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절 사채(금융부채)
사채란 회사가 다수의 일반대중으로부터 장기에 걸쳐 기업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회사를 채무자로 한 증권을 발행하고 계약에 따라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며 일정한 시기에 원금을 상환할 것을 계약하고 차입한 채무로서 일반적으로 증권시장을 통하여 일반대중에게 판매되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게 된다.
(1) 사채의 발행
① 사채발행가액 계산 : 사채의 발행을 통해서 사채권자로부터 조달된 금액.
사채발행가액 = 사채의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사채발행비 |
② 사채의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만기사채원금의 현재가치 + 액면이자액의 현재가치 ‧ 발행가액 = (액면 X 상환기간 @\1의 현재가치) + (1회분의 액면이자 X @\1의 연금 의 현재가치) |
액면발행 |
액면이자율 = 시장이자율 |
발행가액 = 액면가액 |
할인발행 |
액면이자율 < 시장이자율 |
발행가액 < 액면가액 |
할증발행 |
액면이자율 > 시장이자율 |
발행가액 > 액면가액 |
이 경우 사채에 대한 액면이자율을 표시이자율 또는 명목이자율이라고도 하며, 사채의 시장이자율은 유효이자율, 실질이자율과 동일한 개념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③ 액면발행에 대한 회계처리 : 사채발행 당시 사채에 대한 액면이자율과 시장이자율이 동일한 경우. 액면가액과 발행가액이 동일한 금액이다.
사채발행시 : (차) 현 금 XXX (대) 사 채 XXX 이자지급시 : (차) 이 자 비 용 XXX (대) 현 금 XXX 만기상환시 : (차) 사 채 XXX (대) 현 금 XXX |
‧ 유효이자 : 사채의 기초장부가액 X 유효이자율 ‧ 액면이자 : 사채의 액면가액 X 액면이자율 |
④ 할인발행에 대한 회계처리 : 사채발행 당시 사채에 대한 액면이자율이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경우. 사채의 발행가액이 사채의 액면가액보다 적다.
할인발행시 |
(차) 현 금 XXX (대) 사 채 XXX 사채할인발행차금 XXX |
이자지급시 |
(차) 이 자 비 용 XXX (대) 현 금 XXX 사채할인발행차금 XXX |
만기상환시 |
(차) 사 채 XXX (대) 현 금 XXX |
사채할인발행차금상각액 = 유효이자 - 액면이자 |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사채에 대한 차감적 평가계정으로 사채액면가액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된다.
⑤ 할증발행에 대한 회계처리 : 사채의 할증발행은 사채의 액면이자율이 사채발행 당시 시장이자율보다 높은 경우. 사채의 발행가액이 사채의 액면가액보다 크다.
할인발행시 |
(차) 현 금 XXX (대) 사 채 XXX 사채할인발행차금 XXX |
이자지급시 |
(차) 이 자 비 용 XXX (대) 현 금 XXX 사채할인발행차금 XXX |
만기상환시 |
(차) 사 채 XXX (대) 현 금 XXX |
사채할인발행차금상각액 = 액면이자 - 유효이자 |
사채할증발행차금은 사채에 대한 부가적 평가계정으로 사채 액면가액에 가산하는 형식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된다.
(2) 사채발행차금상각 및 환입효과
발행형태 |
사채장부가액 |
이자비용 |
액면이자 |
차금상각액 |
실질이자율 |
할증발행 |
점차감소 |
점차감소 |
불 변 |
점차증가 |
일 정 |
액면발행 |
불 변 |
불 변 |
불 변 |
없 음 |
일 정 |
할인발행 |
점차증가 |
점차증가 |
불 변 |
점차증가 |
일 정 |
① 할증발행시 : 액면이자 총액 – 사채할증발행차금
② 액면발행시 : 액면이자 총액
③ 할인발행시 : 액면이자 총액 + 사채할인발행차금
(3) 사채발행비
사채를 발행할 때 발생한 사채의 인쇄비, 발행수수료 등 사채발행과 관련하여 직접 발생한 비용을 말한다.
(4) 사채의 상환
① 만기상환 : 만기일에 액면가액을 상환하는 것으로, 사채의 장부가액과 사채의 액면가액은 동일액이다. 만기상환시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한다.
만기상환 : (차) 사 채 ××× (대) 현 금 ××× |
② 조기상환 : 사채를 만기일 전에 매입 또는 추첨에 의하여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환하는 것이다.
a. 사채의 조기상환일 현재의 장부가액을 계산한다.
할인발행시 |
사채장부가액 = (발행가액 + 사채할인발행차금상각액) 또는 (액면가액 - 사채할인발행차금미상각액) |
할증발행시 |
사채장부가액 = (발행가액 - 사채할증발행차금환입액) 또는 (액면가액 + 사채할증발행차금미환입액) |
b. 사채의 장부가액과 상환가액을 비교하여 사채상환손익을 계상한다.
사채상환이익 = 사채장부가액 - 사채상환가액 |
'시리즈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회사의 자본거래 (0) | 2013.12.25 |
---|---|
자본의 일반개념 (0) | 2013.12.15 |
충당부채 (0) | 2013.12.11 |
부채의 의의와 분류 (0) | 2013.12.01 |
기타 비유동자산의 분류, 법인세기간배분 (0) | 2013.11.30 |