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의 개념과 특징
1) 시장의 개념
오늘날 대량생산 체제에서의 상품 경쟁으로 인하여 시장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하다. 시장에서는 재화 및 용역의 가치실현이 이루어지고 자원을 배분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시장이란 판매자와 소비자, 그리고 상품이 집결하는 장소로 수요와 공급에 관한 정보가 교환되고 매매가 이루어지는 매개체이다. 즉 수요와 공급이 만나 상품의 가격이 형성되고 상품의 매매가 발생하는 장소이다.
2) 시장형태의 결정요인
시장의 형태는 크게 재화의 공급자와 수요자의 수, 제품의 동질성, 신기업의 시장에의 진입여부, 판매자와 소비자의 시장에의 정보보유상태 등에 의해 결정된다.
(1) 시장경쟁을 발생하게 되는 재화의 공급자와 수요자의 수
어떤 제품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많으냐 적으냐에 따라 그 수가 많으면 ‘경쟁적’이며, 적으면 ‘비경쟁적’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2) 제품의 유사성 또는 동질성의 정도
쌀, 강철, 쇠고기, 유리, 석유, 계란 등은 비교적 동질적인 상품이며, 서로 동질적인 제품은 거의 완전한 대체재이다. 제품이 동질적인 경우에는 그다지 광고선전은 필요하지 않다.
새 기업의 진입이 자유로운가 그렇지 않은가, 그렇지 않다면 그 정도는 어떠한가 하는 점이다.
(4) 판매자와 소비자의 시장에 대한 정보 소유
소비자와 판매자가 시장에 대하여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판매자가 가격차별을 하거나 소비자에 의한 상품의 차별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3) 경쟁상태에 따른 시장형태
(1)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은 동종동질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와 판매자가 다수 존재하고 기업이나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되며, 가격형성에 인위적 제한이 없으며, 소비자와 판매자는 시장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시장을 의미한다<표 1>.
이러한 완전경쟁시장일 경우 소비자주권이 실현될 수 있어 소비자에게는 가장 이상적인 시장형태이나 현실적으로 존재 불가능한 시장형태이다.
<표 1> 완전경쟁시장의 조건
공급자와 수요자 |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존재 |
제품의 성질 |
동질적 |
시장에의 진입여부 |
자유로운 진입과 탈퇴 |
정보여부 |
판매자와 소비자의 완전한 정보 |
(2) 독점시장
독점시장은 공급자가 하나인 경우로 같은 상품을 생산하는 다른 경쟁자가 없거나 직접적인 대체재를 생산하는 공급자가 없는 시장구조이며, 다른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기가 매우 곤란하며, 판매자와 소비자는 불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소비자에게는 가장 불리한 시장형태이다<표 2>.
<표 2> 독점시장의 조건
공급자와 수요자 |
유일한 공급자와 또는 수요자가 존재 |
제품의 성질 |
이질적(대체재 부재) |
시장에의 진입여부 |
매우 곤란 |
정보여부 |
판매자와 소비자의 불완전한 정보 |
(3) 과점시장
소수의 공급자에 의하여 제품이 공급되는 시장으로 소수의 기업들이 유사한 상품을 생산하여 하나의 시장에서 상호 경쟁하고 있는 시장형태이다<표 3>.
과점시장에서는 각 기업들이 타기업의 행동을 고려하여 행동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가격변동이 적은 경직가격이 지배하게 된다. 또한 과점시장에서는 담합이 일어나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카르텔(Cartel)이며, 이는 동종 제품을 생산하는 과점기업들이 특정 시장의 독점화를 목적으로 결성한 기업의 연합체로 가격결정, 최저가격 설정, 생산량, 판매량의 최고한도 설정, 판매조건의 통제 등이 주목적이다.
<표 3> 과점시장의 조건
공급자와 수요자 |
소수의 공급자와 다수의 수요자가 존재 |
제품의 성질 |
동질적 |
시장에의 진입여부 |
비교적 용이한 진입과 탈퇴 |
정보여부 |
판매자와 소비자의 불완전한 정보 |
(4) 독점적 경쟁시장
다수의 기업이 참여하며, 참여 기업들은 서로 다른 디자인, 품질, 상표, 포장 등에 있어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유사 상품을 생산 공급하여 상호경쟁하고 있는 시장형태로 수요자의 입장에서 볼 때는 어느 정도의 이질성이 있는 상품 시장을 말한다<표 4>. 가격경쟁과 더불어 품질, 디자인의 개선, 광고 등의 수단으로 자기 제품에 대한 수요를 늘이기 위한 비가격 경쟁이 나타난다.
독점적 경쟁시장에서는 판매비용의 부담이 크므로 이 판매비용은 대부분 소비자에게 전가된다.
<표 4> 독점적 경쟁시장의 조건
공급자와 수요자 |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존재 |
제품의 성질 |
이질적 |
시장에의 진입여부 |
진입과 탈퇴가 비교적 용이 |
정보여부 |
판매자와 소비자의 불완전한 정보 |
4) 우리나라 시장의 구조적 특성과 문제
우리나라의 경우 상품시장에서의 독과점 구조의 심화 내지 안정화는 기업집단, 즉 재벌의 성장과 동시에 진행되어 왔다는 점에서 그 문제의 심각성은 더욱 크다. 특히 우리나라의 시장구조는 담합이 용이한 과점의 특성을 보이고 있고 사업자단체의 불합리한 운영 등으로 인하여 공동행위가 상당히 관행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과거 경제성장 위주의 정책으로 정부의 행정지도에 의하여 관제카르텔이 일반화되어 있다.
'시리즈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형자산 취득 후 회계처리 (0) | 2013.11.18 |
---|---|
무형자산의 정의와 인식 (0) | 2013.11.10 |
감가상각(재평가모형) (0) | 2013.10.13 |
감가상각(원가모형) (0) | 2013.09.09 |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취득 이후의 지출 (0) | 201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