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원가모형)
4. 감가상각(원가모형)
기업은 원가모형과 재평가모형 중 하나를 회계정책으로 선택하여 유형자산의 종류별로 동일하게 적용한다. 유형자산은 기업의 영업활동에 사용되거나 시간의 경과, 기술적 진보 등에 의하여 유형자산의 물리적 ·경제적 가치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유형자산의 가치가 감소되는 현상을 감가라 하고, 감가상각이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대상금액을 그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체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각 회계기간에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유형자산의 가치감소액을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산정과정에 포함시키는 절차를 감가상각이라 한다.
(1) 감가상각비 계산요소
① 감가상각대상금액
유형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인식될 총감가상각비로서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액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② 내용연수
그 자산으로 인하여 경제적 효익을 누릴 수 있는 최대기간으로서 추정내용연수 또는 경제적 내용연수라고도 한다.
③ 감가상각방법
a. 정액법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액) ÷ 내용연수 |
b. 가속상각법
- 이중체감법 ∙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X 상각률 ∙ 상각률 = (ㄴㄴ1ㄴㄴ) X 2 내용연수 |
- 정률법 ∙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X 정률 ∙ 정률 = 1 - n√잔존가액 (n은 추정내용연수) 취득원가 |
- 연수합계법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액) X 잔존내용연수 내용연수의 합계 |
c. 비례법
- 생산량비례법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액) X 당기생산량 총추정생산량 |
- 작업시간비례법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액) X 당기작업시간 총추정작업시간 |
d. 종합상각법
∙ 연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합계 X 종합상각률 ∙ 종합내용연수 = 감가상각기초가액 합계 연간감사항각비 합계 ∙ 종합상각률 = 연간감가상각비 합계 취득원가 합계 |
'시리즈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의 개념과 특징 (0) | 2013.10.15 |
---|---|
감가상각(재평가모형) (0) | 2013.10.13 |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취득 이후의 지출 (0) | 2013.08.31 |
유형자산의 정의와 인식 (0) | 2013.08.30 |
금융자산의 분류변경&보론(관계기업투자) (0) | 201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