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 충당부채
(1) 충당부채의 의의
충당부채는 과거의 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서 존재하는 의무이며, 지출의 시기 또는 금액이 불확실하지만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또한 당해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부채를 말한다.
① 판매보증충당부채 : 제품판매 후 품질보증과 관련한 사후관리비용에 대비하여 설정한 부채.
a. 판매보증충당부채 설정액 = 당기매출액 X 보증비율
(차) 판 매 보 증 비 XXX (대) 판매보증충당부채 XXX |
b. 보증비용 지급시
(차) 판매보증충당부채 XXX (대) 현 금 XXX |
② 경품충당부채
기업은 판매촉진을 위하여 상품을 판매시 경품권을 발행하는 경우가 있다. 경품권을 발행한 경우 고객의 경품권 행사로 인하여 예상되는 경품자산의 유출액을 판매연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동 금액을 경품충당부채로 설정하여야 한다.
(2) 우발채무와 우발자산
① 우발채무
과거의 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 발생한 현재의무이지만 그 의무를 이향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지가 않거나, 또는 그 가능성은 매우 높으나 당해의무를 이행하여야 할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사건은 발생하였으나 기업이 전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확실한 미래사건의 발생여부에 의하여서만 그 존재 여부가 확인되는 잠재적인 의무로서 부채로 인식하지 아니한다.
② 우발자산
과거의 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서 발생가능성이 있으며, 기업이 전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하나 도는 그 이상의 불확실한 미래사건의 발생 여부에 의하여서만 그 존재여부가 확인되는 잠재적 자산이다.
※ 우발자산의 회계처리
금액 추정가능성 발생가능성 |
추정가능 |
추정불가능 |
거의 확실(probable) |
우발자산으로 주석공시 |
우발자산으로 주석공시 |
희박함(remote) |
공시하지 않는다. |
공시하지 않는다. |
'시리즈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의 일반개념 (0) | 2013.12.15 |
---|---|
사채(금융부채) (0) | 2013.12.13 |
부채의 의의와 분류 (0) | 2013.12.01 |
기타 비유동자산의 분류, 법인세기간배분 (0) | 2013.11.30 |
영업권 (0) | 201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