전래는 한국인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유학의 경전>
① 시(詩) : 고대 백성들의 노래집
② 서(書) : 정치이념
③ 역(易) : 우주자연과 인생의 철학
④ 예기(禮記) : 예제
⑤ 춘추(春秋) : 노(魯)나라 역사,
사회의 의리를 밝히다.
춘추필법(春秋筆法),
존왕양이(尊王攘夷), 난신적자(亂臣賊子)
⑥ 악경(樂經) : 음악--- 없어짐
<유학의 시대적 다양성>
① 선진(先秦) 유학사상
공자 - 보편적 인간의 본성과 예제(禮制) 천명
맹자 - 인간 본성 강조 --> 정통 유학
순자 - 문화 예제(禮制) 강조 --> 법가(法家)
② 한대(漢代)의 경학(經學) : 금고문 논쟁
동중서의 체계화 - 유교일존(專崇孔子, 罷出百家)
③ 송대(宋代)의 성리학(性理學): 인의(仁義)의 성리학 -정주(程朱)
④ 명대(明代)의 양명학(陽明學): 인의의 심학(心學) - 육왕(陸王)
⑤ 청대(淸代)의 고증학(考證學): 博學實證
- 청초: 고문(古文) 훈고학(訓詁學)
- 청말: 금문(今文) 공양학(公洋學) 현실정치 중요시
2. 삼국시대 유학의 역사적 기능
① 정치- 통치이념 제공, 정치제도 수립
광개토왕비 ‘이도여치(以道輿治)’, 연호(年號: 永樂) 사용
진흥왕순수비(황초령비) ‘수기이안백성’(修己以安百姓),
‘보국안민’(輔國安民)
율령(律令) 반포 -고구려(327), 백제(3세기 후반), 신라(520)
② 경제 - 토지제도 도입- 정전제(井田制)
③ 사회 - 신분제도
④ 문화 - 교육제도 마련
- 太學(고구려) 國學(신라), 백제 五經博士제도
- 扃堂(고구려)
⑤ 역사서 편찬 : 역사판단 기준 마련
- 「留記」, 「新集」(고구려), 「書記」(백제), 「國史」(신라)
4. 일본에 문화 전래
① 고구려 담징(曇懲)
② 백제 아직기(阿直岐), 왕인(王仁)
-천자문(千字文), 논어(論語) 전달
5. 단원 정리
인간의 정서와 천부지모(天父地母)에 기반한 유교는 한국인의 정서에 부합
국가와 가정은 인간 정서의 유대 관계로 이해
삼국시대 사람들은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를 바탕으로 인격을 도야함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인과 이혼 / 유언의 방식(상속순위, 법정상속분, 특별연고자의 분여청구권, 유류분등의 개념) (0) | 2022.06.24 |
---|---|
독서를 많이한 사람들 - 세종• 나폴레옹• 에디슨• 헬렌 켈러• 오프라 윈프리 (0) | 2022.05.13 |
인사행정 제도의 발달 - 직업공무원제도/정실제와 엽관제 /실적제 / 대표관료제 (0) | 2022.04.05 |
장애인 직업과 적합직종개발 (0) | 2022.03.09 |
부모교육의 - 정의 / 필요성 / 역사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