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의 의의와 분류
제1절
(1) 부채의 의의
-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현재 기업실체가 부담하고 있으며 미래에 경제적 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의 의무이다. 부채는 다음 조건이 충족될 때 재무상태표에 부채로 인식한다.
※ 부채의 인식충족요건
① 현재의무의 이행에 따라 경제적 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② 결제될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2) 부채의 분류
①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분류 : 1년을 기준으로 분류. 다만,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은 재무상태표일로부터 1년 이내에 결제되지 않더라도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이 경우 유동부채로 분류한 금액 중 1년 이내에 결제되지 않을 금액을 주석으로 기재한다.
유동부채 |
단기차입금, 매입채무, 미지급금, 선수금, 미지급법인세, 미지급비용, 선수수익, 유동성장기차입금 등 |
비유동부채 |
사채, 장기차입금, 확정급여채무, 장기제품보증충당부채, 장기미지급금, 장기미지급비용, 장기선수수익, 이연법인세부채 등 |
② 확정부채와 추정부채 : 부채의 실재성과 금액의 불확실성 정도에 따라 분류.
확정부채 |
대차대조표일 현재 부채의 존재가 확실하고, 금액이 확정되어 있는 부채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사채 등 |
추정부채 |
부채의 존재 여부가 불확실하거나, 지급시기 도는 금액이 불확실한 부채 충당부채, 우발채무 등 |
(3) 부채의 평가
역사적 현금수취액 |
부채를 부담하는 대가로 수취한 현금 또는 현금등가액 |
|
유출가치 |
현행유출가치 |
부채를 현시점에서 상환시 지급할 금액 |
이행가격 |
미래에 부채 상환시 지급할 금액 |
|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미래 지급될 금액의 현재가치 |
'시리즈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채(금융부채) (0) | 2013.12.13 |
---|---|
충당부채 (0) | 2013.12.11 |
기타 비유동자산의 분류, 법인세기간배분 (0) | 2013.11.30 |
영업권 (0) | 2013.11.20 |
무형자산 취득 후 회계처리 (0) | 201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